정치학

$46.00
SKU
978896445144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8/10
Pages/Weight/Size 160*230*40mm
ISBN 9788964451441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과연 『정치학』은 어떤 텍스트인가

서양 고대철학의 두 정점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임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정치철학 분야에서도 두 철학자는 그러한 경향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데, 비록 플라톤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둘 사이의 정치철학 내지 정치학에 대한 견해는 상당 부분 차이가 나는 것들이 많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국가』에서와 마찬가지로 좋은 ‘정치체제’가 좋은 인간을 만들고 정의로운 정치체제가 정의로운 인간을 만든다는 기본적인 생각을 계승하고 있다. 그럼에도 그의 정치철학이 플라톤과 크게 대별되는 것은 현실주의 철학자답게 자신이 살고 있는 당대의 수많은 폴리스의 경험 자료(마케도니아에 체류하는 동안 아리스토텔레스는 헬라스 전체에 걸쳐 현존하는 정치체제들 중에서 158개에 대한 연구에 착수했었다고 한다!)를 바탕으로 최선의 정치체제를 밝혀내려 했다는 점에 있다.

하지만 플라톤의 『국가』가 일찍부터 인류 역사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쳐왔던 데 반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은 다소 많은 우여곡절 끝에 우리에게 고전적 지위를 부여받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플라톤의 저작과 비교해 볼 때, 아리스토텔레스 저작의 전승과 원고의 보존 상태가 온전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불어 『정치학』이 다루는 주제들이 헬레니즘 시대에 접어들면서 헬라스 특유의 폴리스 체제가 무너지고 로마 제국이 성립되면서, 동서 문화가 융합하는 새로운 세계관이 자리 잡았던 정치적 상황과 너무도 동떨어져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해석이 있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요 저작들이 이르게는 9세기경부터 아랍 철학자들의 손에 의해 연구되고 주석서가 나오기 시작했는데, 유독 『정치학』에 대한 연구와 주석서는 12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이루어지기 시작했다는 점도 이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더딘 요소였음을 알 수 있다. 아랍어 번역본으로부터 아리스토텔레스의 대부분의 저작을 주해했던 중세의 유명한 철학자 아베로에스(Averroes, 1126~98)에게서조차 이 책에 대한 주해서가 남아 있지 않은 점은 그러한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원래 ‘정치적 저작들’(politika biblia)을 의미하는 'Politika‘(『정치학』)란 이름은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이 붙인 것이 아니다. 전체 8권으로 구성된 『정치학』 텍스트는 낱권 하나가 하나의 파피루스 두루마리 상태로 되어 있다. 더불어 아리스토텔레스 전문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각권의 집필 시기와 연관관계(제1~3권, 제4~6권, 제7~8권)에 대한 논의가 아직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염두에 둔다면, 플라톤의 『국가』와는 다르게 『정치학』은 일관된 형식과 체제를 갖춘 텍스트라고 보기 어려워 어떻게 보면 책 전체를 꿰뚫는 통일성과 일관성을 가진 정치적 원리를 찾아내는 일이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Contents
옮긴이의 말 11

제1권 폴리스와 가정
제1장 인간적 좋음과 정치적 공동체 25
제2장 폴리스의 기원과 성장, 그리고 목적 28
제3장 가정에 대한 예비적 분석 37
제4장 주인의 도구로서의 노예 39
제5장 자연적 노예에 대한 정당화 42
제6장 자연적 노예의 정당화에 대한 논쟁 47
제7장 노예 지배에 필요한 기술 52
제8장 가정경영과 획득술 54
제9장 교환경제의 기원, 성장, 다양성 59
제10장 획들술과 관련된 가정경영, 교역, 대부(貸付) 66
제11장 획득의 방식과 독점, 그리고 그 분석과 평가 68
제12장 가정의 규칙, 남편과 아버지 74
제13장 가정 구성원의 도덕적 탁월성 76

제2권 이상적 폴리스에 관한 견해들: 플라톤의 『국가』와 『법률』, 스파르타와 카르타고
제1장 이상국가, 재산 공유의 한계 85
제2장 플라톤의 『국가』에서 사회적 ‘하나임’과 정치적 ‘하나임’에 대한 비판 87
제3장 하나임의 체제에서의 언어와 소유의 심리학 91
제4장 플라톤의 『국가』에서의 아내와 아이 공유제의 약점 96
제5장 플라톤의 『국가』에서의 재산 공유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치체제 100
제6장 『법률』에서 플라톤의 두 번째 최선의 국가에 대한 비판 111
제7장 팔레아스의 정치제도: 평등주의에 대한 비판 122
제8장 힙포다모스의 정치체제와 재산, 법, 혁신의 문제 130
제9장 스파르타의 정치체제와 사회체제에 대한 비판 139
제10장 크레타의 정치체제와 사회체제에 대한 비판 152
제11장 카르타고의 정치체제와 사회체제에 대한 비판 159
제12장 솔론의 정치체제에 대한 옹호, 다른 입법자들의 중요한 정책 165

제3권 폴리스와 정치체제
제1장 시민의 정의: 관직과 판결에 참여해야만 한다 175
제2장 시민의 조건 181
제3장 폴리스는 정치체제를 공유하는 시민의 사회 183
제4장 좋은 사람의 덕과 좋은 시민의 덕, 그리고 좋은 지배자 188
제5장 노동자와 직공 기술자들도 시민일 수 있는가 196
제6장 올바른 정치체제와 타락한 정치체제 199
제7장 정치체제의 분류 203
제8장 과두정과 민주정을 정의하는 어려움 206
제9장 민주정과 과두정에서의 정의 208
제10장 누가 지배자가 되어야만 하는가 215
제11장 다중의 최고 관직 참여와 최고 권력으로서의 법 217
제12장 정치적 정의, 동등성, 최고의 권위 224
제13장 정치적 관직에 대한 요구 228
제14장 왕권의 유형 238
제15장 왕정과 법 244
제16장 절대적 왕정 250
제17장 최고로 탁월한 자가 왕이 되어야만 한다 255
제18장 왕의 교육과 이상적인 정치체제 258

제4권 정치체제의 유형
제1장 정치학의 탐구 영역과 과제 263
제2장 여러 정치체제와 그것들 간의 우수함의 서열 267
제3장 왜 여러 종류의 정치체제가 있는가 270
제4장 폴리스의 부분들과 민주정의 종류 274
제5장 과두정의 종류 285
제6장 과두정과 민주정의 네 가지 종류 287
제7장 여러 종류의 귀족정 290
제8장 귀족정과 구별되는 혼합정의 특징 292
제9장 혼합정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296
제10장 참주정의 세 가지 종류 299
제11장 중간적 정치체제 301
제12장 시민의 양과 질에 적합한 정치체제: 과두정과 민주정 308
제13장 중무장 보병의 정치체제 311
제14장 관직자를 임명하는 방식: 정치체제에서 심의하는 부분 315
제15장 정치체제와 행정 관직의 관직자에 대해서 320
제16장 정치체제와 법정의 구성: 여덟 가지 종류의 법정과 재판관을 임명하는 방식 330

제5권 정치체제의 보존과 파괴
제1장 동등성, 정의, 정치체제의 변화 337
제2장 정치체제 변화의 일반적 원인 344
제3장 정치체제 변화의 개별적 원인 347
제4장 정치체제의 변화에서 파당의 직접적 원인 355
제5장 민주정이 무너지는 개별적 원인: 참주정이 발생한 이유 362
제6장 과두정이 무너지는 이유와 원인 367
제7장 귀족정에서의 파당과 정치체제 변화의 네 가지 원인 376
제8장 파당을 막고 정치체제를 보존하는 방법(1) 383
제9장 파당을 막고 정치체제를 보존하는 방법(2) 391
제10장 1인지배정의 기원과 몰락 399
제11장 군주정과 참주정을 보존하는 방법 415
제12장 오래 지속되는 참주정: 플라톤의 정치체제 변화에 대한 비판 429

제6권 정치체제의 종류와 정치제도: 민주정과 과두정
제1장 혼합된 정치체제들과 민주정의 여러 종류 441
제2장 민주정의 원리와 제도 444
제3장 민주정의 동등성과 정의 448
제4장 민주정의 유형과 서열 451
제5장 민주정의 보존 458
제6장 과두정의 확립과 보존(1) 462
제7장 과두정의 확립과 보존(2) 464
제8장 정치적 관직의 종류 467

제7권 교육과 최선의 정치체제
제1장 행복 481
제2장 정치학과 철학 486
제3장 정치적 삶과 철학적 삶: 제2장에 이어 493
제4장 인구: 이상적 폴리스의 크기 498
제5장 영토 504
제6장 시장과 해군의 힘 506
제7장 기후와 성격 509
제8장 폴리스의 부분들과 필수 불가결한 것들 513
제9장 사회적 역할과 재산 516
제10장 공동 식사 제도와 땅의 분배 521
제11장 시민의 건강과 안전: 폴리스의 위치와 지형 526
제12장 도시 설계 532
제13장 행복에 대한 논의 재정리 534
제14장 동등성과 교육: 시민을 위한 교육 540
제15장 일과 여가, 습관과 이성 549
제16장 성, 혼인과 아이들: 우생학(Eugenics) 554
제17장 가정 내에서의 교육 563

제8권 최선의 정치체제에서의 교육과 무시케
제1장 공교육 573
제2장 교육의 목표 576
제3장 음악의 역할 579
제4장 신체 훈련 584
제5장 오락, 성품, 그리고 여가 588
제6장 음악 교육 598
제7장 화음과 리듬 606

해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철학: 윤리학과 정치학의 만남 615
참고 문헌 759
연보 765
찾아보기(지명과 인명) 767
찾아보기(내용) 775

Author
아리스토텔레스,김재홍
스승인 플라톤과 함께 2천여 년 서양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위인이다. 1998년 저명한 현대 철학자들이 뽑은 “서양철학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철학자”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최고의 목적”이라는 뜻의 이름을 지닌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84년에 북부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방의 스타게이로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니코마코스는 왕의 주치의였다고 하는데, 아리스토텔레스가 어릴 때 죽었다. 그가 17살 때 어머니마저 죽은 뒤 후견인인 프록세노스에 의해 아테나이에 있는 플라톤의 아카데메이아로 보내졌고, 거기에서 20년간 머물렀다.

기원전 347년에 플라톤이 죽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아카데메이아를 플라톤의 조카인 스페우시포스에게 맡기고, 철학의 후원자였던 소아시아 아소스의 왕 헤르메이아스에게 갔다. 거기서 그는 헤르메이아스의 조카인 피티아스와 결혼해 딸 하나를 두었다. 기원전 345년에 헤르메이아스가 페르시아인들에게 살해되자, 그는 레스보스 섬의 미틸레네로 갔고, 거기에서 수제자이자 가장 가까운 동료가 된 테오프라스토스를 만났다. 기원전 342년에는 마케도니아의 왕 필리포스 2세의 초청으로 나중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된 왕세자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기원전 335년에 그는 다시 아테나이로 돌아와서, 자신의 독자적인 교육기관인 리케이온을 세웠고, 이것이 소요학파의 기원이 된다. 이 시기가 그의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였다. 그가 쓴 책들과 글들 다수는 이 기간에 쓰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의 지성과 폭과 깊이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 그가 다룬 분야들은 논리학, 형이상학, 인식론, 심리학,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 미학, 동물학, 식물학, 자연학, 철학사, 정치사 등으로 아주 폭이 넓었다. 그의 대표적 저서로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형이상학』, 『자연학』, 『정치학』, 『범주론』, 『명제론』, 『수사학』, 『시학』 등이 있다.

기원전 323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자, 아테나이에서는 반마케도니아 정서가 강해지고 그는 불경죄로 고발된다. 그렇게 해서 그는 에우보이아의 칼키스로 떠났고, 그 다음 해 62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스승인 플라톤과 함께 2천여 년 서양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위인이다. 1998년 저명한 현대 철학자들이 뽑은 “서양철학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철학자”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최고의 목적”이라는 뜻의 이름을 지닌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84년에 북부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방의 스타게이로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니코마코스는 왕의 주치의였다고 하는데, 아리스토텔레스가 어릴 때 죽었다. 그가 17살 때 어머니마저 죽은 뒤 후견인인 프록세노스에 의해 아테나이에 있는 플라톤의 아카데메이아로 보내졌고, 거기에서 20년간 머물렀다.

기원전 347년에 플라톤이 죽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아카데메이아를 플라톤의 조카인 스페우시포스에게 맡기고, 철학의 후원자였던 소아시아 아소스의 왕 헤르메이아스에게 갔다. 거기서 그는 헤르메이아스의 조카인 피티아스와 결혼해 딸 하나를 두었다. 기원전 345년에 헤르메이아스가 페르시아인들에게 살해되자, 그는 레스보스 섬의 미틸레네로 갔고, 거기에서 수제자이자 가장 가까운 동료가 된 테오프라스토스를 만났다. 기원전 342년에는 마케도니아의 왕 필리포스 2세의 초청으로 나중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된 왕세자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기원전 335년에 그는 다시 아테나이로 돌아와서, 자신의 독자적인 교육기관인 리케이온을 세웠고, 이것이 소요학파의 기원이 된다. 이 시기가 그의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였다. 그가 쓴 책들과 글들 다수는 이 기간에 쓰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의 지성과 폭과 깊이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 그가 다룬 분야들은 논리학, 형이상학, 인식론, 심리학,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 미학, 동물학, 식물학, 자연학, 철학사, 정치사 등으로 아주 폭이 넓었다. 그의 대표적 저서로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형이상학』, 『자연학』, 『정치학』, 『범주론』, 『명제론』, 『수사학』, 『시학』 등이 있다.

기원전 323년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자, 아테나이에서는 반마케도니아 정서가 강해지고 그는 불경죄로 고발된다. 그렇게 해서 그는 에우보이아의 칼키스로 떠났고, 그 다음 해 62세의 나이로 별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