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가 철학은 유가의 예악론(禮樂論)과 차별애(差別愛)를 전면 부정한다는 데 그 의의가 크다. 즉 유가의 예악에 대해 절용(節用)을, 후장구상(厚葬久喪)에 대해 절장(節葬)을 주장하며, 더 나아가 유가의 천명(天命) 관념에 대해 비명(非命)을 주장하고 끝으로 유가의 분업의식에 대해 직접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묵가의 이론과 실천이라는 두 측면에서 당대의 영향력을 고려하면 전국 시기 제자백가 가운데 가장 강력한 학파이자 독특한 집단이었다고 볼 수 있다. 묵자 스스로가 노동자 출신이었지만 독서를 통하여 위대한 사상가, 정치가, 군사가, 교육자, 과학자로서 평생 끊임없는 실천을 통하여 자신의 이론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묵가 학설이 다른 제자백가와 뚜렷한 차이점을 보이는 점은 묵자 및 그의 후학 모두가 논리적이고 과학 기술을 중시하였다는 것이다. 이 내용이 바로 『묵자 Ⅱ』 가운데 ‘묵경’ 부분에 잘 나타나 있다. 그 내용을 보면, 기하학, 수학, 인식론, 우주론(시간과 공간), 물리학(역학, 광학, 열학, 운동학), 윤리학, 경제학, 논리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있다.
Contents
옮긴이 해제 5
보론 1: 중국 철학사에서의 묵가 비판 23
보론 2: 한국 철학사에서의 묵가 비판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