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촛불 투쟁으로 대표되는 한국 사회의 사회적 모순은 대개 종속 신자유주의 노동체제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예컨대 청년 고용과 비정규 노동 문제, 재벌 개혁과 불평등, 낡은 양당 체제와 위임 민주주의, 미투 운동과 페미니즘 논란, ‘헬 조선’과 저출생 문제 등이 모두 그렇다. 전태일 이래 과거 한국 사회의 역동적 변동에 노동문제가 근저에서 구조적 동인이 되었던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의 사회적 모순을 해결할 장기적 동인도 더 성장한 노동운동일 개연성이 크다. 노동체제론이 주목하는 것은 바로 이 지점이다.
특히 이 책의 후반부는 촛불 투쟁과 민주 노조 운동의 관계 및 노동운동의 전략 전환을 주로 다룬다. 문재인 정부의 임기 초반 노동 개혁이 노동체제 전환의 계기가 될지도 모른다는 연구자들의 가정은 일단 소망적 사고로 끝난 듯하다. 그러나 체제 전환의 문제의식, 즉 그 변화 양상 및 가능성에 대한 정밀한 검토는 여전히 의미가 있다. 문재인 정부 5년의 실험은 전환을 둘러싼 여러 구조적 모순과 특성, 이를 가능하게 하는 주체의 개입 전략과 실천 모두를 재검토할 만한 이론적·실천적 물음을 제공한다. 나아가 귀족 노조론이나 사회적 대화 사례에서 나타났듯이 노동체제의 구조적 압력은 뚜렷하다. 노동운동 활동가는 물론 노동 연구나 연구자에게도 그 영향은 강하게 미치고 있고, 노동체제론의 문제의식은 이런 물음들에 단초를 제공한다.
Contents
서문 6
1부 노동체제의 변동과 역사 11
1장 노동체제론의 재구성: 종속 신자유주의 노동체제를 중심으로 13
2장 민주화 20년과 노동 사회의 민주화 61
3장 1987년 노동자 대투쟁의 역사적 의의와 현재적 의미 91
4장 1987년 민주 항쟁 30년, 민주 노조 운동의 평가와 전망 129
2부 진보 정당 운동의 노동 정치 163
5장 통합진보당 사태와 민주 노조 운동의 위기 165
6장 한국 노동운동의 1기 노동자 정치 세력화 30년: 비판과 성찰 195
3부 종속 신자유주의 노동체제와 노동운동 전략 233
7장 노동운동 재활성화 전략과 조직화 모델: 영미 사례의 함의 235
8장 노동운동의 법적 통제와 법치주의 국가 전략: 희망의 법? 절망의 법? 273
9장 귀족 노조 이데올로기 305
10장 종속 신자유주의 노동체제의 노동 통제: 사회적 합의주의 이데올로기 비판 333
참고문헌 381
찾아보기 402
Author
노중기
한신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있으며, 비판사회학회 회장, 한국산업노동학회 회장, 전국교수노동조합 위원장, 경기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등을 역임했다. 『한국의 노동체제와 사회적 합의』, 『노동체제 변동과 한국 국가의 노동정책(2003~18)』 및 다수 논문을 썼다.
한신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있으며, 비판사회학회 회장, 한국산업노동학회 회장, 전국교수노동조합 위원장, 경기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등을 역임했다. 『한국의 노동체제와 사회적 합의』, 『노동체제 변동과 한국 국가의 노동정책(2003~18)』 및 다수 논문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