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약속

불행한 자들을 위한 문화비평
$26.45
SKU
978896437365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1/1 - Tue 0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27 - Tue 12/3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2/08
Pages/Weight/Size 140*210*26mm
ISBN 9788964373651
Categories 사회 정치 > 여성/젠더
Description
1990년대부터 대두하기 시작해 지금까지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는 긍정심리학계의 행복학 연구에 따르면, 긍정심리학은 부정적인 느낌에만 초점을 맞춰 왔던 심리학의 기존 경향을 “바로잡는다”며 등장했으며 대중적으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칙센트미하이 같은 이들이 대표적이다. 행복한 사람들에게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행복학 연구자들이 행복의 ‘비법’을 밝혀낸다며 갖가지 설문조사와 인터뷰, 통계기법 등을 동원해 도출해 낸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행복하고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행복하며, “긍정적일수록” 행복하고 “가족과 돈독”할수록 행복도가 높다. 과연 이런 것들이 말해주는 것은 무엇일까? 아니 말해주는 게 있기는 한 것일까?

퀴어 페미니스트 철학자 사라 아메드는 이와 같은 “행복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들이 과연 “무엇을 하고 있는지” 질문하며 ‘정서 이론’의 관점에서 우리 삶을 지배하는 ‘행복’ 관념을 해부한다. 이에 따르면, 행복 관념은 보통 미래를 보장하는 ‘약속’의 형태를 띠며, 대개는 사회적으로 이미 좋은 것이라 여겨지는 것들을 재확언함으로써 그것을 추구하는 좋은 주체를 생산해 내는 역할을 한다. 이런 메커니즘은 한편으로 그 대척점에 행복의 경로에서 이탈한 자들, 행복 대본을 따르지 않는 자들, 차이를 가진 자들을 위치시키고 이들을 불행의 원인으로 재현함으로써 힘을 얻는다. 이 책은 페미니스트, 이주자, 퀴어와 같은 불행(불운)한 주체들을 ‘행복한 가족’, ‘행복한 국가’와 같은 ‘정서 공동체’로부터 소외된 ‘정서 이방인’으로 개념화하면서 이들의 불행과 우울에 정치적 힘을 부여하는 한편, 지배적인 행복 관념이 ‘다른’ 주체로 하여금 무엇을 포기하게 하는지 보여 줌으로써 정서를 통한 권력의 작동을 이야기한다.
Contents
서론 왜 하필 지금 행복을 이야기하는가

1장 행복의 대상
2장 분위기 깨는 페미니스트
3장 불행한 퀴어
4장 우울증적 이주자
5장 행복한 미래
결론 행복, 윤리, 가능성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지금 우리에게 행복은 무엇을 하는가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사라 아메드,성정혜,이경란
2004년부터 골드스미스 런던 대학교에서 인종·문화연구 교수를 지냈다. 2016년, 학내 성추행 사건에 대한 학교 당국의 처리 미비에 항의하며 사임한 후 지금까지 독립 연구자의 길을 걷고 있다. 이주, 차이, 정체성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이론과 퀴어 이론, 인종 이론을 넘나들며 꾸준히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오드리 로드와 글로리아 안잘두아 등 흑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들의 작업을 ‘생명줄’ 삼아 현상학적으로 감정의 구조를 탐색함으로써 권력의 작동 방식을 분석하는 저작들을 꾸준히 발표해 오고 있다. 킬조이 선언을 비롯한 제도권에 머물지 않는 실천적 활동으로도 유명하다. 영국인 어머니와 파키스탄인 아버지를 둔 배경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영국으로의 이주 경험, 유색인 여성으로서의 경험 등이 녹아든 실천적 글쓰기의 모범을 보여 주고 있기도 하다. 2019년 스웨덴 말뫼 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고, 2017년에는 LGBTQ 연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케슬러상을 수상했다. 2011년, 이 책 『행복의 약속』으로 페미니즘 분야의 독창적 연구에 수여하는 FWSA상을 받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감정의 문화정치』(2004), 『퀴어 현상학』(2006), 『고집스런 주체』(2014), 『페미니스트로 살아가기』(2017), What’s the Use?(2019), Complaint!(2021, 근간) 등이 있다.
2004년부터 골드스미스 런던 대학교에서 인종·문화연구 교수를 지냈다. 2016년, 학내 성추행 사건에 대한 학교 당국의 처리 미비에 항의하며 사임한 후 지금까지 독립 연구자의 길을 걷고 있다. 이주, 차이, 정체성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이론과 퀴어 이론, 인종 이론을 넘나들며 꾸준히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오드리 로드와 글로리아 안잘두아 등 흑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들의 작업을 ‘생명줄’ 삼아 현상학적으로 감정의 구조를 탐색함으로써 권력의 작동 방식을 분석하는 저작들을 꾸준히 발표해 오고 있다. 킬조이 선언을 비롯한 제도권에 머물지 않는 실천적 활동으로도 유명하다. 영국인 어머니와 파키스탄인 아버지를 둔 배경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영국으로의 이주 경험, 유색인 여성으로서의 경험 등이 녹아든 실천적 글쓰기의 모범을 보여 주고 있기도 하다. 2019년 스웨덴 말뫼 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고, 2017년에는 LGBTQ 연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케슬러상을 수상했다. 2011년, 이 책 『행복의 약속』으로 페미니즘 분야의 독창적 연구에 수여하는 FWSA상을 받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감정의 문화정치』(2004), 『퀴어 현상학』(2006), 『고집스런 주체』(2014), 『페미니스트로 살아가기』(2017), What’s the Use?(2019), Complaint!(2021, 근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