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가 글쓰기 도구로 등장한
2023년 1학기부터 약 2년간의 글쓰기 수업을 기록하며
글쓰기 수업의 패러다임을 성찰하다”
자본주의적 관계 안에서 ‘좋은 책’이 어떻게 왜곡되는지 그 과정을 추적한 『속물교양의 탄생』,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청년’들의 ‘책 읽기’에 주목한 독서문화사를 기록한 『살아남지 못한 자들의 책 읽기』 등의 저서를 통해 독서문화와 교양, 근대문학(화)에 천착해온 파워 라이터(power writer) 박숙자 교수의 신간 『쓰기 교양』이 출간되었다. 서강대학교 전인교육원 교수로 글쓰기를 가르치고 있는 저자는 생성형 AI가 글쓰기 도구로 등장한 2023년 1학기부터 약 2년간의 글쓰기 수업을 꼼꼼히 기록하며 글쓰기 수업의 패러다임을 성찰해왔으며, 그 성찰의 과정과 결과를 책 전반에 촘촘히 새겨놓았다.
“누가 쓰는가?”라는 질문으로 시작해 “어떻게 읽을 것인가?” “어떻게 쓰는가?” “누가, 어떻게 쓰는가?”라는 질문으로 이어지는 이 책에서 저자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기술, (비)인간과 인간 간의 관계를 성찰하며 공유와 혁신, 개방과 협력을 촉진하는 쓰기 방식으로 AI 시대의 글쓰기가 나아가야 하며, 인간과 기술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사유 방식으로는 AI 시대에 새로운 읽기와 쓰기의 길로 나아가기 어렵다고 이야기한다. 디지털 AI 기술이 급속하게 퍼지면서 인지 자본의 포획, 공적 언어의 사적 전용, 확증 편향의 확산 등 여러 사회적 문제가 초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언어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는 지금 이 사회에 더 나은 언어와 글쓰기에 관한 성찰이 필요한 까닭에 저자는 이러한 문제에 집중하며 논의의 한복판으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Contents
프롤로그ㆍ004
1부 코로나19 이후, AI 시대의 대학ㆍ013
2부 누가 쓰는가ㆍ025
1장 삶과 앎을 연결하는 ‘나’의 언어ㆍ027
2장 공통 감각과 공감: 경험과 관찰로부터 쓰기ㆍ035
3장 사례 1: 생성의 장으로서의 교실?함께 읽기ㆍ051
4장 사례 2: 깊이 읽기의 어려움?독후감 평가ㆍ061
··· 학생 글쓰기 사례: ‘나’/우리의 서사 쓰기ㆍ068
3부 어떻게 읽을 것인가ㆍ073
5장 읽기 환경의 변화와 독자 되기ㆍ075
6장 비판적 읽기와 분석적 글쓰기ㆍ089
7장 사례 3: 주제 구성 가이드?교수 멘토링ㆍ107
8장 사례 4: 논평의 네트워크?동료 튜터링ㆍ121
··· 학생 글쓰기 사례: 분석적 글쓰기ㆍ133
4부 어떻게 쓸 것인가ㆍ145
9장 담화 공동체와 논증적 글쓰기ㆍ147
10장 (디지털) 자료 탐색과 문헌 검토ㆍ161
11장 사례 5: 학습 커먼즈와 쓰기 윤리ㆍ179
12장 사례 6: 글쓰기센터 튜터링?첨삭과 피드백ㆍ193
··· 학생 글쓰기 사례: 논증적 글쓰기ㆍ199
1970년생으로 계몽사 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에 홀딱 빠져 어린 시절을 보냈다. 파랑새를 찾는 치르치르와 미치르의 이야기를 보면서 행복은 멀리 있는 게 아니라 가까이에 있다는 교훈을 짐작하기는 했지만, 어린 마음에 ‘파랑새가 어떻게 집안에 있지’라는 이상한 궁금증이 남아 불편했던 기억이 있다. 내 주위에 집안에서 파랑새를 기르는 집은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도 ‘파랑새’하면 동화 속에서나 있을 법한 새로 떠올린다. 동화가 던지는 교훈과 별개로 남아 있는 내 오인된 기억이다. 이는 ‘치르치르’가 ‘틸틸’의 일본어식 발음이라고 안 이후에도 여전히 책에서 보았던 ‘치르치르’로 기억하는 게으른 습관과 비슷한 일이다.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정음사 세계문학전집과 삼중당문고, 글방문고 등을 섭렵하는 기쁨에 들떠 ‘도전’ 정신을 키워나갔으며 알 듯 말 듯한 이야기 세계를 즐겼다. 그래서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인용하거나 ‘그 새는 신을 향해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프락사스다’라는 낯선 음감의 언어를 즐겨 사용했다. 대학 입학 환영회에 서‘ 태어나려고 하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말로...소감을 대신해 동기들을 어리둥절하게 했던 기억은 지금 생각해도 오글거린다. 물론 이 기억으로 지금껏 문학을 공부하는지도 모르겠다. 그러자니 내가 읽고 느꼈던 ‘명작’에 대해 좀 더 낮은 목소리로 이야기하고 싶었다. 조금 더 진정성 있게, 그리고 조금 더 내 삶으로 이해될 수 있는 문학으로 공부하며 살아가기 위해‘ 명작’을 둘러싼 식민지 근대와 해방 이후의 문화사에 관심을 두고 있다. 현재 서강대 인문과 학연구소에서 ‘정전의 문화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1970년생으로 계몽사 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에 홀딱 빠져 어린 시절을 보냈다. 파랑새를 찾는 치르치르와 미치르의 이야기를 보면서 행복은 멀리 있는 게 아니라 가까이에 있다는 교훈을 짐작하기는 했지만, 어린 마음에 ‘파랑새가 어떻게 집안에 있지’라는 이상한 궁금증이 남아 불편했던 기억이 있다. 내 주위에 집안에서 파랑새를 기르는 집은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도 ‘파랑새’하면 동화 속에서나 있을 법한 새로 떠올린다. 동화가 던지는 교훈과 별개로 남아 있는 내 오인된 기억이다. 이는 ‘치르치르’가 ‘틸틸’의 일본어식 발음이라고 안 이후에도 여전히 책에서 보았던 ‘치르치르’로 기억하는 게으른 습관과 비슷한 일이다.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정음사 세계문학전집과 삼중당문고, 글방문고 등을 섭렵하는 기쁨에 들떠 ‘도전’ 정신을 키워나갔으며 알 듯 말 듯한 이야기 세계를 즐겼다. 그래서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인용하거나 ‘그 새는 신을 향해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프락사스다’라는 낯선 음감의 언어를 즐겨 사용했다. 대학 입학 환영회에 서‘ 태어나려고 하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말로...소감을 대신해 동기들을 어리둥절하게 했던 기억은 지금 생각해도 오글거린다. 물론 이 기억으로 지금껏 문학을 공부하는지도 모르겠다. 그러자니 내가 읽고 느꼈던 ‘명작’에 대해 좀 더 낮은 목소리로 이야기하고 싶었다. 조금 더 진정성 있게, 그리고 조금 더 내 삶으로 이해될 수 있는 문학으로 공부하며 살아가기 위해‘ 명작’을 둘러싼 식민지 근대와 해방 이후의 문화사에 관심을 두고 있다. 현재 서강대 인문과 학연구소에서 ‘정전의 문화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