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위하지 않는, 그러나 모두를 위한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함께 읽기
$27.00
SKU
978896436167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9/20
Pages/Weight/Size 153*224*24mm
ISBN 9788964361672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니체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니체가 말하는 ‘거룩한 긍정’과 ‘가혹한 사랑’의 철학

19세기를 살다간 이들 가운데 니체(F. W. Nietzsche, 1844~1900)처럼 21세기에도 화제가 되고 활발히 읽히는 저자가 얼마나 있을까. 더구나 그가 사상의 역사에 그저 발자취를 남긴 정도가 아니라 철학의 운명을 바꾸었다는 말을 듣는 존재라면? 현대를 대표하는 철학자 질 들뢰즈가 “현대 철학은 대부분 니체 덕으로 살아왔고 여전히 니체 덕으로 살아가고 있다”고 썼을 만큼 니체의 영향력과 명성은 우리 시대에도 막강하다. 당연히 니체와 그의 사상에 관한 책도 넘치도록 많이 나와 있다. 그러나 전문 연구자가 아닌 일반 독자가 니체의 철학에 접근하는 데 길잡이로 삼을 만한 책들은 생각보다 드물다. 니체의 주저로 꼽히지만 그 난해함과 독특한 형식, 시적인 문체 탓에 끝까지 읽기가 쉽지 않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다.

미학자이자 철학자인 김동국의 첫 단독 저서 『아무도 위하지 않는, 그러나 모두를 위한 니체』는 바로 그 문제적인 저작을 철저하고 충실하게 읽어내는 데 바쳐진 책이다. 저자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모든 장을 순서대로 꼼꼼히 읽어나가면서 이 책을 통해 니체가 말하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따져 묻는다. 그 과정에서 니체의 다른 저서들이 풍부히 인용되며, 니체 사상의 핵심 주제들과 요소들 - 흔히 ‘초인’이라고 잘못 번역되던 위버멘쉬Ubermensch, 힘에의 의지, 신의 죽음, 주인 도덕과 노예 도덕, 운명애(amor fati), 영원회귀 등이 자세하게 해석되고 조명 받는다. 그러니까 이 책은 니체의 대표작에 대한 정밀한 독서이면서 그를 바탕으로 니체 사상의 정수에 다가가려는 의욕적인 시도다.
Contents
머리말 - 우리는 왜 니체를 읽는가
여는 글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읽기 위한 5개의 키워드

제1권
제2권
제3권
제4권
Author
김동국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습니다. 2014년부터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0세기 미술사」, 「철학자들의 예술가」, 「미학 원전 깊이 읽기」, 「아도르노 강독」, 「발터 벤야민 강독」, 「낭만주의 연구」 등의 강좌를 통해, 대학과 고등학교 및 다양한 인문학 공동체에서 미학과 철학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아무도 위하지 않는, 그러나 모두를 위한 니체』(2019)가 있고, 공저로는 『최소한의 서양 고전 -고전 읽기가 쉬워지는 마법』(2018), 『종이약국』(2020), 『시작책』(2020) 외에 드림북스 철학이야기 전집(총 40권, 2010)이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습니다. 2014년부터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0세기 미술사」, 「철학자들의 예술가」, 「미학 원전 깊이 읽기」, 「아도르노 강독」, 「발터 벤야민 강독」, 「낭만주의 연구」 등의 강좌를 통해, 대학과 고등학교 및 다양한 인문학 공동체에서 미학과 철학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아무도 위하지 않는, 그러나 모두를 위한 니체』(2019)가 있고, 공저로는 『최소한의 서양 고전 -고전 읽기가 쉬워지는 마법』(2018), 『종이약국』(2020), 『시작책』(2020) 외에 드림북스 철학이야기 전집(총 40권, 2010)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