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국가에 있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복지이념의 실현을 위해 거주·교육·연금·보험 등의 시장부문에 정부 등 공공기관이 적극개입하고 있다. 따라서 부동산, 특히 토지는 사회성·공공성·공익성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은 주거의 안전이 보장되어야만 인간생활, 사회생활을 안전하게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은 인간이 생명을 영위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주며, 동시에 인간생활로부터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존재이다. 또한 부동산은 인간의 모든 생장과정을 지탱하여 주고 그 위에 삶을 구축하여 문화를 창출하고 영위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이다. 이와 같이 부동산은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고, 인간은 부동산에 영향을 미치면서 상호 순환적인 관계를 부단히 지속하고 있다. 비록 자연으로서의 부동산이 인간에 의해 변화하거나 또는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존재이기는 하지만, 부동산은 인간이 부동산을 다루어 온 원인과 결과에 의해서 숨김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 과학과 기술의 발달은 인간으로 하여금 다양한 부동산활동을 하지 않을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어느 누구든지 부동산의 소유로부터 이용과 개발, 투자, 관리에 이르기까지 의사결정을 하게 되고 부동산활동을 하게 된다. 이와 함께 부동산활동을 전개함에 있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전개방법을 모색하여야 함은 개인이나 기업 또는 국가에 이르기까지 중대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 과제가 곧 부동산학 연구의 몫이기도 합니다.
Contents
Chapter 01 부동산개발과 개발정책
Ⅰ. 부동산개발의 의의와 개발사업 및 공공개발 … 13
1. 부동산 개발의 의의와 기본이념 및 특성 … 15
1) 부동산 개발의 의의와 개발의 기본이념 … 15
2) 부동산 택지의 요건과 부동산개발의 특성 … 22
2. 부동산 개발사업 특성과 유형 및 개발단계 … 24
1) 부동산 개발사업의 특성 … 24
2) 부동산 개발사업의 유형 … 26
3) 부동산개발의 요건과 개발의 단계 … 28
3. 부동산 개발에 있어서 공공개발의 의의와 유형 … 31
1) 공공개발의 개념 … 31
2) 공공개입의 필요성 … 32
3) 공공개발의 유형 … 34
Ⅱ. 부동산 개발정책과 제도 및 부동산 각종통계 … 35
1. 부동산 개발정책의 위상과 범위 … 37
2. 우리나라 부동산개발 제도 및 개발방식 … 39
1) 우리나라 부동산개발 제도 … 39
2) 부동산개발의 방식 … 40
3. 부동산 각종통계 … 44
1) 용어 해설 … 44
2) 건설·토지·주택의 통계 … 48
Ⅲ. 주거복지와 삶의 질 … 53
1. 서설 … 55
2. 주거복지의 의의와 삶의 질 … 57
1) 주거복지의 의의 … 57
2) 삶의 질 이론과 측정모형 … 61
3. 분야별 부동산 복지의 내용과 주거문제 … 64
1) 분야별 부동산 복지의 내용 … 64
2) 우리나라 주거문제와 주거실태 … 68
4. 주거복지와 삶의 질을 위한 발전방향 … 74
1) 주거복지의 지표와 삶의 질을 향한 평가 및 연구 방법론 … 74
2) 주거 복지와 삶의 질 과제 …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