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 인간관계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가? 낙관적인가, 비관적인가? 이 책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어떻게 이용하고 그것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사회적 맥락에서 논의한다. 특히 전자메일과 온라인 커뮤니티가 사회관계자본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제시한다. 인터넷이 사회관계자본을 어떻게 보완하고 증진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책의 전반부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사회관계자본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 책의 과제와 의의를 밝혔고 인터넷이라는 미디어의 특징을 검토하고 사회관계자본의 한 요소인 네트워크가 인터넷 이용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는지, 인터넷에서 형성되는 네트워크의 특징은 무엇인지 검토한다.
또한 NPO 등의 기존 조직들이 인터넷을 활용함으로써 사회관계자본을 보완하고, 기존 문제를 해결하거나, 임파워먼트를 촉진할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사회관계자본의 부정적 측면을 최소화하고 긍정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검토한다. 특히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살펴본다.
Contents
역자 서문
저자 서문 | 연결되는 미디어, 모이는 미디어
이 책의 구성
1. 사회관계자본이란 무엇인가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사회관계자본의 개념
논의의 시작
집합적 시각에서 본 사회관계자본
사회 네트워크론의 시각에서 본 사회관계자본
이 책에서의 사회관계자본에 관한 관점
사회관계자본의 정의
사회관계자본은 왜 중요한가?
이 책에서 무엇을 밝힐 것인가?
인터넷이 왜 사회관계자본의 축적과 활용에 필요한가?
2. 정보 네트워크-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유대관계
사회 네트워크에 대한 영향
스몰 월드를 실현하는 전자메일
전자메일이 연결하는 사회 네트워크
전자메일 이용자가 갖는 사회 네트워크
스몰 월드를 지향하며
온라인 커뮤니티란 무엇인가?
온라인 커뮤니티의 형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회 네트워크의 특징
개방성
강한 유대·약한 유대
내장된 자원의 특징
동질성이 높은 참가자들이 형성하는 동질적 자원
동질화로 수렴되는 경향과 문제점
혈연과 지연을 뛰어넘는 정보 네트워크를 바라며
사회 네트워크의 형성과 유지
정보 네트워크를 넓히기 위해
3. 온라인에서 호혜성의 규범과 신뢰의 형성
온라인 공간에서의 협력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무임승차 문제
자원 제공의 동기를 부여하는 여섯 가지 요인
일반화된 호혜성 규범과 집단 정체성이 가져오는 협력 행동
온라인 커뮤니티의 종류에 따른 차이점
미시적·거시적 관점에서 본 협력 촉진의 법칙
온라인 커뮤니티 참가자의 분류
사회 네트워크의 특징
온라인 공간에서의 신뢰-신뢰의 판단과 형성 과정
신뢰의 정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신뢰
신뢰는 왜 중요한가?
평판-신뢰를 형성하고 무임승차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평판의 역할
평판 시스템
평판 시스템의 실태와 문제점
두 종류 사회관계자본의 형성 메커니즘
온라인 공간을 넘어서
인터넷 경험이 일반적 신뢰를 형성할 수 있을까?
온라인에서의 협력 경험은 일상생활 공간에서도 유효한가?
4. 사회관계자본이 변화시키는 삶, 지역, 사회
사회관계자본의 긍정적 효과
새로운 형태의 서포트-미시적 관점에서 본 사회관계자본의 효과
온라인 SHG에 기대되는 효과
서포트 수령의 효과
서포트 제공의 효과
참여 단계에 따라 상이한 효과
온라인 SHG의 한계와 문제점
임파워먼트-거시적 관점에서 본 사회관계자본의 효과(1)
다양한 임파워먼트의 정의
소비자 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임파워먼트
온라인 SHG에서의 임파워먼트
온라인에서의 임파워먼트가 지닌 문제점
시민 참여-거시적 관점에서 본 사회관계자본의 효과(2)
e데모크라시란?
인터넷이 촉진하는 시민의 사회 참여
사회관계자본의 음지-의도하지 않은 부정적 효과
사회관계자본의 악용
결속형 사회관계자본이 지닌 부정적 효과
새로운 형태의 정보 격차의 양산
5. 사회관계자본이 풍부한 인터넷 사회를 지향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사회관계자본
NPO에 의한 인터넷 활용과 사회관계자본 축적
사회운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인터넷의 활용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통합
사회관계자본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제언
미디어 리터러시 육성의 필요성
수평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지닌 집단의 필요성
제도와 기술의 필요성
새로운 ‘공공’으로 나아가는 길을 개척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