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저작권의 쟁점과 전망

1인 1미디어 시대 이용자와 저작자의 새로운 권리와 한계
$27.22
SKU
978896406037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11/20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64060377
Categories 사회 정치 > 법
Description
1인 1미디어 시대, 넘쳐나는 정보를 이용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다른 사람의 저작물을 침해하는 일이 많아졌다. 이로 인한 각종 분쟁과 소송 사건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저작자나 이용자나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기술의 발전에 따른 저작권법 변화를 설명하고, 저작권을 변화시킨 6가지 쟁점을 짚는다. 또한 저작자와 이용자의 권리에 관해 알아보고 저작권법의 발전 방향을 살핀다. 개정판에서는 지난 2009년 7월에 발효된 개정 저작권법의 주요 내용을 포함하여, 상세한 해설로 저작권과 관련된 쟁점을 이야기한다.
Contents
개정판 서문
프롤로그

1장 기술과 함께 진화하는 저작권의 역사
1. 인쇄 기술과 저작권의 탄생
2. 저작권의 이해
1) 역사 속에서의 저작권 개념
2) 저작권의 목적
3) 최초의 저작권법 : 앤여왕법
4) 나라마다 상이한 저작권보호 범위
5) 저작인격권과 저작재산권
3. 국제조약
1) 베른협약
2) 세계저작권협약
3) 로마협약
4) WIPO 관장 조약
4. 우리나라 저작권법의 역사

2장 무엇이 저작권을 바꾸는가
1. 쟁점 1: 미디어의 융합
1) 기술 융합 현상과 뉴미디어
2. 쟁점 2: 모든 것은 디지털로 통한다
1) 디지털저작물의 개념
2) 저작권을 변화시킨 디지털 기술
3) 저작권의 패러다임 전환
4) 기술 발전과 저작인접권의 상관관계
3. 쟁점 3: DRM이 해결사
1) DRM
2) 전송 차단 기술
3) DRM과 저작권
4. 쟁점 4: 저작자와 이용자의 권리 충돌
1) 기술은 양날의 칼
2) ‘잠재적 모호성’에 대한 이론적 함의
5. 쟁점 5: 모두가 인터넷에 모여 있다.
1) 정보통신 기술이 가져온 변화
2) 공중송신권 : 저작권 변화의 신호탄
3) 포털과 저작권
6. 쟁점 6: 1인 미디어 시대
1) 정보통신기술이 이끄는 1인 미디어 시대
2) 1인 미디어 시대의 저작권
3) MP3 파일 교환과 네트워크 효과

3장 디지털 시대의 저작권법 개요
1. 2009년 4월 개정 저작권법 주요내용
1) 개정목적과 이유
2) 개정 주요내용
2. 2007년 이전의 개정
1) 저작권법의 개정
3. 저작권법 용어의 정의
4. 알아두어야 할 기본 원칙과 이론
1) 내국민 대우의 원칙
2) 최혜국 대우의 원칙
3) 최초판매의 원칙
4) 권리소진이론
5. 저작권 침해와 구제
1) 저작권 침해의 요건
2) 표절
3) 아이디어와 표현의 2분법
4) 우연의 일치와 무의식적인 침해
5) 침해정지청구


4장 디지털 시대를 움직이는 주요 저작물
1. 일반 저작물
2. 특수 저작물
1) 2차적저작물
2) 데이터베이스
3) 편집저작물
4) 제호의 저작권
5) 페이스트 판결을 통해 본 창작성의 의미
3. 음악저작물과 영상저작물
1) 저작권의 보호와 존속 기간
2) 음악저작물의 보호
3) 영상저작물과 사진저작물
4) 초상권과 저작권
5) 저작권과 기타 법령
4. 저작재산권
1) 권리의 공공성과 자유이용
2) 자유이용에 대한 정책적 고려


5장 미래의 저작권을 이끄는 것들
1. 저작권의 미래를 향한 움직임
1) 정보공유와 저작권
2) 카피라이트, 카피레프트, 그리고 카피기프트
2. 저작권 제도, 우리의 선택
1) 선택
2) 법과 제도의 보완
3. 기술의 변화와 저작권 연구
1) 앞서가는 기술, 뒤따르는 법
2) 법과 기술을 아우르는 입법
3) 미래지향적인 저작권법과 기술
4)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

부록 2009 개정 저작권법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류종현
고려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텔레비전 뉴스의 제작요인과 신뢰도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사이버스페이스에서 표현의 자유와 프라이버시권의 갈등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 후 서울대학교 전문 분야 법학연구과정을 수료했다. 1984년 1월 1일 MBC 보도국에 입사하여 <카메라 출동> 기자, 걸프전 종군기자를 거쳐 워싱턴 특파원을 지냈다. 재직 중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 10여 년간 저작권에 대해 강의했으며, 고려대학교와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부산대학교 등의 방송언론과 미디어 관련 학과에 출강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방송토론위원, 사단법인 융복합지식학회 부회장, 한국저작권법학회 이사이고 한국정보법학회 종신회원이다. 2007년 여름부터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위원회의 교육조건부 기소유예제도의 전문 강사로 위촉되어 저작권 침해 형사범들의 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2011년 법무부장관 표창을, 2010년과 2013년에 각각 고용노동부장관 표창과 행정안전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내무부장관 표창과 서울시장 감사장 그리고 기자협회 특종상 등을 두루 수상했다.

저서로는 『뉴스 저작권』(2015), 『방송과 저작권』(2013), 『온라인 저작권』(2011), 『1인 미디어』(공저, 2009), 『현대 저작권의 쟁점과 전망』(2008)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텔레비전 뉴스의 제작요인과 신뢰도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사이버스페이스에서 표현의 자유와 프라이버시권의 갈등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 후 서울대학교 전문 분야 법학연구과정을 수료했다. 1984년 1월 1일 MBC 보도국에 입사하여 <카메라 출동> 기자, 걸프전 종군기자를 거쳐 워싱턴 특파원을 지냈다. 재직 중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 10여 년간 저작권에 대해 강의했으며, 고려대학교와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부산대학교 등의 방송언론과 미디어 관련 학과에 출강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방송토론위원, 사단법인 융복합지식학회 부회장, 한국저작권법학회 이사이고 한국정보법학회 종신회원이다. 2007년 여름부터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위원회의 교육조건부 기소유예제도의 전문 강사로 위촉되어 저작권 침해 형사범들의 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2011년 법무부장관 표창을, 2010년과 2013년에 각각 고용노동부장관 표창과 행정안전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내무부장관 표창과 서울시장 감사장 그리고 기자협회 특종상 등을 두루 수상했다.

저서로는 『뉴스 저작권』(2015), 『방송과 저작권』(2013), 『온라인 저작권』(2011), 『1인 미디어』(공저, 2009), 『현대 저작권의 쟁점과 전망』(200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