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도시 모더니즘기에서 전시체제로의 이행을 모던걸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 1920년대, 영화 등의 발달된 미디어를 통해 서양의 도시문화가 유입되기 시작한다. 또한 지하철, 터미널, 백화점이 나타나고, 여행이 일상화되며, 라디오, 비행기 등의 과학기술이 생활의 곳곳에서 현실화됨으로써 화려한 도시문화를 꽃피우게 된다. 이렇게 서양 문물에 영향을 받은 당시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두드러지는데, 그 일본적 형태가 ‘모던걸’이다.
모던걸은 화려한 도시문화의 대표 주자로서, 때로는 기존의 가부장제적 현모양처에 비판적인 존재로서 사고되었다. 일본 제국이 국가적 규모로 전면전을 준비할 때 이러한 여성의 사회화, 나아가 국민화는 필수적이었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갈등이 표출되게 된다. 책에서는 이러한 모던걸들의 사회화, 국민화 과정과 그 갈등양상들을 면밀히 파헤치며 그 의의와 가치를 그리고 있다.
Contents
서장
1부 모던걸과 1920~30년대 일본의 문화지형 1장. ‘모던걸’이라는 담론공간
1. 인식의 아포리아로서의 모던걸
2. 모던걸의 ‘발견’
3. ‘모던’으로 의미한 것, ‘과학’을 말한다는 것
4. 모던걸 담론의 재편 2장. 1920~30년대 일본 영화 속의 모던걸 표상
1. 들어가며
2. 모던걸이 나타나는 일본 영화의 분류
3. 모던걸의 문자 표상과 영상 표상의 유사성과 차이점
4. ‘모던 라이프’에 대한 찬가_고쇼 헤노스케의 “마담과 아내”를 중심으로
5. 도시와 농촌_기타무라 고마쓰라는 각본가
6. ‘모던’ 문화의 젠더 편성
7. 나오며
2부 대중문화가 그리는 모던걸 3장. ‘소비’와 모던걸_기쿠치 간 '수난화'
1. 신여성에서 모던걸로
2. 대중소비사회의 지도_'수난화'의 공간적 의미
3. '후조카이'_‘소비’의 사이클
4. ‘소비’를 둘러싼 이데올로기적 갈등 | 5. 나오며 4장. ‘일본미’를 불러일으키는 모던걸_에도가와 란포의 '황금가면'론
1. 들어가며
2. ''킹''의 독자층_란포를 둘러싼 미디어 환경
3. '음수'의 지적 유희성에서 '황금가면'의 ‘이야기’로
4. '황금가면'의 토픽성
5. ‘일본미’를 일깨우는 모던걸
6. 나오며 5장. 여성 신체의 ‘해부’와 ‘건축’_류탄지 유의 '마코'와 ‘신흥예술파’의 주변
1. 들어가며
2. 현미경 속의 여자, 실험대 위의 여자
3. 여성 신체의 ‘해부’와 ‘건축’
4. 과학과 문학의 ‘아날로지’
5. 초현실주의 회화의 미래 여성도
6. '마코'와 ‘산아조절’을 둘러싼 과학 담론
7. 나오며 6장. 전향과 모던걸의 종식_유메노 규사쿠의 '소녀지옥'론
1. 들어가며
2. 유메노 규사쿠의 탐정소설관
3. ‘수수께끼 여자’에 대한 신문 보도
4. ‘거짓말쟁이 여자’와 ‘강박증 남자’의 거울 이미지적 관계
5. ‘공포’의 릴레이에서 ‘저항’의 릴레이로
6. 여성을 위한 5 ' 15 사건
7. 나오며 7장. 경계를 넘는 모던걸_오즈 야스지로의 “도쿄 여자” 속의 오카다 요시코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소녀지옥'과 “도쿄 여자”의 유사성
3. “도쿄 여자”의 이동쇼트 분석
4. “이웃집 야에짱”에 나타나는 오카다 요시코의 ‘타자성’
5. 경계를 넘는 모던걸 8장. 1930년대 일본 영화 속의 여성 담론_“새로운 땅”과 천황제 내셔널리즘의 대중화
1. 서론
2. “새로운 땅”의 ‘역오리엔탈리즘’ 전략
3. 일본의 자연미, 일본 여성, 그리고 모던의 두 얼굴
4. 천황제 내셔널리즘의 대중화
5. ‘모던걸’에서 ‘모성’으로_기쿠치 간 '정조문답'을 통해
6. 가부장제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
7. 결론
결장. 모던걸 담론공간의 소멸
저자 후기
Author
신하경
숙명여자대학교 일본학과 일본대중문화 및 장르문학 전공 교수이다. 저서로는 『모던걸-일본제국과 여성의 국민화』, 『'전후 일본, 그리고 낯선 동아시아』(공저) 등이 있다.
숙명여자대학교 일본학과 일본대중문화 및 장르문학 전공 교수이다. 저서로는 『모던걸-일본제국과 여성의 국민화』, 『'전후 일본, 그리고 낯선 동아시아』(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