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을 돌보는 법

$19.44
SKU
978896356352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6/15
Pages/Weight/Size 182*257*20mm
ISBN 9788963563527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저자는 요양원과 요양보호사 교육원을 운영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노인을 돌봐야 하는 요양보호사 혹은, 보호자에게 노인을 중심으로 케어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보건복지부에서 발행한 요양보호사 양성과정 교재를 근거로 하여 집필하였다.

인간은 나이가 들면서 전체적으로 기능이 저하되는 과정을 겪게 되며 이러한 기능감소로 노화가 진행되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능력이 감소된 사람을 노인이라 한다. 노인은 65세를 기준으로 다양한 사회적 혜택을 받게 되지만, 전체적 기능저하로 나타날 수 있는 치매, 뇌졸중, 파키슨 같은 노인성 질환과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사회적 기능저하로 나타난다. 이러한 질환에 대하여 노인을 돌봐야 하는 요양보호사 혹은 보호자들이 이 책을 통하여 노인을 이해하고 돌보는 방법을 익혀 마지막까지 편안하고 행복한 여생을 누리는 노인으로 살 수 있도록 돌보는 자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Contents
제1장 노인의 특성과 이해 3
1. 신체적 변화의 특성 3
2. 심리적 변화의 특성 3
3. 사회적 변화의 특성 4
4. 가족과의 관계 변화와 이해 5

제2장 치매노인에 대한 서비스 기본원칙 9
1. 식사돕기의 기본원칙 11
2. 배설돕기의 기본원칙 11
3. 개인위생의 기본원칙 13
4. 구강위생의 기본원칙 14
5. 옷 입기 기본원칙 14
6. 운동의 기본원칙 15
7. 침실환경의 기본원칙 16
8. 화장실의 기본원칙 16
9. 욕실의 기본원칙 17
10. 주방의 기본원칙 17
11. 차안에서 기본원칙 17
12. 의사소통의 기본원칙 17
1) 언어적 의사소통 방법의 기본원칙 18
2)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법의 기본원칙 20
3) 치매 단계별 의사소통 20
13. 치매대상자의 문제행동 대처 22
1) 치매대상자의 식사돕기 22
2) 수면장애돕기 23
3) 배회 23
4) 의심, 망상, 환각증상 돕기 24
5) 파괴적 행동 25
6) 석양증후군 26
7) 성행위 27

제3장 시설노인에 대한 서비스 기본원칙 29
1. 식사돕기 29
2. 투약돕기 30
1) 경구약 투약 31
2) 안약이나 안연고 투약 31
3) 귀약투약 32
4) 주사주입 돕기 32
5) 피부건조증 33
3. 세수돕기 33
4. 면도돕기 34
5. 목욕돕기 35
1) 통목욕 돕기 36
2) 샤워돕기 37
6. 두발청결 돕기 38
1) 통목욕시 머리 감기기 39
2) 침대에서 머리 감기기 39
3) 두발 세정제로 머리 감기기 40
7. 머리빗기기 40
8. 구강청결 유지하기 41
9. 입안헹구기 41
10. 칫솔질 하기 42
11. 의치관리 돕기 43
12. 옷 갈아입히기 43
1) 상의갈아 입히기 44
2) 편마비 대상자 옷갈아 입히기 44
3) 체위변경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단추 없는 옷 입히기 45
4) 수액이 있는 대상자에게 단추있는 옷을 입히기 45
5) 체위변경이 필요한 대상자의 단추없는 옷 벗기기 45
6) 하의를 갈아 입히기 45
13. 체위변경 46
14. 이동 도움 48
1) 편마비 대상자 이동돕기 49
2) 하반신마비, 사지마비 대상자 이동돕기 50
3) 휠체어 이동 돕기 51
15. 보행 돕기 55
1) 선자세에서 돕기 55
2) 보행 벨트를 사용시 이동돕기 56
3) 성인용 보행기 돕기 56
4) 지팡이 보행돕기 56
16. 이송 돕기 57
17. 배설도움 58
18. 화장실 사용돕기 59
19. 침상 배설 돕기 60
20. 이동변기 사용 돕기 62
21. 기저귀 사용돕기 63
22. 계절에 따른 안전수칙 65

제4장 일상생활 지원 서비스 67
1. 주거환경 67
2. 실내청소 68
3. 주방 68
4. 화장실 68
5. 쓰레기 분리 68
6. 물품 및 주변 정돈 69

제5장 개인활동 지원 서비스 71
1. 동행 전 71
2. 동행 중 71
3. 동행 후 72
4. 일상업무 대행 전 72
5. 일상업무 대행 중 72
6. 일상업무 대행 후 72
7. 정보 제공 전 73
8. 정보 제공 중 73
9. 정보 제공 후 73

제6장 정서 지원 서비스 75
1. 언어적 의사소통 75
1)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75
2) 공감하기 76
3) 말하기 77
4) 효과적인 말하기 방법 77
5) 나-전달법(I-Message전달법) 77
6) 침묵 78
7) 수용 78
8) 의사소통 장애가 없는 대상자와 의사소통하는 방법 79
9) 대상자 가족과 의사소통 방법 79
10) 관련 전문직 및 시설장과 의사소통 방법 79
2. 비언어적 의사소통 79
1)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경우 80
2) 시각장애 80
3) 언어장애 80
4) 판단력, 이해력장애 80
5) 주의력결핍장애 81
6) 지남력장애 81

제7장 응급상황 대처 83
1. 응급상황 시 돕는 방법 83
2. 질식 84
3. 경련 84
4. 뇌전증 84
5. 화상 85
6. 골절 86
7. 출혈 86
8. 약물 오남용 87
9. 심폐소생술 87

제8장 임종에 관한 요양보호 서비스 89
1. 임종 징후 89
2. 임종 적응 단계기 89
3. 신체·정신적 변화 증상 90
4. 임종 대상자의 심리변화 92
5. 임종대상자에 대한 요양보호 92
6. 임종 후 요양 서비스 92
7. 임종 대상자 가족에 대한 요양보호 방법 93

[ 부록 ]

Ⅰ. 영양팀 99
1. 음식 조리법 100
2. 암 예방을 위한 섭취 방법 100
3. 수분 섭취방법 101
4. 노인의 영양관리의 중요성 102
5. 식사관리의 중요성 103
6. 노인을 위한 식생활지침 104
7. 노인기의 주요 질환 105
7-1. 당뇨병 105
7-2. 고혈압 105
7-3. 씹기장애와 삼킴장애 106
7-4. 변비 107
7-5. 골다공증 107

Ⅱ. 조리팀-식사 준비 109
1. 식재료 구매 및 보관방법 109
2. 조리방법 109
2-1. 볶기 110
2-2. 삶기 110
2-3. 튀기기 110
2-4. 무침 110
2-5. 찜 110
2-6. 굽기 111
3. 식품, 식기 등 위생관리 111
3-1. 생선 111
3-2. 조개류 112
3-3. 채소류 112
3-4. 데친 채소 112
3-5. 육류 112
3-6 닭고기 113
3-7. 달걀 113
3-8. 과일 보관법 113
3-9. 냉장실 온도 114
3-10. 냉동실 온도 114
3-11. 식품의 안전관리 원칙 114
3-12. 식기 및 주방의 위생관리 116
4. 싱크대 배수구 위생관리 방법 116
4-1. 찬장 또는 싱크대 116
4-2. 냉장고 116
4-3. 수세미와 행주 116
4-4. 그릇 및 조리기구 117
4-5. 고무장갑 117
4-6. 플라스틱 용기 117
4-7. 설거지 117

Ⅲ. 위생팀 119
1. 의복관리 119
2. 침상 청결관리 119
3. 침구의 선택 및 정리 120
3-1. 이불 120
3-2. 요 120
3-3. 리넨류 120
3-4. 베개 121
4. 세탁하기 121
4-1. 세탁 방법 121
4-2. 의복과 옷감에 생긴 얼룩을 제거하는 방법 122
5. 삶기 123
6. 탈수하기 123
7. 헹구기 123
8. 건조하기 123
9. 세탁 후 관리 124
10. 다림질 124
11. 의류보관법 124

Ⅳ. 의료보건팀 125
1. 경관영양식 125
2. 약 보관 방법 126
3. 유치도뇨관 126
4. 약물사용 127
4-1. 노인의 약물사용 방법 128
5. 예방접종 128

Ⅴ. 요양보호팀 131
1.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 131
2. 기억력 장애 131
3. 노인 우울증 131
4. 야간섬망 132
5. 뇌졸중의 전구증상 132
6. 파킨슨질환 132
6-1. 파킨슨질환 대상자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활동 132
7. 당뇨병 대상자의 발 관리 원칙 133
7-1. 당뇨병 대상자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활동 133
8. 녹내장 대상자의 일상생활 주의사항 133
8-1. 녹내장 대상자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활동 133
9. 고혈압 134
9-1. 고혈압 완화에 좋은 운동 134
9-2. 고혈압 관리법 134
10. 빈혈 135
10-1. 빈혈 대상자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활동 135
11. 금식 136
12. 변비 136
13. 천식 기관지확장제(흡인기) 사용 순서 136
14. 폐결핵 치료를 위한 약물 복용 136
14-1. 폐결핵 대상자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활동 137
15. 결핵 감염 예방을 위한 기침 예절 137
16. 고관절 골절 138
17. 전립성 비대증 138
18. 치매 대상자의 사고발생 원인 138
19. 치매 대상자의 식사 시 고려할 점 139
20. 치매 대상자가 변을 만지는 이유 139
21. 치매 대상자와의 효과적인 대화의 예 139
22. 치매 대상자가 의사 표현을 하도록 돕는 방법 139
23. 치매 대상자와 의사소통 시 고려할 사항 140
24. 치매 대상자별 의사소통 전략 140
25. 치매 대상자와 의사 소통방법 140
25-1. 치매 대상자와 비언어적인 표현 방법 140
26. 치매 대상자 행동관찰의 중요성 141
26-1. 식사를 계속 달라고 하는 경우 141
26-2. 사고 위험 142
26-3. 치매 대상자가 자존심이 상한 경우 142
26-4. 혼자서 집을 나가 길을 잃은 경우 143
27. 치매 대상자의 문제행동 사례 143
28. 스스로 식사하는 대상자를 지켜보는 방법 145
29. 반복적인 질문이나 행동을 하는 이유 145
30. 반복적 행동의 예 145
31. 치매 대상자의 음식섭취 관련 문제행동의 예 145
32. 음식섭취 관련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이유 145
33. 노인의 영양문제 146
34. 식사구성안을 이용한 식사계획 원칙 146
35. 식사 원칙 146
36. 음식섭취 관련 문제행동 146
37. 치매 대상자가 의심이 많은 이유 147
38. 환각 147
39. 치매 대상자의 파괴적 행동의 특징 147
40. 석양증후군의 특성 147
41. 손 씻기의 장점 147
42. 사레 예방법 148
43. 경관영양식 대상자를 오른쪽으로 눕히기 148
44. 비위관이 빠진 경우 148
45. 경구약 복용 시 주의점 148
45-1. 가루약 148
45-2. 알약 149
45-3. 물약 149
45-4. 안약 149
45-5. 주사주입 149
46. 손발청결 149
47. 치매노인이 목욕을 싫어하는 이유 150
48. 치매노인이 화장실을 가고 싶을 때 150
49. 배설물 상태를 보고해야 하는 경우 150
50. 언어적 의사소통을 할 때 주의점 150
51.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중요한 이유 150
52. 나-전달법(I-Message전달법) 151
53. 노인성 난청 대상자와 이야기하는 방법 151
54. 시각장애 대상자와 이야기하는 방법 152
55. 언어장애 대상자와 이야기하는 방법 152
56. 판단력, 이해력장애 대상자와 이야기하는 방법 152
57. 주의력결핍장애 대상자와 이야기하는 방법 152
58. 지남력장애 대상자와 이야기하는 방법 153
59. 질식 시 대상자의 주요 증상 153
60. 근골격을 다친 경우 153
61. 약물부작용 153
62. 안전한 약 사용을 위한 3단계 154
63. 요양보호사가 임종 대상자 요양보호시 고려할 점 154
64. 임종 시기별 요양보호 154

Ⅵ. 노인 요양시설 어르신을 위한 기본 환경관리 155
1.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관리 155
2.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 155
2-1. 현관 155
2-2. 거실 156
2-3. 방 156
2-4. 부엌과 식당 156
2-5. 화장실과 욕실 157
2-6. 계단 157
3.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157
3-1. 환기 157
3-2. 실내온도 158
3-3. 실내습도 158
3-4. 소음 158
3-5. 채광 158
3-6. 조명 159
Author
김리겸
약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 석사(유아교육과)
협성대학교 교육학 박사(상담심리학 전공)
(前) 두담요양원 대표
(前) 두담요양보호사 교육원 대표
(現) 두담디앤씨 대표
(現) (주)두담앤 금빛 에듀케어센터 대표이사

논문
「남편의 양육 태도와 아내의 양육 스트레스 및 부부갈등과의 관계」(2014)
「남편의 양육 태도가 아내의 양육 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2015)
「누리과정 지도 중점서를 근거한 교사의 창의성 교육 요구도 분석」(2019)
약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 석사(유아교육과)
협성대학교 교육학 박사(상담심리학 전공)
(前) 두담요양원 대표
(前) 두담요양보호사 교육원 대표
(現) 두담디앤씨 대표
(現) (주)두담앤 금빛 에듀케어센터 대표이사

논문
「남편의 양육 태도와 아내의 양육 스트레스 및 부부갈등과의 관계」(2014)
「남편의 양육 태도가 아내의 양육 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2015)
「누리과정 지도 중점서를 근거한 교사의 창의성 교육 요구도 분석」(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