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동아시아 역사 속의 류큐병합
중화세계질서에서 식민지 제국 일본으로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0/01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63474267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근대 동아시아 역사 속의 류큐병합 -중화세계질서에서 식민지 제국 일본으로-』는 1872년에서 1879년에 걸쳐서 진행된, 일본의 주류역사학에서는 ‘류큐처분’이라고 칭하는, 독립 류큐왕국이 제국주의국가로 변해가던 일본에 병합되는 과정의 역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책은 기존의 일본 주류역사학의 관점과 대치되는 두 가지 문제의식에 근거해서 고찰을 진행하는데, 그 하나는 ‘류큐처분’’의 역사를 병합자가 아닌 피병합자의 위치에서 역사를 파악한 시점의 차이이고, 또 다른 관점은 류큐병합의 역사를 ‘일본사’의 좁은 과정이 아니라 ‘동아시아 역사’라는 보다 확장된 역사적 맥락에서 파악했다는 것이다.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7
추천의 글 17
서장 문제의식과 본서의 구성 23
제1절 본 연구의 문제의식 23
제2절 본서의 구성 35
제1장 근세 동아시아 속의 류큐왕국 47
제1절 전근대 동아시아의 국제질서 48
1. 중화세계질서와 류큐왕국 48
2. 해상교역국가 54
제2절 사쓰마 시마즈씨의 류큐 침공 59
1. 시마즈씨의 류큐 침공 59
2. 지배를 둘러싼 정통화의 문제 66
3. 전근대적인 식민지적 착취라는 문제 71
제3절 도쿠가와 체제와 대외관계 76
1. 도쿠가와 정권과 체제 76
2. 도쿠가와 일본의 대외관계 81
3. 도쿠가와 정권과 류큐, 조선 85
4. 일본형 화이질서라는 문제 94
제4절 근세 류큐왕국의 내부 구조 98
1. 류큐왕부와 신분제사회 98
2. 지방 관리와 백성 109
제5절 근세말 외국함대의 내항과 ‘마키시·온가 사건’[牧志·恩河事件] 112
1. 외국함대의 류큐 내항 112
2. 마키시·온가 사건[牧志·恩河事件]과 『류큐삼원록[琉球三寃 ]』 119
3. 마키시·온가 사건과 ‘류큐처분’ 130
제2장 류큐번왕 책봉과 그 역사적 의미 137
제1절 선행연구의 소개와 검토 138
1. ‘류큐처분’의 시작 시기에 대하여 138
2. 긴조 세이토쿠 『류큐처분론』[琉球處分論] 146
3. 아라키 모리아키 ‘류큐처분론’ 150
제2절 유신정권의 중앙집권화 정책 157
1. 판적봉환과 ‘왕토왕민’사상 157
2. 폐번치현과 가고시마 164
제3절 가고시마현에 의한 류큐 관할의 계속 169
1. 가고시마현에 의한 류큐 관할의 근거 169
2. 대만(출병) 문제의 생성 178
제4절 류큐번왕 책봉과 그 의미 181
1. 정부 내의 여러 건의들 181
2. 번왕책봉에 의한 류큐의 ‘번속’화 188
3. 류큐번왕 책봉의 역사적 의미 197
제5절 번왕책봉과 대만출병론 205
1. 육군대보 야마가타 아리토모[山 有朋]의 건의 205
2. 가바야마 스케노리 일기(『대만기사』(台 記事)) 208
3. 대만출병 문제와 그 이후 216
4. 류큐번왕 책봉의 역사적 의미·재론 225
제3장 정한론정변과 대만출병 233
제1절 메이지 초기의 조선과 류큐 234
1. 왕정복고와 조선문제 234
2. 조선과 류큐의 유비성(類比性) 242
제2절 대만문제에서 정한론정변으로 249
1. 대만문제와 소에지마 다네오미(副島種臣)의 청국 파견 249
2. 정한론정변 257
제3절 대만출병과 북경교섭 265
1. 정벌군 출병 강행 265
2. ‘일본국 속민 등(日本 民等)’ ‘보민의거(保民義 )’ 273
제4장 ‘류큐번 처분’의 본격화에서 강제병합까지 277
제1절 류큐병합사의 논의 방식에 대하여 278
제2절 ‘류큐번 처분’의 본격화 286
1. 번왕 책봉 후의 류큐 286
2. 도쿄 담판 297
제3절 마쓰다 미치유키[松田道之]의 류큐 출장 305
1. 권력 상황하의 설유와 응답 305
2. 긴박했던 일주일 318
제4절 마쓰다의 복명서(復命書)와 기샤바의 실록 326
1. 마쓰다 ‘봉사류큐시말[奉使琉球始末]’과 기샤바의 관찰 326
2. 계속되는 도쿄에서의 청원 332
제5절 ‘폐번지현’ 처분으로서의 강제병합 337
1. 마쓰다의 처분안과 최후 통고 337
2. 슈리성 접수 347
3. 번왕의 상경 강요 353
4. 지속되는 불복의 저항 362
제5장 근대 동아시아사 안의 두 개의 병합 371
제1절 류큐의 조공금지를 둘러싼 청일대립 372
1. 조공금지에 대한 청국의 항의 372
2. 여러 외국의 항의 381
제2절 그랜트의 알선과 청일간의 분도개약 교섭 388
1. 류큐문제를 둘러싼 청일간의 논쟁 388
2. 그랜트(Grant)의 알선과 분도개약 교섭 399
3. 망명 류큐인의 구국청원운동과 분도안의 소멸 405
제3절 류큐병합에서 조선 문제로 416
1.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416
2. 1880년대 후반의 청일수호조규 개정교섭과 류큐 안건 423
제4절 청일전쟁과 조선·오키나와 429
1. 청일 대립·전쟁의 초점으로서의 조선 429
2. 청일전쟁 전후의 오키나와 434
제5절 두 개의 병합, 류큐와 조선 441
1. 러일전쟁에서 한국병합으로 441
2. 두 가지의 동조론(同祖論), 동화주의와 황민화 447
3. 전후의 ‘류큐처분’ 연구와 류일동조론의 심리적 속박 455
보론 기샤바 조켄과 『류큐견문록』 465
제1절 ‘류큐처분’연구의 두 가지 기본 사료 465
1. 마쓰다 미치유키 편집 『류큐처분』 465
2. 기샤바 조켄의 생애와 저작 472
제2절 『류큐견문록』의 성립 사정 477
1. 집필 목적과 만년(晩年)의 간행 477
2. 패전 후 재간행 487
제3절 말년에 집필한 『도테이 수필』 490
1. 이하 후유와 교류 490
2. 쇠퇴한 필력 493
제4절 젊은 날의 기샤바 조켄 497
1. 최고학부 ‘국학’에서 배우다 497
2. 국왕 ‘소바쓰카에[側士]’의 지위 504
제5절 이하 후유 이후의 ‘류큐처분’연구 512
1. 이하 후유의 류큐처분=해방설 512
2. 전후 역사학과 민족이라는 주제 518
종장 523
저자 후기 543
역자 후기 547
류큐병합 관계 연표 555
색인 567
Author
나미하라 쓰네오,윤경원,박해순
류큐대학교 법문학부
마쓰다 도시히코(松田利彦, MATSUDA Toshihiko)
류큐대학교 법문학부
마쓰다 도시히코(松田利彦, MATSUDA Toshihi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