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자원의 영역들

$30.24
SKU
978896347413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6/3 - Fri 06/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Fri 05/3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6/26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88963474137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공동자원 연구의 새로운 경향을 자연, 도시, 지식, 사회의 영역으로 재구성하여 소개한 연구소인『공동자원의 영역들』이 발간되었습니다.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가 발간하는 ‘공동자원연구총서’ 열번째 저작이다.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는 현대사회가 자연과 관계맺는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11년 설립된 제주대학교 SSK연구단으로 시작되었으며, 2016년부터는 축적된 이론적, 경험적 성과를 ‘공동자원연구총서’라는 이름으로 발간하기 시작했다. 연구단 초기의 문제의식은 공동우물, 공동목장, 공동어장 등 제주의 풍부한 공동자원 사례를 대상으로 제주의 ‘자연 공동자원’의 유지 및 파괴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지키기 위한 노력과 실천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노력은 공동자원 연구총서 1,2권인 『공동자원의 섬 제주 1 : 땅, 물, 바람』, 『공동자원의 섬 제주 2 : 지역 공공성의 새로운 지평』으로 결실을 맺었다.

이러한 연구센터의 작업의 근본적인 문제의식은 2009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엘리너 오스트롬의 선구적 작업을 수용하고 이를 한국적 상황에 적용시켜 발전하는 방식으로 제기된 것이다. 자연 공동자원을 중심으로 제기되었던 오스트롬의 문제의식은 2000년 대 중반 이후 지식, 도시, 사회 공동자원의 영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러한 발전 과정의 전개와 양상을 논의하기 위해 연구센터는 2019년 2월 “동아시아 공동자원의 동학”이라는 제하에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기에 이른다. 『공동자원의 영역들』은 이 국제학술대회에서 소개된 공동자원 연구주제의 다양성을 소개하는 세계 각국의 작업 성과를 소개하기 위해 기획된 학술서이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박서현 3

제1부 자연과 공동자원 23
1장   마가렛 A. 맥킨, “공동자원과 집합재 그리고 자본주의” 25
2장   최현, “공동자원론으로 본 제주개발사 ” 51
3장   미쓰마타 가쿠, 사이토 하루오, “외부 효과와 공동자원에 미치는 그 영향
: 아이치현 도요타시 재산구의 사례 연구” 73
4장   김자경, “재해, 회복탄력성, 공동자원: 동일본 재해 복구지역을 중심으로” 103

제2부 도시와 공동자원 135
5장   장훈교, “다중심적 도시이동 공동자원체계를 위한 시론” 137
6장   윤여일, “축소형 사회의 도래와 현대총유론” 173
7장   홍덕화, “전환적 사회혁신과 고령사회 대응: 도시 녹색 공동자원을 중심으로” 209

제3부 지식과 공동자원 247
8장   박서현, “한국 학계에서 지식 커먼즈의 생산과 공유에 대하여” 249
9장   이항우, “블록체인의 디지털 민주주의: 자유지상주의를 넘어 커먼주의로” 285
10장   스테판 메레츠, “공동관리주의자가 생산한 생계수단들” 329

제4부 사회와 공동자원 377
11장   정영신, “커먼즈론에 입각한 사회변동 연구를 위한 개념적 접근” 379
12장   브레드 M. 프리쉬만, “경제적 시각에서 본 기반시설 공동자원” 415
13장   유스티나 호프모클, “인터넷 공동자원에 대한 종합 이론을 향해” 435
14장   애눌라 앨, “여성과 공동자원체계: 젠더 정의와 관계 맺기” 477
Author
최현,장훈교,윤여일,박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