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반당한 평화

한국의 베트남·이라크 파병과 그 이후
$21.60
SKU
978896347333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6/15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88963473338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배반당한 평화 - 한국의 베트남?이라크 파병과 그 이후』는 모두 8개의 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서론에 해당하는 1부에서는 문제제기와 연구목적이 기술되며 2부에서는 선행연구검토와 이론적 배경을 살핀 후 이 책에서 사용할 분석틀을 제시합니다. 3부와 5부는 베트남과 이라크에 파병이 진행되는 과정을 결정요인, 결정과정, 파병결과로 나누어 소개합니다. 베트남 파병의 경우 대외적으로 냉전적 시기였으며, 박정희 정권의 자발적인 의지에 따라 장기적인 전투병 파병이 이루어 졌으며, 파병을 통해 강화된 군사 전력을 바탕으로 남북간의 군사적 갈등이 고조되었고, 독재정권의 강화로 귀결되었습니다. 이라크 파병의 경우 탈냉전 시기에 북핵문제 해결이라는 한반도 평화 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미국의 협조를 끌어내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서 비전투병이 비교적 단기적으로 파견되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파병을 중심으로 국내에서 격렬한 논쟁이 진행되면서 한반도 평화와 한미동맹에 대한 논의의 지평이 확장된 측면이 있습니다. 6부는 이라크 파병반대운동에 할애되었으며, 7부는 향후 능동적으로 수행해야 할 파병정책에 대한 쟁점과 전망을 소개했습니다. 마지막 8부는 결론으로서 민주주의 발전에 바탕을 둔 평화주의적 파병의 길에 대한 저자의 희망이 피력되어 있습니다.
Contents
간행사………………………………………………………………………13

Ⅰ. 문제제기와 연구목적……………………………………………………16
1. 문제제기………………………………………………………………17
2. 연구목적………………………………………………………………22
3. 책의 구성……………………………………………………………25

Ⅱ.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28
1. 선행연구 검토………………………………………………………29
1) 이라크 파병 연구…………………………………………………29
2) 이라크 파병반대운동 연구………………………………………33
3) 베트남 파병 연구…………………………………………………37
2. 이론적 배경…………………………………………………………43
1) 제한적 합리성……………………………………………………43
2) 위기 ………………………………………………………………47
3) 양면게임…………………………………………………………49
3. 분석틀…………………………………………………………………51

Ⅲ. 파병 결정요인……………………………………………………………56
1. 대외적 요인…………………………………………………………57
1) 파병 지역의 상황…………………………………………………57
2) 한반도 안보 상황…………………………………………………65
3) 한미 동맹관계……………………………………………………76
2. 대내적 요인…………………………………………………………86
1) 정치적 요인………………………………………………………86
2) 경제적,군사적 요인……………………………………………92
3) 사회적 요인 ………………………………………………………99
3. 소결: 공통점과 차이점……………………………………………103

Ⅳ. 파병 결정과정…………………………………………………………106
1. 상황 규정…………………………………………………………107
2. 반테러전 개시와 파병 요청………………………………………109
3. 파병반대운동의 등장과 파병안 통과 ………………………113
4. 전투병 파병 요구를 둘러싼 해석………………………………119
5. 한국의 선택지들…………………………………………………123
6. 최적의 선택?………………………………………………………128
1) 1단계: 합리성 훼손 가능성 통제 ………………………128
2) 2단계: 기대효용의 극대화……………………………………130
7. 1차 파병 대 2차 파병……………………………………………137
8. 파병 연장과 철수 결정……………………………………………145
9. 베트남 파병 결정과정……………………………………………152
1) 1, 2차 파병 경과………………………………………………152
2) 3, 4차 파병 경과………………………………………………158
10. 소결: 이라크 파병 대 베트남 파병 ………………………167
Ⅴ. 파병 결과………………………………………………………………170
1. 한반도………………………………………………………………171
1) 럭비공 같은 북핵문제…………………………………………171
2) 베트남 파병과 한반도 위기…………………………………181
2. 이라크와 베트남…………………………………………………190
1) 이라크 전쟁의 충격과 상흔 ………………………190
2) 이라크 파병의 명암……………………………………………202
3) 베트남전에서의 희생과 오점…………………………………217

Ⅵ. 이라크 파병반대운동…………………………………………………226
1. 평화운동 연구의 필요성…………………………………………227
2. 분석의 틀과 범위…………………………………………………230
3. 파병반대의 명분과 실리…………………………………………233
1) 파병의 기대효과………………………………………………233
2) 파병 반대의 명분………………………………………………238
3) 파병 반대의 실리………………………………………………241
4. 파병반대운동의 전개……………………………………………247
1) 1차파병 반대운동(2002.10-2003.8………………………247
2) 추가파병 반대운동(2003.9-2004.4) ………………………254
3) 파병연장 반대운동(2004.4-2005.12) ………………………262
5. 파병반대운동의 평가……………………………………………267
1) 미시적 평가……………………………………………………268
2) 거시적 평가……………………………………………………272
Ⅶ. 파병정책의 쟁점과 전망……………………………………………276
1. 해외 파병 현황……………………………………………………277
2. 파병정책의 쟁점…………………………………………………282
1) 파병 확대 찬성…………………………………………………282
2) 파병 확대 반대…………………………………………………293
3. 파병정책의 전망…………………………………………………303

Ⅷ. 결론……………………………………………………………………312
1. 요약과 평가………………………………………………………313
2. 평화주의적 파병의 길……………………………………………318
Author
서보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