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이 묻고 소크라테스가 답하다』는 플라톤과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통해서 인생의 여러 의미에 대해 묻고 답한다. 최선, 절제와 같은 삶의 태도부터 법, 정의, 국가와 같은 주제에 대해서 다룬다.
Contents
머리말 취업에 시금석이 된 인성
제1장 철학을 가진 사람 -『변명』을 중심으로
I. 출근
1. 할 일이 있다는 것
2. 가진 자의 양면성
3. 갖지 못한 자의 변명
II. 변명
1. 배[腹]에 산이 생겼어요
2. 진실한 것
3. 거짓된 것
III. 신이라는 최고 지도자
1. 심심풀이라는 이름의 철학관
2. 가장 현명한 사람
3. 믿을 수 없는 신탁
IV. 너 자신을 알라
1. 가만있으면 중간은 간다
2. 아는 것이 힘이다
3. 모르는 것이 약이다
V. 계급장 때고 함께 뛰는 지휘관
1. 의무와 명령의 중요성
2. 명예냐, 위신이냐
3. 삶의 즐거움
VI. 자신의 철학을 갖는다는 것
1. 휴식, 돌아 갈 곳이 있다는 것
2. 오늘 일은 오늘로
3. 출근과 동시에 일을 할 수 있다는 것
제2장 진정한 설득 -『고르기아스』를 중심으로
I. 면접
1. 회사가 원하는 상품
2.‘나’라는 상품을 팔아라
3. 면접관을 움직여라
II. 설득
1. 고정관념을 깨라
2. 위장하라
3. 경계를 지키자
III. 최선
1. 불의를 저지르는 것은 나쁘고 비참하다
2. 불의를 저지르는 것이 불의를 당하는 것보다 더 나쁘다
3. 불의를 저지르고 처벌받지 않는 것이 가장 나쁘다
IV. 정의
1. 한 사람 대 여러 사람
2. 여러 사람 대 한 사람
3. 한 사람 대 한 사람
V. 절제
1. 늑대의 탈을 쓴 양
2. 양의 탈을 쓴 늑대
3. 양의 탈을 쓴 양, 늑대의 탈을 쓴 늑대
VI. 정치가의 웅변술
1. 진실과 거짓
2. 거짓과 거짓
3. 진실과 진실
제3장 모두가 만족하는 100% 법률을 위하여 -『크리톤』을 중심으로
I. 규율
1. 나의 법
2. 너의 법
3. 우리의 법
II. 특권
1. 가진 사람의 누림
2. 갖지 못한 사람의 서러움
3. 베푸는 사람의 미덕
III. 정당성
1. 원칙
2. 주장
3. 의견
VI. 합의 한 법은 사회적 합의며 약정이다
1. 담백한 맛
2. 적당한 기름기와 소금기
3. 곰탕의 믿음 철학
V. 실천
1. 올바른 일과 올바르지 못한 일
2. 당함과 앙갚음
3. 사인적인 것과 공적인 것
VI. 악법도 법이다
1. 판결에 승복
2. 그래도 미련이 남다
3. 공인(公人)이란
제4장 진정한 덕이란 무엇인가 -『메논』을 중심으로
I. 출사표(出師表)
1. 용인술(用人術)이란
2. 인재(人材)란
3. 유명한 사람[有名人]이란
II. 인연
1. 번뇌
2. 조화
3. 인내와 노력
III. 자체발광
1. 도덕의 마지노선
2. 실사구시(實事求是)
3. 지혜
IV. 선천성과 후천성
1. 성선설(性善說)
2. 성악설(性惡說)
3. 성무선악설(性無善惡說), 성선악혼재설(性善惡混在說)
V. 실천
1. 아테네의 위대한 건축가 페이디아스
2. 아테네의 기틀을 마련한 테미스토클레스
3. 마라톤 전쟁의 영웅 아리스테이데스
VI. 최고 정치가, 도덕적이어야 하나
1. 밤 말을 듣는 쥐
2. 낮말을 듣는 새
3. 백성의 모든 얘기를 듣는 최고 정치가
제5장 지혜로운 삶, 쾌락적인 삶, 그리고 중용이란 무엇인가 - 『필레보스』를 중심으로
I. 사랑
1. 동성애
2. 가족애
3. 지혜와 즐거움
II. 열정
1. 열정에는 한계가 없다
2. 열정에는 한계가 있다
3. 즐거움에는 더함도 있고 덜함도 있다
III. 쾌락
1. 홀수 잔의 매력
2. 각 일 병, 혼술의 비애
3. 술이 주는 오감의 즐거움
IV. 몸의 즐거움
1. 가장 강렬한 즐거움
2. 고통이 섞인 즐거움
3. 영혼의 괴로움
V. 순수한 즐거움
1. 참된 즐거움
2. 순수한 즐거움
3. 좋은 것과 다른 즐거움
VI. 앎의 즐거움
1. 지식의 종류와 기준
2. 좋음의 특징
3. 좋은 것의 순서
제6장 정치 지도자의 지도력과 정의에 대하여 -『국가』를 중심으로
I. 정의란 무엇인가
1. 거짓말
2. 빌린 물건
3. 강자의 이익
II. 지도자가 되는 길
1. 만들어지는 지도자
2. 지도자에게 가르치지 말아야 할 것
3. 지도자에게 가르쳐야 할 것
III. 지도자의 생활
1. 감추어야 할 것
2. 지도자가 모방하지 말아야 할 것
3. 건강한 지도자가 되려면
IV. 국가의 조직
1. 지도자 찾기
2. 국가의 조직도
3. 남녀의 서로 다른 직업
V. 위정자란 무엇인가
1. 위정자의 조건
2. 위정자의 타락
3. 맑은 영혼을 가진 위정자
VI. 위정자의 후계자
1. 귀족형 통치자
2. 민주주의형 통치자
3. 독재형 통치자
참고한 책 및 더 읽으면 좋을 책
Author
서정욱
배재대학교 심리철학상담학과 명예교수. 계명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 철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배재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고대 그리스 철학과 신칸트학파, 논리학 분야에서 여러 논문과 저서를 펴내며 연구 활동을 해왔다. 학술 분야 이외에 청소년과 일반 대중을 위한 철학 강의에도 관심이 많다. 특히 어릴 때부터 철학적 사고를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청소년을 위한 철학책을 다수 집필했으며, 소설이나 동화 또는 만화 형식을 빌려 철학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고자 노력했다.
저서로는 『만화 서양 철학사』 1, 2, 3권과 『플라톤이 들려주는 이데아 이야기』 『아리스토텔레스가 들려주는 행복 이야기』 『푸코가 들려주는 권력 이야기』(2008년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청소년 권장도서) 『철학의 고전들』(2009년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청소년 권장도서), 『푸코가 들려주는 권력 이야기』 등이 있다. 또한 『소크라테스, 구름 위에 오르다』, 『아리스토텔레스, 시소를 타다』(2015년 문화체육관광부 세종도서)로 철학 소설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
배재대학교 심리철학상담학과 명예교수. 계명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 철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배재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고대 그리스 철학과 신칸트학파, 논리학 분야에서 여러 논문과 저서를 펴내며 연구 활동을 해왔다. 학술 분야 이외에 청소년과 일반 대중을 위한 철학 강의에도 관심이 많다. 특히 어릴 때부터 철학적 사고를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청소년을 위한 철학책을 다수 집필했으며, 소설이나 동화 또는 만화 형식을 빌려 철학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고자 노력했다.
저서로는 『만화 서양 철학사』 1, 2, 3권과 『플라톤이 들려주는 이데아 이야기』 『아리스토텔레스가 들려주는 행복 이야기』 『푸코가 들려주는 권력 이야기』(2008년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청소년 권장도서) 『철학의 고전들』(2009년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청소년 권장도서), 『푸코가 들려주는 권력 이야기』 등이 있다. 또한 『소크라테스, 구름 위에 오르다』, 『아리스토텔레스, 시소를 타다』(2015년 문화체육관광부 세종도서)로 철학 소설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