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이후 탁월한 연구 논문만을 모아도 몇 권의 단행본이 될 만큼 신동엽 시인은 한국 현대시 연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작가다. 당대 최고의 시인이라는 찬사가 무색하게 잊혀져 갔지만 지금 시대 다시 읽히고 있다. 시인 신동엽의 삶과 문학은 그야말로, 시로 장식되었고, 사랑으로 채워졌으며, 혁명으로 태워졌던 알맹이다. 이 책은 신동엽 시인이 서거하고 30주기를 기념하여 1999년에 구중서, 강형철 편으로 출판된 『민족 시인 신동엽』이후의 성과, 즉 2000년 이후의 연구 중 뛰어난 논문만을 선정해 엮은 논문집이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신동엽 삶과 연구사
새롭게 확장되는 신동엽 / 김응교
히라야마 야키치, 신동엽과 회상의 시학 / 김응교
제2부 신동엽 시에 대한 새로운 분석
신동엽 시의 환유와 제유 / 권혁웅
신동엽의 '생명공동체'와 영화 '아바타' / 이민호
신동엽 시「종로 5가」ㆍ「껍데기는 가라」와 일본어역 / 김응교
시집『아사녀』와 '낙지발' / 김응교
신동엽 시의 서정 양상 / 양은창
신동엽 시의 '지역'과 '저항' / 남기택
신동엽의 오페레타 - 「석가탑」에 나타난 시의 주제와 표현양식에 대한 연구 / 이현원
제3부 신동엽 시와 민족주의 그리고 세계문학
신동엽의 시세계와 민족주의 / 최두석
신동엽과 도덕화의 문제 / 신형기
신동엽과 아시아, 대지의 상상력 / 고명철
민족과 전통의 발견술 - 신동엽 시를 읽는 하나의 관점 / 최현식
'국가'를 통해 본 김수영과 신동엽의 시 / 이경수
시적 상상력, 근대체제를 겨누다 - 신동엽과 비체제적 상상력 / 오창은
민중 서사시의 미학과 침묵의 언어 - 『금강』과 『우리 모두의 노래』를 중심으로 / 송병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