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의 군구조와 군수부대의 변화

미래 육군과 군수부대의 완전성을 위한 제언
$21.60
SKU
978896324996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1/29 - Tue 0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1/24 - Tue 01/2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7/20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88963249964
Categories 사회 정치 > 국방/군사
Description
현대전에서 군수지원이 전쟁수행의 핵심으로 등장하고 있는데 한국군은 오히려 이 분야를 비전투분야로 간주하고 조직과 인력을 축소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군의 군수부대 구조 및 편성이 전쟁을 수행하는 데 적절한지를 분석해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첫째, 창군 이후 현재까지 한국육군 군수부대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한다. 둘째, 시기별로 한국육군 군수부대 구조변화를 결정하는 영향요인들을 분석하고, 핵심 영향요인이 무엇이었는지를 밝혀낸다. 셋째, 한국육군 군수부대 변화의 핵심 영향요인이었던 육군의 군구조와 군수지원체제를 분석해서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넷째, 이러한 핵심 영향요인 발전방향에 따른 한국육군 군수부대 구조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책은 전쟁의 승리를 보장하는 데 가장 중요하면서도 연구가 소홀했던 육군의 군수분야, 그중에서도 군수부대 구조에 대한 분석과 영향요인,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육군 군수분야의 발전과 이를 통한 전쟁 수행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이 책은 기술 방법과 관련 총 6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전쟁 승리를 위한 군수부대의 중요성과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한 군수부대 구조 최적화 영향요인을 선정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제2부는 건군기(창군~1964)에 국내외 안보환경요인과 군내 군사안보환경요인, 육군의 군구조와 군수지원체제 변화가 육군의 군수부대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제3부는 국방체제정립기(1965~1981), 제4부는 자주국방기(1982~2005), 제5부는 국방태세발전기(2006~2023)에 각 시기별로 제2부에서 분석한 틀로 군수부대 구조변화 영향요인에 대해서 분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제6부에서는 앞에서 건군기, 국방체제정립기 등 4개의 시기별 군수부대 구조변천에 대해서 고찰한 결과를 종합해서 분석하였다. 이후 미래 육군 군수부대의 완전성을 위한 제언을 위해서 미래 안보환경 변화에 대해서 고찰한 후에, 군수부대 구조변화의 핵심 영향요인인 미래 한국군 군구조의 변화방향과 군수지원체제의 발전방향, 이러한 발전방향을 고려한 육군 군수부대 구조의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Contents
프롤로그: 대한민국 육군과 군수부대의 미래를 위한 성찰

제1부 들어가며

1. 군수부대의 중요성
2. 군수부대 구조 최적화 영향요인 분석
3. 책의 기술 범위 및 방법
4. 관련 용어의 정의

제2부 건군기(창군~1964)

1. 국내외 안보환경
2. 군내 군사안보환경
3. 군구조
4. 군수지원체제
5. 군수부대의 구조

제3부 국방체제정립기(1965~1981)

1. 국내외 안보환경
2. 군내 군사안보환경
3. 군구조
4. 군수지원체제
5. 군수부대의 구조

제4부 자주국방기(1982~2005)

1. 국내외 안보환경
2. 군내 군사안보환경
3. 군구조
4. 군수지원체제
5. 군수부대의 구조

제5부 국방태세발전기(2006~2023)

1. 국내외 안보환경
2. 군내 군사안보환경
3. 군구조
4. 군수지원체제
5. 군수부대의 구조

제6부 미래 육군 군수부대의 완전성을 위한 제언 179

1. 한국군과 군수부대 구조의 변천 종합분석
2. 미래 안보환경의 변화
3. 한국군 군구조의 미
4. 군수지원체제의 발전방향
5. 군수부대 구조의 최적화 방안

참고문헌
Author
정찬환
육군사관학교 졸업(공학사, 건축학 전공), 육군대학 전문과정(1999)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졸업(행정학 석사), 서울대학교 미래안보전략기술 최고위과정(ALPS2) 수료, 서울대학교 국제안보전략 최고위과정(ISSP) 수료, 한남대학교 대학원 정치언론국제학과 졸업(국제정치학 박사).

제6보병사단 대대장, 군수참모,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군수관리과 군수관리계획장교, 제31보병사단 연대장,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부대개편군수추진단장,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군수운영재난관리과장,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물자차장, 제25보병사단 사단장, 육군 군수사령부 참모장, 한미연합군사령부 군수참모부장으로 활동하였다.

연구 및 논문으로 직무불만족에 대한 행태적 반응의 실증적 고찰(석사 논문, 1992), ‘통합형 군수지원체제’ 재정립 방안(군수지, 2021), 한국군 군수부대 구조 결정의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박사 논문, 2023)가 있다.
육군사관학교 졸업(공학사, 건축학 전공), 육군대학 전문과정(1999)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졸업(행정학 석사), 서울대학교 미래안보전략기술 최고위과정(ALPS2) 수료, 서울대학교 국제안보전략 최고위과정(ISSP) 수료, 한남대학교 대학원 정치언론국제학과 졸업(국제정치학 박사).

제6보병사단 대대장, 군수참모,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군수관리과 군수관리계획장교, 제31보병사단 연대장,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부대개편군수추진단장,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군수운영재난관리과장,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물자차장, 제25보병사단 사단장, 육군 군수사령부 참모장, 한미연합군사령부 군수참모부장으로 활동하였다.

연구 및 논문으로 직무불만족에 대한 행태적 반응의 실증적 고찰(석사 논문, 1992), ‘통합형 군수지원체제’ 재정립 방안(군수지, 2021), 한국군 군수부대 구조 결정의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박사 논문, 2023)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