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로 간 뮤지엄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 이론과 실천
$27.00
SKU
978896324818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1/24 - Thu 01/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1/21 - Thu 01/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1/30
Pages/Weight/Size 174*245*35mm
ISBN 9788963248189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저자는 미래형 인재를 위한 교육 산실로서의 공간이 학교와 연계된 뮤지엄이라고 확신한다. 뮤지엄 공간 속에서 학습자들이 교과 지식과 관련하여 뮤지엄 전시물을 만나고, 인지적·맥락적으로 지식을 구성하며, 삶의 문제에 관심을 두고, 이 교육내용을 대화, 질문, 탐구, 내러티브, 활동, 온라인 등의 다채로운 참여기회 속에서 경험할 때 우리의 아이들은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미래를 개척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동향을 반영하듯 최근 뮤지엄 교육을 다루는 문헌들이나 번역서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학교 연계 뮤지엄 교육 이론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방안을 보여주는 책은 부족한 편이다. 그리하여 현직에서 학교 연계 뮤지엄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사나 뮤지엄 교육자, 그리고 장차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현재 대학원에서 뮤지엄 교육을 수학하고 있는 대학원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서적이 부재하다.

이 책은 이러한 관심사와 필요를 고려하여 뮤지엄 교육에 대한 이론을 소개하고 학교 연계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방안 및 실천에 대해 개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책의 초점은 학교 연계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자 하는 교육자가 뮤지엄 교육에 대한 동시대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장차 수립할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에 이론적 정당성을 덧입혀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뮤지엄 교육 이론과 뮤지엄 교육 실천의 교차 지점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도록 방법론적 토대를 확보하고자 한다.
Contents
머리말

I.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

1장. 뮤지엄 교육이란
1. 뮤지엄 교육의 역사
2. 뮤지엄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2장. 뮤지엄 교육의 이론
1. 전시물 기반 뮤지엄 교육
2. 구성주의 뮤지엄 교육
3. 맥락주의 뮤지엄 교육
4. 사회 반응 중심 뮤지엄 교육

II.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 개발

1장.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 설계의 방향
1. 전시물 기반 뮤지엄 교육의 설계
2. 구성주의 뮤지엄 교육의 설계
3. 사회 반응 중심 뮤지엄 교육의 설계
2장.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방법론
1. 대화 중심 방법론
2. 질문 중심 방법론
3. 탐구 중심 방법론
4. 내러티브 중심 방법론
5. 활동 중심 방법론
6. 온라인 중심 방법론

III.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1장.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의 요소
1. 전시 요소
2. 교과 연계 요소
3. 학습자 요소
4. 온라인 요소
2장.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 설계 절차
1. ADDIE 모형
2. 딕과 캐리의 교수체제 설계 모형
3. 문제중심학습 모형
4. 설계 시 유의점
3장.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사례
1. PBL 적용 교육 프로그램
2. 메이커 TMSI 모형 적용 교육 프로그램
3. 내러티브 중심 방법론 적용 교육 프로그램
4. 게이미피케이션 적용 교육 프로그램

부록
1. 2015 ‘사회’과 교육과정 기반 학교급별 역사 내용 체계표
2. 2015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표(초등학교 · 중학교용)
3. 2015 ‘환경’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표(중학교용)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손지현,남영림,황은경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와 교육전문대학원 박물관미술관교육과 교수이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했으며, 미술관 교육, 감상교육,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관한 논문과 저서를 집필하였다. 학교 연계 미술관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삶 속에서 예술을 가까이하고, 향유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는 공저로 「미술과 교재 연구 및 교수법」, 「미술교육학」, 「꼭 읽어야 할 한국미술교육 40선」 등과 공역서로 「이미지로 키우는 사고력, VTS」, 「예술기반 연구의 실제」, 「창의력 비타민」, 「시각문화와 미술교육」, 「삶을 위한 미술교육」이 있다. 미술 교과목의 국가 교육과정 개정 작업과 미술과 성취기준 개발에 참여하였으며,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2015 교육부 검정, 천재교육), 중학교 미술 교과서(2009 교육과학기술부 검정, 미진사) 등을 출간하였다. 한국예술교육학회 부회장, 한국미술교육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조형교육학회 국제교류 및 홍보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와 교육전문대학원 박물관미술관교육과 교수이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했으며, 미술관 교육, 감상교육,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관한 논문과 저서를 집필하였다. 학교 연계 미술관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삶 속에서 예술을 가까이하고, 향유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는 공저로 「미술과 교재 연구 및 교수법」, 「미술교육학」, 「꼭 읽어야 할 한국미술교육 40선」 등과 공역서로 「이미지로 키우는 사고력, VTS」, 「예술기반 연구의 실제」, 「창의력 비타민」, 「시각문화와 미술교육」, 「삶을 위한 미술교육」이 있다. 미술 교과목의 국가 교육과정 개정 작업과 미술과 성취기준 개발에 참여하였으며,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2015 교육부 검정, 천재교육), 중학교 미술 교과서(2009 교육과학기술부 검정, 미진사) 등을 출간하였다. 한국예술교육학회 부회장, 한국미술교육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조형교육학회 국제교류 및 홍보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