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와 교육전문대학원 박물관미술관교육과 교수이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했으며, 미술관 교육, 감상교육,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관한 논문과 저서를 집필하였다. 학교 연계 미술관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삶 속에서 예술을 가까이하고, 향유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는 공저로 「미술과 교재 연구 및 교수법」, 「미술교육학」, 「꼭 읽어야 할 한국미술교육 40선」 등과 공역서로 「이미지로 키우는 사고력, VTS」, 「예술기반 연구의 실제」, 「창의력 비타민」, 「시각문화와 미술교육」, 「삶을 위한 미술교육」이 있다. 미술 교과목의 국가 교육과정 개정 작업과 미술과 성취기준 개발에 참여하였으며,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2015 교육부 검정, 천재교육), 중학교 미술 교과서(2009 교육과학기술부 검정, 미진사) 등을 출간하였다. 한국예술교육학회 부회장, 한국미술교육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조형교육학회 국제교류 및 홍보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와 교육전문대학원 박물관미술관교육과 교수이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했으며, 미술관 교육, 감상교육,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관한 논문과 저서를 집필하였다. 학교 연계 미술관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삶 속에서 예술을 가까이하고, 향유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는 공저로 「미술과 교재 연구 및 교수법」, 「미술교육학」, 「꼭 읽어야 할 한국미술교육 40선」 등과 공역서로 「이미지로 키우는 사고력, VTS」, 「예술기반 연구의 실제」, 「창의력 비타민」, 「시각문화와 미술교육」, 「삶을 위한 미술교육」이 있다. 미술 교과목의 국가 교육과정 개정 작업과 미술과 성취기준 개발에 참여하였으며,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2015 교육부 검정, 천재교육), 중학교 미술 교과서(2009 교육과학기술부 검정, 미진사) 등을 출간하였다. 한국예술교육학회 부회장, 한국미술교육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조형교육학회 국제교류 및 홍보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