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콘텐츠의 모색

$31.05
SKU
978896324789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8/25
Pages/Weight/Size 152*225*35mm
ISBN 9788963247892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인문콘텐츠의 개념과 방향, 활용연구, 그리고 트렌드를 살펴본다

이 책은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적 결합을 의미하는 ‘인문콘텐츠’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인문콘텐츠학회’를 결성하는 데에 주도적 역할을 한 저자가 2007년 발행한 『한국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 이후 지난 10여 년 동안 수행한 문화콘텐츠 관련 연구를 모은 것이다. 이 책에서의 문화콘텐츠 연구는 인문학의 바탕 위에서 문화콘텐츠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므로 ‘인문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책 말미에 제시한 논저목록에 나와 있듯이, 저자의 문화콘텐츠 관련 연구는 상당히 많은 편이다. 이 중 책에 수록한 것들은 단독논문을 우선으로 했으며, 공동으로 집필한 것도 주저자인 것을 우선으로 수록하였다.

문화콘텐츠라는 용어의 출현이나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가 본격적으로 개설된 것은 2000년 이후이므로, 대부분의 문화콘텐츠 연구자들은 각자의 전공에서 문화콘텐츠 분야로 연구범위가 확장된 것이다. 하나의 학문이 정립되려면 연구방법론과 수업론이 명확해야 한다. 현재 새롭게 등장한 문화콘텐츠학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특히 인문학 바탕의 문화콘텐츠학, 즉 인문콘텐츠는 절박하게 이러한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능력 있는 후학들이 본 책의 문제의식을 이어받아 좀 더 적확한 논리를 제시함으로써, 문화콘텐츠학이 21세기 새로운 학문으로 정립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Contents
책머리에

I부 인문콘텐츠의 개념과 방향성

1 문화·콘텐츠·인문학
2 문화콘텐츠의 등장과 인문학의 역할
3 인문학과 문화콘텐츠: 인문콘텐츠학회의 정체성의 문제
4 문화콘텐츠의 핵심 원천으로서의 역사학
5 都市再生事業에서의 인문학의 역할과 방향
6 ‘한류인문학’을 제창한다
7 Hallyu and The Traditional Cultural Genes of Korea 한류를 낳은 한국의 전통적 문화유전자
8 4차 산업혁명시대 ‘문화원형 소재 오픈소스화를 위한 디지털콘텐츠화사업’의 필요성
9 4차 산업혁명시대 콘텐츠와 문화콘텐츠

II부 인문콘텐츠 활용연구

1 칠포리 암각화의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 칠포리 세계암각화박물관이 필요하다
2 경북 포항시 유무형 문화유산의 가치와 활용방안: ‘연오랑세오녀 설화’와 ‘칠포리 암각화’를 중심으로
3 역사콘텐츠의 중요성과 역사콘텐츠 기획: 형제국의 나라 터키(Turkey)콘텐츠를 중심으로
4 고려 태조 왕건의 대구 달성군 역사문화콘텐츠화 전략: 오스트리아 뒤른슈타인 소재 ‘사자왕 리처드’ 역사콘텐츠 구축사례를 중심으로
5 남북의 정서적 연대와 통일문화콘텐츠 개발방향
6 The Role of Histor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ge 4차 산업혁명시대 역사학의 역할

III부 인문콘텐츠 트렌드 탐색

1 남북한의 표준시 문제와 생활상의 변화: 시간의 주체성과 생체학적 리듬
2 미디어 콘텐츠 속 한·중·일 젊은 세대의 역사문화갈등과 대안모색
3 영상역사학: 디지털영상의 축복과 역사학의 확장
4 ‘2014 세계 디지털인문학’ 학술대회 및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5 유럽 남부지역 문화콘텐츠 탐사: 프랑스 프로방스 지역을 중심으로
6 인문학 기반의 ‘문화콘텐츠학’ 수업론 정립을 위한 시론
7 미국 스탠드업 코미디에 등장하는 주요 소재와 시각 분석: 인종·성별·성소수자 소재와 정치적 올바름을 중심으로

나오면서
참고문헌
저자 논저목록
Author
김기덕
1956년생. 건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고려 봉작제(封爵制)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사 가운데 주로 고려시대 왕족을 연구하였으며, 이후 오행사상·풍수사상으로 연구범위를 넓혔다. 한편 디지털기술의 전개와 관련하여 일찍이 영상에도 관심을 가져 ‘영상역사학’을 제창하였으며, 나아가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적 결합을 의미하는 ‘인문콘텐츠’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인문콘텐츠학회’를 결성하는 데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인문콘텐츠학회 회장, 전국대학문화콘텐츠학과협의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고려시대 봉작제 연구』(청년사, 1998), 『한국인의 역사의식』(공편, 청년사, 1999), 『우리 인문학과 영상』(책임편집, 푸른역사, 2002), 『문화콘텐츠입문』(공저, 북코리아, 2005), 『영상역사학』(생각의나무, 2005), 『인문학과 문화콘텐츠』(공저, 다할미디어, 2006), 『한국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북코리아, 2007), 『인문콘텐츠의 사회적 공헌』(공저, 북코리아, 2013), 『한국문화와 콘텐츠』(한국문화사, 2016) 등이 있다. 한편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온 풍수사상을 동양의 문화원형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한울생명풍수연구원’을 운영하고 있다(홈페이지: hanulpoongsoo.com).
1956년생. 건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고려 봉작제(封爵制)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사 가운데 주로 고려시대 왕족을 연구하였으며, 이후 오행사상·풍수사상으로 연구범위를 넓혔다. 한편 디지털기술의 전개와 관련하여 일찍이 영상에도 관심을 가져 ‘영상역사학’을 제창하였으며, 나아가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적 결합을 의미하는 ‘인문콘텐츠’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인문콘텐츠학회’를 결성하는 데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인문콘텐츠학회 회장, 전국대학문화콘텐츠학과협의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고려시대 봉작제 연구』(청년사, 1998), 『한국인의 역사의식』(공편, 청년사, 1999), 『우리 인문학과 영상』(책임편집, 푸른역사, 2002), 『문화콘텐츠입문』(공저, 북코리아, 2005), 『영상역사학』(생각의나무, 2005), 『인문학과 문화콘텐츠』(공저, 다할미디어, 2006), 『한국전통문화와 문화콘텐츠』(북코리아, 2007), 『인문콘텐츠의 사회적 공헌』(공저, 북코리아, 2013), 『한국문화와 콘텐츠』(한국문화사, 2016) 등이 있다. 한편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온 풍수사상을 동양의 문화원형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한울생명풍수연구원’을 운영하고 있다(홈페이지: hanulpoongs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