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나-우리-사회-세계'의 관계 논리
$16.20
SKU
978896324739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2/10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88963247397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오늘, 삶의 어느 시점, 어느 국면, 어느 사태 속에 있든 우리 인간은 나와 너를 생각하게 된다. 심각하게 하든, 그렇지 않든 그것이 이성을 가진 인간의 운명이다. 삶을 살아가고 경험하면서 인간 누구나 한 번쯤 부딪히고 생각해보게 되는 문제들, 피할 수 없는 질문들이 있다.

이 책은 철학적이면서도 술을 마시거나 혼자 산책하며 사색하거나 혹은 동료나 선·후배들과 논쟁할 만한 삶의 중심 이슈들에 집중한다. 피부에 와 닿을 만큼 일상에서 한 번쯤 생각해볼 수 있는 주제이면서도 철학자들의 테마이다. 저자들은 무엇을 위해 어떤 자세로 철학을 해야 하는지, 가장 철학적인 방식의 철학교육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수많은 향연을 열었고, 이 책은 그러한 향연의 작은 열매다.
Contents
프롤로그

#나
01. 철학, 나를 찾는 항해일지 - 한우섭
02. 나는 네 겹으로 사라진다 - 조홍준
03. 행복, 천 개의 색 혹은 만 개의 길 - 이하준

#우리
04. 문제는 나나 너나 결국 우리라는 것 - 한우섭
05. 판옵티콘 탈옥법 - 김분선
06. 프로젝트, 아름다운 나라 - 이하준

#세계
07. 우리가 사는 세계는 어디에 있을까? - 조홍준
08. 우리는 몇 개의 세계에 살고 있을까? - 조홍준
09. 인간을 위한 세계는 남고 인간에 의한 세계는 가라 - 김분선
Author
이하준,조홍준,김분선,한우섭
오늘, 지금 인류 삶의 한가운데 등장한 ‘현실의 AI’와 ‘논제로서의 AI’에 대해 공학자와 함께한 짧고 간결한 생각여행을 기록했다. 20여 년 전에 베를린 자유대에서 아도르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대, 경희대, 한국외대 등 많은 대학에서 가르쳤고 연세대 철학연구소 전문연구원을 거쳐 한남대 탈메이지교양융합대학 철학교수로 일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으로 지냈으며 현재 한국동서철학회 부회장과 대전인문예술포럼 회장을 맡고 있다. <대학지성 IN&OUT>의 편집기획의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연구서인 <교양교육비판-교양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비판적 사유>(2022), <부정과 유토피아>(2019), <아도르노의 문화철학>(2007), <호르크하이머의 비판이론>(2011)과 소개서인 <아도르노: 고통의 해석학>(2007), <막스 호르크하이머, 도구적 이성비판>(2016)을 출간했다. 세종우수학술도서 <철학이 말하는 예술의 모든 것>(2014)과 세종우수교양도서 <그림도 세상도 아는 만큼 보인다>(2019)로 선정된 책을 포함, 다수의 인문교양 도서를 냈고 60여 편의 연구논문을 썼다. <지금, 우리는 어떻게 살고 있나>(2020), <#철학>(2021), <인문예술, 세상을 담다>(2022)를 포함해 영혼의 눈빛으로 태양을 바라보는 동학들과 공저 작업도 꾸준히 하고 있다.
오늘, 지금 인류 삶의 한가운데 등장한 ‘현실의 AI’와 ‘논제로서의 AI’에 대해 공학자와 함께한 짧고 간결한 생각여행을 기록했다. 20여 년 전에 베를린 자유대에서 아도르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대, 경희대, 한국외대 등 많은 대학에서 가르쳤고 연세대 철학연구소 전문연구원을 거쳐 한남대 탈메이지교양융합대학 철학교수로 일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으로 지냈으며 현재 한국동서철학회 부회장과 대전인문예술포럼 회장을 맡고 있다. <대학지성 IN&OUT>의 편집기획의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연구서인 <교양교육비판-교양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비판적 사유>(2022), <부정과 유토피아>(2019), <아도르노의 문화철학>(2007), <호르크하이머의 비판이론>(2011)과 소개서인 <아도르노: 고통의 해석학>(2007), <막스 호르크하이머, 도구적 이성비판>(2016)을 출간했다. 세종우수학술도서 <철학이 말하는 예술의 모든 것>(2014)과 세종우수교양도서 <그림도 세상도 아는 만큼 보인다>(2019)로 선정된 책을 포함, 다수의 인문교양 도서를 냈고 60여 편의 연구논문을 썼다. <지금, 우리는 어떻게 살고 있나>(2020), <#철학>(2021), <인문예술, 세상을 담다>(2022)를 포함해 영혼의 눈빛으로 태양을 바라보는 동학들과 공저 작업도 꾸준히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