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요녕성 조선족학교 교가와 그 연구

$26.45
SKU
978896324730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12/15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63247304
Categories 인문 > 출판/서점
Description
이 책은 요녕성 조선족학교 교가와 교가에 관한 연구 및 조선족학교와 관련된 여러 글들을 실은 책이다. 1928년 9월 심양현 오가황 삼십리보에서 심양 지역 최초의 현대식 교육을 실시한 신흥학교가 개교한 이래 요녕성 조선족학교는 수많은 발전을 거듭해왔다. 하지만 현재 집거지의 붕괴와 학생수의 감소로 많은 조선족학교가 통·폐합되고 있다. 이 책은 중국 요녕성에 현존하는 조선족학교 교가 및 이미 폐교된 조선족학교 교가를 모두 수록하고 있다. 조선족학교 교가는 조선족의 교육정신과 목표들을 담고 있어 시대상은 물론 그들의 삶까지도 함께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조선족학교 교가 연구뿐만 아니라 조선족 교육사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Contents
추천의 글
축사
서문

I. 중국 요녕성 조선족학교 교가의 분석
1. 머리말
2. 요녕성 조선족학교 개황과 연구대상 교가
1) 요녕성 조선족학교 개황
2) 연구대상 교가
3. 요녕성 조선족학교 교가 분석
1) 작곡가 및 작사가
2) 교가의 형식
3) 교가의 가사 내용
4. 맺음말

II.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 나타난 학생들의 의식 고찰
1. 머리말
2. 연구대상 및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및 분석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과 교가 교육 현황
2) 조선족학교 교가에 대한 학생들의 의식
4. 맺음말

III.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 나타난 조선족의 현실 인식
1. 머리말
2. 조선족학교 교가에 나타난 조선족의 현실 인식
1) 정치적 현실 인식: 공산당 찬양
2) 사회·문화적 현실 인식: 중화사상의 강조
3. 교가 속 현실 인식의 원인 분석
4. 맺음말

IV. 해외 한민족학교의 교가 비교 연구: 중국 조선족학교와 일본 조선학교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중국과 일본의 한민족학교
1) 중국 조선족학교 개관
2) 일본 조선학교 개관
3. 중국 조선족학교와 일본 조선학교 교가 비교
4. 맺음말

V.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의 음악적 분석과 그 특징
1. 머리말
2.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의 개황
3.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의 음악적 3대 요소 분석과 그 특징
1) 리듬 분석
2) 선율 분석
3) 화성 분석
4)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의 음악적 3대 요소 특징
4.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의 음악 구성요소 분석과 그 특징
1) 악곡의 구조
2) 빠르기 분류
3) 작사·작곡가 현황
4) 음악과 가사의 일치성
5) 기타
6)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의 음악 구성요소 특징
5. 맺음말

VI. 중국 조선족학교의 ‘한족 학생’ 수용에 관한 고찰
1. 머리말
2. 중국 동북3성 조선족학교의 감소
3. 조선족학교의 생존방식에 관한 탐색
1) ‘한족 학생’의 수용과 그 특징
2) 생존을 위한 모색
4. 맺음말

VII. 21세기 중국 조선족학교의 ‘學校文化’ 변형의 원인
1. 머리말
2. 조선족학교의 학교문화
3. 학교문화 변형의 주요 원인 분석
4. 맺음말

VIII. 요녕성 조선족학교 교가
1. 심양지구
2. 철령지구
3. 무순지구
4. 단동지구
5. 본계지구
6. 료양지구
7. 영구지구
8. 대련지구

참고문헌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의 발표지
Author
안병삼
2007년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에서 중국 지역을 담당하는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중국 조선족 문화 연구를 처음 시작하였다. 특히 “근·현대 한인디아스포라 지식자원 발굴과 DB 구축”(한국연구재단 지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수차례 중국 조선족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동북3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현지조사를 토대로 그들의 삶과 역사, 교육, 사상 등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조선족학교가 급격히 사라지면서 그동안 중국 조선족학교가 이룩한 한민족의 다양한 ‘학교문화’가 사라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중 교가의 소실이 심각하다는 사실을 알고 보존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이를 주제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 조선족학교의 교가 발굴과 그 연구”(한국연구재단 지원)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또 2014년부터 2017년까지는 ‘학교문화’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교가뿐만 아니라 조선족학교가 지금까지 생산한 모든 ‘학교문화’를 발굴·수집하기 위해 “중국 조선족학교 ‘학교문화’ 자원 발굴과 그 연구”(한국연구재단 지원)를 진행하였다. 2018년부터는 “중국 조선족학교 당안관 자원 발굴과 그 연구”(한국연구재단 지원)를 통해 조선족학교의 방대한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학교 당안관을 연구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조선족학교의 다양한 기록들을 발굴하는 동시에 당안관의 관리시스템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현재는 삼육대학교 중국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7년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에서 중국 지역을 담당하는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중국 조선족 문화 연구를 처음 시작하였다. 특히 “근·현대 한인디아스포라 지식자원 발굴과 DB 구축”(한국연구재단 지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수차례 중국 조선족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동북3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현지조사를 토대로 그들의 삶과 역사, 교육, 사상 등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조선족학교가 급격히 사라지면서 그동안 중국 조선족학교가 이룩한 한민족의 다양한 ‘학교문화’가 사라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중 교가의 소실이 심각하다는 사실을 알고 보존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이를 주제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 조선족학교의 교가 발굴과 그 연구”(한국연구재단 지원)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또 2014년부터 2017년까지는 ‘학교문화’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교가뿐만 아니라 조선족학교가 지금까지 생산한 모든 ‘학교문화’를 발굴·수집하기 위해 “중국 조선족학교 ‘학교문화’ 자원 발굴과 그 연구”(한국연구재단 지원)를 진행하였다. 2018년부터는 “중국 조선족학교 당안관 자원 발굴과 그 연구”(한국연구재단 지원)를 통해 조선족학교의 방대한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학교 당안관을 연구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조선족학교의 다양한 기록들을 발굴하는 동시에 당안관의 관리시스템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현재는 삼육대학교 중국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