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9월 15일의 전국적인 정전 이후 그 원인과 예방 대책에 대한 뜨거운 논쟁이 있었다. 전력 당국은 수요예측 실패와 예비력의 부족이 9.15 정전사고의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이후 블랙아웃 예방 차원에서 매 여름마다 전국적인 절전 운동이 벌어졌다. 연일 뉴스에서 폭염특보가 들려오는 와중에도 관공서에는 에어컨 적정온도 28℃ 권고지침이 내려졌고, 아이들은 찜통교실에서 공부했다. 또 출입문을 열어둔 채 냉방기를 가동하는 개문냉방 영업을?단속하기 시작해 상인들의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기도 했다.
국내 최초로 ‘블랙아웃’에 관한 저서 [블랙아웃과 전력시스템 운용]이 발간됨으로써 드디어 이의 실체가 밝혀지게 되었다. 저자들은 9.15 정전은 전력시스템을 운용하는 급전원들이 EMS라는 소프트웨어를 정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해 전력시스템에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몰라서 발생한 사고였으며, 지역마다 정전을 돌아가며 실시한 것도 방법이 잘못되었음을 책에서 밝힌다. 또한 예비력이 부족해 전력시스템 붕괴와 같은 사고가 발생할 확률도 매우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현재 한국전력거래소가 사용하고 있는 ‘차세대 EMS’는 EMS를 국산화했다고 하지만 잘못 만들어진 제품이므로 당장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차세대 EMS’에는 전력시스템의 붕괴를 예방하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현대적 의미의 EMS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 책은 블랙아웃, EMS의 구조와 운용, 그리고 복잡시스템으로서의 전력시스템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해서 저술되으며, 전력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각종 이론과 전력시스템 붕괴에 대한 최신의 복잡계 이론을 수록하고 있다. 일반 독자들은 서문과 각 장의 요약 부분만을 발췌해서 읽어도 현재 우리 전력시스템의 취약점과 개선 대책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블랙아웃과 같은 비극적 상황을 막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싶다면 반드시 이 책을 읽어보기를 권하는 바이다.
Contents
서문 / 약어 목록
1장 전력시스템과 제어의 기초
1.1 에너지와 전력시스템
1.2 전력시스템의 제어
1.3 결론 및 요약
2장 전력시스템의 운용
2.1 전력시스템의 설계와 운용
2.2 전력시스템 운용의 구성요소
2.3 전력시스템의 실시간 운용
2.4 전력시스템 운용과 전력생산비용
2.5 제약발전?제약비발전
2.6 결론 및 요약
3장 블랙아웃과 전력시스템 붕괴
3.1 블랙아웃의 개념과 원인
3.2 2003년 8월 14일 미국 동북부 블랙아웃
3.3 시뮬레이션으로 재구성해본 9.15 정전
3.4 전력시스템의 네트워크 특성 분석
3.5 블랙아웃의 예측 가능성과 예방
3.6 전력시스템의 복구, 블랙스타트
3.7 결론 및 요약
4장 블랙아웃 예방기술의 확보
4.1 하드웨어의 건전성
4.2 정전 예방 프로그램의 구비
4.3 전자적 자료의 보관 및 관리
4.4 EMS와 외부 기기의 연결
4.5 EMS 활용의 효용
4.6 결론 및 요약
5장 운용예비력
5.1 운용예비력의 기초
5.2 운용예비력의 분류
5.3 ERCOT의 운용예비력 분류 사례
5.4 NERC의 예비력 분류
5.5 결론 및 요약
6장 주파수 제어
6.1 주파수 제어의 기초
6.2 가버너
6.3 자동발전제어 신호의 설계
6.4 NERC의 제어성능표준
6.5 주파수 편차의 영향
6.6 저주파수에 대한 보호
6.7 결론 및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