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페미니즘이 다른 이론들과 차이를 만들면서 전환하고자 한 것은 무엇이고, 전환한 것은 무엇인지를 담고 있다. 또한 페미니즘이 현대이론과 문학연구, 문학적 글쓰기와 교육의 현장에서 무엇을 바꾸었는지 살피는 글들을 모았다. 무엇을 바꾸었는지, 어떤 전환이 일어났는지 살피기 위해 페미니즘이 이론적으로 무엇을 쟁점화했는지 살필 필요가 있다. 페미니즘의 쟁점화가 기존 이론들의 쟁점화와 어떤 차이를 만들고 있는지를 보면 이론과 문학을 둘러싼 영역에 어떤 전환이 일어났는지 알 수 있다.
삶은 계속되는 다시 쓰기다. 삶의 행렬이란 산 자들의 축제다. 죽은 것을 몰아내고 자신의 공간을 만들며 행진하는 것이다. 문학 비평과 문학이라는 장에 페미니즘이 영향을 미치면서 문학과 문학비평에 다시 쓰기, 수정하기가 등장한다. 사실 문학작품은 그 자체가 문학과 사회에 대한 비평이고 이론이며, 이론 또한 문학이며 비평이다.
페미니즘은 이론과 운동에서 분과학문 간의 소통이 가능하고, 국가 간의 소통이 가능하고, 지역 간의 소통이 가능한 토대를 마련해준다.
Contents
책을 내며
Ⅰ 페미니즘과 이론의 쟁점, 이론의 전환
1 여성성과 여성적 글쓰기: 차이를 이론화하기 여성성과 차이여성적 글쓰기와 리비도 경제
2 모성적 육체와 경계선의 철학: 크리스테바의 시적 언어의 혁명과 사랑의 정신분석 모성적 육체여성의 시간크리스테바는 페미니스트
3 되받아치기와 대항 담론 만들기: 탈식민주의 저항 전략과 페미니즘탈식민주의 저항 전략: 흉내 내기와 대항 담론탈식민주의 저항 전략을 비판적으로 보기탈식민주의 저항 전략과 페미니즘
4 대안문화와 정치: 생태학적 페미니즘의 제안 생태학적 페미니즘이 제시하는 대안문화와 정치생태학적 페미니즘의 문제점들
5 페미니즘과 리얼리즘, 포스트모더니즘, 탈식민주의: 민족, 주체, 국가 리얼리즘과 페미니즘: 민족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 주체, 탈중심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 국가
Ⅱ 페미니즘과 문학적 인식의 전환
6 성의 도입과 그 영향: 인식의 전환과 문학
7 정전의 탈신비화와 한국의 영문학 교육: 보편적 인문학인가, 탈서구인가? 정전의 신비화와 탈신비화: 전통의 역사성과 역사의 무게보편적 인문학인가? 탈서구인가?
8 페미니즘과 공유의 페다고지: 문화재생산의 고리 끊기 교육과 문화재생산 고리 끊기공유의 페다고지: 문학비평과 현대이론의 관계 맺기텍스트들의 관계 맺기: 텍스트를 중층적으로 교차하기‘문학’과 현대이론의 관계 맺기: 현대이론을 문학 읽기에 도입하기수업 참여자들 사이의 관계 맺기: 어떤 페다고지에서 출발할 것인가?
Ⅲ 페미니즘으로 문학 다시 쓰기
9 다시 쓰기와 역사 인식: 퍼시 셸리의 ?삶의 개선행렬The Triumph of Life?과 수정주의적 비평
10 여성적 수정이론의 형상화: 메리 셸리의 ?잘못 쓴 시The False Rhyme?
11 가부장적 권력과 성폭력: 가족-종교-정치권력의 담합을 그린 『첸치家』
12 남성성과 권력: 윤효, 은희경, 전경린, 신현림의 남성들오이디푸스의 후예들현대의 테크노크라트들카리스마를 원하는 남성들입법자이며 샐러리맨인 자들여성의 성을 관리하는 관리자들
13 여성성과 가부장적 권력: 감금, 항복, 분열의 시간
14 그리스로마신화 페미니즘으로 다시 읽기: 젠더화된 욕망과 변신의 성정치 그리스로마신화의 변신과 욕망: ‘사랑’이라는 이름의 성폭력과 한계상황근친상간과 레즈비언적 욕망: 금지된 것에 대한 욕망그리스로마신화의 변신과 이데올로기새로운 성 정치의 가능성은 어디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