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 철학은 사회와 인간의 현재적 상태로부터 출발한다. 이러한 철학은 인간이 어떻게 존재해야하고, 어떤 것이 옳은지를 물으며 기존의 것을 비판하는 철학이다. 문제는 비판적 철학의 입각점에 있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호르크하이머의 삶
제2부 새로운 유물론적 사회비판이론의 정초(定礎) - 초기의 비판이론
1장 비판이론의 이념과 과제
2장 초기 저작에서의 유물론 개념
3장 마르크스 철학의 수용과 비판
4장 프로이트의 수용과 비판
5장 과학 방법론 비판
6장 이데올로기의 이해와 비판
제3부 도구적 이성 비판과 비판의 확장 - 중기의 비판이론
1장 철학의 성격과 방법론
2장 도구적 이성 비판
3장 부정적 역사철학
4장 개인의 종말과 해방의 가능성
5장 사랑의 비판이론
6장 동물해방론
제4부 비판이론의 연속성과 단절 그리고 새로운 차원의 비판이론 - 후기의 비판이론
1장 정치교육의 실천철학
2장 비판적 도덕철학
3장 '아주 다른 것에 대한 동경'의 사회철학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이종하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 철학박사를 수료하고 경희대학교, 중앙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강사를 지냈다. 현재 한남대학교 교양융복합대학 교양철학 담당교수를 맡고 있다. 저서로는 『아도르노의 문화철학』,『아도르노:고통의 해석학』,『삶,일상,윤리:현대인의 삶을 위한 12가지 성찰』이 있다.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 철학박사를 수료하고 경희대학교, 중앙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강사를 지냈다. 현재 한남대학교 교양융복합대학 교양철학 담당교수를 맡고 있다. 저서로는 『아도르노의 문화철학』,『아도르노:고통의 해석학』,『삶,일상,윤리:현대인의 삶을 위한 12가지 성찰』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