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교리 인사이트

군사교리의 정체성과 군사작전의 근본원리에 대한 통찰
$20.52
SKU
978896324025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17 - Thu 05/2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4 - Thu 05/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6/20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88963240251
Categories 사회 정치 > 국방/군사
Description
군사교리의 정체성과 군사작전의 근본원리에 대한 통찰

군사교리는 군사학의 다른 분야, 예컨대 전쟁론이나 군사전략 혹은 군비통제와는 다르게 많은 연구가 축적되어 있지 않은 분야다. 군사교리가 연구주제로서 합당한지조차 종종 의심되기도 한다. 하지만 군사교리는 엄연히 독립된 주제로서의 연구 분야이며, 오히려 지금껏 연구가 많이 없었던 점으로 인해 앞으로의 발전이 더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현재 한국에서의 군사교리 연구 실태를 어떻게 진단할 수 있을까? 말하자면 학술적 차원에서 지식체(body of knowledge)로서의 군사교리 자체에 대한 평가와 군사교리의 목적 측면인 작전태세확립 차원에서 그 실효성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할 수 있는가를 묻는 것이다. 이것이 연구의 기저를 이루는 의문이다.

학술적 차원에서 군사교리라는 지식체의 위상과 군사교리 연구에의 접근성 그리고 작전태세확립 차원에서 군사교리의 수준에 대한 신뢰 등 세 가지 문제 인식이 연구의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배경의 현상들을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떻게 싸울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군사학의 핵심이자 출발점인데, 왜 이러한 군사교리의 실종 현상이 발생하는가? 둘째, 군사교리의 발전을 위한 자유로운 학문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의 원인은 무엇이며 또 이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셋째, 군사교리 자체의 난맥과 혼동의 원인은 무엇이며 또 이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러한 문제 인식은 결국 “군사교리가 무엇인가?” 그리고 “군사교리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으로 귀결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질문의 이면에는 우리가 군사교리 ― 더 구체적으로는 군사교리 자체와 군사교리에서 다루는 내용 ― 에 대해 명확히 알지 못하고 있음을 고백하게 한다. 이때 “군사교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는 군사교리 자체의 정체성에 관한 것이고, “군사교리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군사교리가 다루는 내용인 군사작전을 우리가 어떻게 정립하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한국군이 연구 질문의 핵심인 군사교리의 정체성과 군사작전의 근본원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또 이를 통해 한국군 군사교리의 논리와 체계를 보강하며 나아가 군사교리를 군사학의 핵심 지식체로 정립하는 데 필요한 성찰을 고취한다.
Contents
추천의 글
저자 서문
책을 시작하며

제1부 미국 육군교리 분석

제1장 군사교리의 정체성
1. 군사교리의 정의
1) 미국의 정의
2) 구(舊)소련과 일본의 정의
2. 군사교리의 위상
1) 교리의 출처와 교리의 적용을 교리와 구분
2) 다른 지식체와의 구분
3. 군사교리의 토대
4. 군사교리의 유형과 계층구조
1) 군사교리의 일반유형(General types of doctrine)
2) 육군교리의 유형과 계층구조(Types of Army doctrine and their hierarchy)
5. 군사교리가 제공하는 정보
1) 원리(Principles)
2) 전술(Tactics)
3) 전기(Techniques)
4) 절차(Procedures)
5) 용어와 부호(Terms and Symbols)
6. 군사교리의 역할

제2장 군사작전의 개념
1. 군사작전의 정의
2. 전쟁, 전쟁방식, 군사작전
3. 군사작전의 분류
1) 변천 과정
2) 변천의 의의

제3장 지상작전 논리구조
1. 통합지상작전 논리구조와 의의
2. 논리구조 구성요소의 이해
1) 작전환경(Operational Environment)
2) 통합행동(Unified Action)
3) 통합지상작전 - 육군의 작전적 개념(Unified Land Operations - The Army’s Operational Concept)
4) 결정적 행동(Decisive Action)
5) 임무형 지휘(Mission Command)
6) 통합지상작전의 교의(Tenets of Unified Land Operations)
7) 통합지상작전의 원칙(Principles of Unified Land Operations)
8) 작전술(Operational Art)
9) 작전의 구조(Operations Structure)
10) 작전수행과정(Operations Process)
11) 작전의 틀(Operational Framework)
12) 전투수행기능(Warfighting functions)

제4장 시사점
1. 군사교리를 군사작전에 집중하는 근본원리들의 지식체로 정립
2. 교리의 출처, 교리, 교리의 적용을 구분하고 논리적으로 연계
3. 교리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준, 교리 간행물 유형과 계층구조 정립
4. 교리의 역할을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제시
5. 군사작전의 패러다임 변화
6. 합동작전의 일부로서 지상작전 정립

제2부 한국군 교리에의 합리적 수용

제1장 합리적 수용의 논의
1. 합리적 수용 시 고려사항
1) 작전환경의 차이
2) 전략문화의 차이
3) 언어문화의 차이
2. 합리적 수용의 전제, 목적, 기준

제2장 합리적 수용을 검토할 내용
1. 군사교리의 정의와 위상
2. 교리의 출처, 교리, 교리 적용 간의 관계
3. 교리가 제공하는 정보에 따른 교리 간행물 유형과 계층구조
4. 교리의 역할
5. 군사작전의 패러다임
1) 비정상적 인지와 패러다임 왜곡의 원인: 인지편향과 인지 부조화
2) 한국군에게 변화가 요구되는 패러다임
6. 합동작전과 지상작전의 관계
7. 군사교리 토대의 토대 - 전략문화
1) 전략문화의 이해
2) 한국의 전략문화

책을 마무리하며
참고문헌
Author
천민권
1990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보병장교로 임관하였다. 복무간에는 작전직능 직책에서 주로 근무하였고, 2013년에 육군대학 교관이 되었다. 2021년 군을 떠날 때 육군대학과의 인연이 소명이 되어 지금도 군사교리를 연구하고 후학의 교육에 매진하고 있다. 학위 및 연구논문으로 “한국군 군사교리의 정체성 정립에 관한 연구 ”, “군사작전의 분류에 관한 연구”, “육군 지휘 및 지원관계 연구” 등이 있다.
1990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보병장교로 임관하였다. 복무간에는 작전직능 직책에서 주로 근무하였고, 2013년에 육군대학 교관이 되었다. 2021년 군을 떠날 때 육군대학과의 인연이 소명이 되어 지금도 군사교리를 연구하고 후학의 교육에 매진하고 있다. 학위 및 연구논문으로 “한국군 군사교리의 정체성 정립에 관한 연구 ”, “군사작전의 분류에 관한 연구”, “육군 지휘 및 지원관계 연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