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와 문화철학

문화의 발전단계와 콘텐츠
$21.60
SKU
978896324009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Wed 05/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4/28 - Wed 04/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02/04
Pages/Weight/Size 182*257*30mm
ISBN 9788963240091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저자는 '문화콘텐츠'라는 개념을 '문화+콘텐츠'의 합성어라는 일반적인 생각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문화콘텐츠에 대한 유네스코의 제안적 규정을 염두에 두고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인류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몇 단계의 문화 발전단계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저자는 그것을 신화적 단계의 그림문화, 존재론적 단계의 말의 문화, 인식론적 단계의 글의 문화, 관계론적 단계의 정보문화로 분류한다. 이런 문화사적 배경에서 현대 우리가 놓여 있는, '문화'가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고 있는 독특한, 새로운 시대사적 분위기를 점검해본다.
Contents
들머리에
날마당에

제1장 왜 문화콘텐츠인가, 문화다원주의 시대 인간의 삶
제2장 문화란 무엇인가, 문화개념의 갈래와 너비
제3장 자연과 문화, 생물학적 존재에서 문화적 존재로
제4장 뮈토스의 세계인식: 신화적 단계
제5장 로고스의 위력, 존재론적 단계
제6장 앎은 힘: 인식론적 단계
제7장 관계론적 단계의 정보문화
제8장 문화는 전략이다
제9장 20세기 초 서양문명의 충격과 한국사회의 혼란
제10장 한국의 근대화과정과 한글의 중요성
제11장 21세기 한국문화의 르네상스, 그 가능성 읽기
제12장 세계 속 한국인의 지혜, 살림살이의 문법
제13장 세계 속의 한국 문화

참고문헌
찾아보기-인명, 주제어
Author
이기상
가톨릭대학 신학부를 졸업하고 벨기에 루뱅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했고, 독일 뮌헨 예수회 철학대학에서 철학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4년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우리사상연구소’ 소장이다.

1992년 열암학술상을 수상했고, 1994년 한국출판문화상 번역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하이데거의 실존과 언어』(1991), 『하이데거의 존재와 현상』(1992), 『철학노트』(2002),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2003), 『쉽게 풀어쓴 하이데거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그 영향』(2010), 『콘텐츠와 문화철학』(2009), 『지구촌시대와 문화콘텐츠』(2009) 외 다수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F. W. 폰 헤르만의 『하이데거의 예술철학』(1997),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1998)과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2001) 외 여러 권이 있다. 홈페이지는 www.saemom.com, 전자우편 주소는 saemom@chol.com이다.
가톨릭대학 신학부를 졸업하고 벨기에 루뱅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했고, 독일 뮌헨 예수회 철학대학에서 철학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4년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우리사상연구소’ 소장이다.

1992년 열암학술상을 수상했고, 1994년 한국출판문화상 번역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하이데거의 실존과 언어』(1991), 『하이데거의 존재와 현상』(1992), 『철학노트』(2002),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2003), 『쉽게 풀어쓴 하이데거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그 영향』(2010), 『콘텐츠와 문화철학』(2009), 『지구촌시대와 문화콘텐츠』(2009) 외 다수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F. W. 폰 헤르만의 『하이데거의 예술철학』(1997),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1998)과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2001) 외 여러 권이 있다. 홈페이지는 www.saemom.com, 전자우편 주소는 saemom@chol.co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