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준구어 형태론적 연구

$30.19
SKU
978896292741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4/12/10
Pages/Weight/Size 153*224*28mm
ISBN 9788962927412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중국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과생들에 대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한국의 영화와 드라마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학습 자료일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한국어 듣기나 말하기 능력을 제고하기를 희망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런데 한국 내에서 진행되는 한국 영화나 드라마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준구어(準口語)와 순구어(純口語)의 비교 연구가 아닌, 영화나 드라마 그 자체에 대한 연구에서 그치거나 개별 형태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준구어(準口語)의 형태론적 특징을 밝히고자 10편의 한국 영화와 4편의 한국 드라마에서 추출한 104,451어절의 준구어 음성 전사 말뭉치와 준구어 형태 분석 주석 말뭉치를 드라마와 영화, 남자와 여자로 나누어 각각 통계학적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다시 990,662어절에서 추출한 한국 연세대학교의 ‘연세국어말뭉치_빈도표’와 비교 분석을 진행하여 그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또 한국 국내에서 출판된 9권의 한국어 교재 내 제시대화문으로 구성된 31,025어절의 형태 분석 주석 말뭉치와 준-순구어의 형태론적 특징을 비교분석한 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어 듣기와 말하기 교재 내 제시대화문에 대해 몇 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들은 총 35개의 도표와 150개의 그림을 사용하여 알아보기 쉽도록 직관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 책에 실린 연구는 준구어의 형태론적 특징을 밝힌 첫 연구로서 준구어 전반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한국어 구어 본체론적 연구에 기여한 바가 비교적 크다고 할 수 있다. 또 위의 분석 수치들을 다시 한국어 교재 내 제시대화문과 비교분석하여 향후 한국어 교육에 대한 몇 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국내 한국어 교육과 중국 국내 한국어 교육에도 비교적 큰 의의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준구어와 순구어의 차이, 영화와 드라마와의 차이, 남자와 여자의 차이, 준?순구어와 한국어 교재 내 제시대화문과의 차이는 향후 한국어 듣기와 말하기 교육 및 교재 편찬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며 ‘한국어 시청각 사전’, ‘한국어 구어 문법 사전’, ‘한국어 구어 어절 사전’의 편찬에도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Contents
서문

제1장|서론
1.1 개념 정의
1.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3 선행 연구 및 연구 과제
1.4 연구 자료와 연구방법
1.5 본 책의 구성
1.6 연구 결과의 활용

제2장|준구어 어절의 사용 실태와 그 특징
2.1 들어가기
2.2 음절수에 따른 어절 구조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2.3 형태수에 따른 어절 구조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2.4 결합 양상에 따른 어절 구조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2.5 나오기

제3장|준구어에서 실질형태의 사용 실태와 그 특징
3.1 들어가기
3.2 품사별 통계학적 분석
3.3 나오기

제4장|준구어에서 형식형태의 사용 실태와 그 특징
4.1 들어가기
4.2 조사(J)
4.3 어미(E)
4.4 파생접사(X)
4.5 나오기

제5장|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제언
5.1 들어가기
5.2 제시대화문 어절의 음절수 구성
5.3 제시대화문 어절의 형태수 구성
5.4 제시대화문 어절의 형태 결합 양상
5.5 제시대화문 어절의 실질형태 범주별 구성
5.6 제시대화문 어절의 형식형태 범주별 구성
5.7 나오기

제6장|결론

참고문헌
부록1 ? 준구어 형태소 목록
부록2 ? 준구어와 순구어의 형태 비교 목록

Author
노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