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교육, 어떻게 할까?

초등교사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안내서
$17.28
SKU
978896291986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Wed 05/1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Wed 05/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0/25
Pages/Weight/Size 188*254*11mm
ISBN 9788962919868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위기의 지구, 지속가능발전이 필요하다

기후변화 등 환경 문제, 사회적·경제적 불평등 문제 등은 외면할 수 없는, 오늘날 우리 세대가 직면한 지구적 문제이다. 여기서 지구적 문제란 개인이나 국가의 힘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뜻이다. 그래서 전 지구인이 이 문제에 관심을 두고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의 중심에는 지속가능발전이 있다. 지속가능발전은 미래 세대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발전을 말하며, 이의 핵심 실천 전략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이다. 유엔은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2005-2014)」을 제안하고, 선도기관으로 지정된 유네스코는 2004년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 국제이행계획」을 만들었다. 우리나라도 이에 발맞춰 교육과정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범교과 학습 주제로 명시해 통합적으로 다루도록 하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지속가능발전교육 개관
제2장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사례: 학교 차원
제3장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사례: 교실 수업
모듈 1. 기후변화가 뭐예요?
모듈 2. 나와 지구를 지키는 먹거리
모듈 3. 제로 웨이스트! 자원 순환
모듈 4. 지속가능한 우리 마을 만들기

참고문헌

부록Ⅰ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자료 모음
부록Ⅱ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육 효과 측정 설문지
Author
김다원,김세미,문은주,윤정,최규식,한효의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광주 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부교수이자 국제이해교육학회 편집 위원장이다. 1997년부터 지리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을 연계하여 연구를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지리교육과 연계하여 국제이 해교육, 개발교육, 세계시민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등 글로벌 교육에 관심 갖고 연구하고 있다.

공저로 『국제이해교육 페다 고지』, 『세계시민, 세계유산을 품다』, 『모두를 위한 국제이해 교육』, 『하늘에서 읽는 대한민국』, 『왜 유럽 5개국인가』, 『읽는 저자 쓰는 독자-창의편』, 『현대 지리교육학의 이해』,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 등을 발간했고, 번역서로 『글로벌 관 점과 지리교육』(공역)이 있다.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광주 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부교수이자 국제이해교육학회 편집 위원장이다. 1997년부터 지리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을 연계하여 연구를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지리교육과 연계하여 국제이 해교육, 개발교육, 세계시민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등 글로벌 교육에 관심 갖고 연구하고 있다.

공저로 『국제이해교육 페다 고지』, 『세계시민, 세계유산을 품다』, 『모두를 위한 국제이해 교육』, 『하늘에서 읽는 대한민국』, 『왜 유럽 5개국인가』, 『읽는 저자 쓰는 독자-창의편』, 『현대 지리교육학의 이해』,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 등을 발간했고, 번역서로 『글로벌 관 점과 지리교육』(공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