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의 공감 부족 문제를 꾸준히 다루어 온 글로컬문화·공감사회연구센터의 공감사회연구 시리즈 2 『행복을 키우는 공감 학습』이 출간되었다.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각자도생의 사회’라는 담론이 당연시되고 있다. 주변을 돌아볼 여유 없이 스스로 살아가기 바쁜 사회인 것이다. 물론 각자도생의 사회에도 장점은 있다. 예를 들어 주위 사람을 의식하는 데 따른 지나친 부담을 줄이면서 개인의 자유를 충분히 즐길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타인과의 진정한 소통을 원하고 이것은 인간의 본연적인 욕구이다. 상대방에게 자신을 표현하고 상대방을 알고자 하는 욕구, 다시 말해 공감의 욕구는 인간에게 본연적인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공감과 행복과의 관계로부터 논의를 시작한다. 행복해지기 위해 공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먼저, 사회적 행복도가 낮은 우리 사회의 현주소를 짚어 보고, 그 원인으로 사회 내 갈등이 증폭하고 갈등 관리가 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세대 갈등, 계층 갈등, 성별 갈등 등 현재 한국사회의 다양한 갈등 양상과 그 원인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와 소통 즉, 공감의 중요성을 다룬다.
그다음 공감을 향상할 방법, 즉 공감 교육을 살펴본다. 공감 교육의 정의와 방법을 알아보고, 학교폭력 예방 교육, 인성 교육, 생태 환경 교육, 세계 시민 교육을 통한 국내 공감 교육의 구체적 사례를 소개한다. 국외 사례로는 사회 정서적 학습, 인성 교육의 구체적 사례와 공감 교육을 의무화한 덴마크의 클라센스티드, 시민과 함께하는 공감 교육인 플레이풀 보스턴을 살펴본다.
저자들은 한국사회의 갈등 양상을 진단하고 비판하는 것에 그치는 것은 연구자로서 무책임하다고 판단해 이 책을 기획했다고 한다. 그러나 공감 교육을 통해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결론 역시 완벽한 것은 아니라고 우려한다. 즉, 우리 사회의 공감 향상을 위해서는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감을 통해 한국사회에 만연한 갈등을 극복하고 행복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기를 바라 본다.
Contents
머리말
제1부 행복한 시민이 되기 위한 공감 학습
제1장 행복을 위한 갈등 해소와 공감
1. 갈등과 행복 / 2. 한국의 사회 갈등 / 3. 갈등과 사회적 공감
제2장 공감과 신뢰
1. 공감과 신뢰의 관계 / 2. 한국사회 저신뢰의 원인 3. 신뢰-공감-행복의 관계
제3장 시민 공감 학습을 위한 키워드
1. 자기 공감 / 2. 듣기 연습 / 3. 다양한 시선으로 상대 보기 / 4. 열린 공감 연습하기 / 5. 공감 학습을 위한 제도적 개선: 이중 경제의 해소
제2부 공감 교육의 특성과 사례
제4장 공감 교육의 정의와 내용
1. 공감 교육의 정의 / 2. 공감 교육의 방법 / 3. 공감 교육의 모델
제5장 우리나라 제도권 교육의 공감 부재
제6장 국내 공감 교육 사례
1. 학교 안에서 공감하기 / 2. 학교 밖에서 공감하기
제7장 국외 공감 교육 사례
1. 사회 정서적 학습 / 2. 인성 교육 / 3. 공감 교육의 의무화: 덴마크의 클라센스티드 / 4. 시민이 즐기는 공감 교육: 보스턴의 플레이풀 보스턴
제8장 공감 교육을 위한 제안
에필로그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장원호,박혜정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재 도시과학대학장, 도시과학대학원장, 도시과학연구원장을 맡고 있다. 또한 한국연구재단의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Social Science Korea, SSK)의 대형연구센터 글로컬문화·공감사회연구센터의 책임자로서 글로컬문화를 통하여 공감사회 실현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류와 아시아 팝문화의 변동』(공저), 『레드퀸 레이스와 한국 교육』 등이 있고, 공감(empathy)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국제저명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재 도시과학대학장, 도시과학대학원장, 도시과학연구원장을 맡고 있다. 또한 한국연구재단의 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Social Science Korea, SSK)의 대형연구센터 글로컬문화·공감사회연구센터의 책임자로서 글로컬문화를 통하여 공감사회 실현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류와 아시아 팝문화의 변동』(공저), 『레드퀸 레이스와 한국 교육』 등이 있고, 공감(empathy)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국제저명학술지에 게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