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 시대의 지역 발전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논평과 대안
$16.20
SKU
978896291261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4/07/18
Pages/Weight/Size 152*225*14mm
ISBN 9788962912616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글로벌 경쟁력의 핵심은 지역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삶의 터전인 장소, 공간, 지역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마치 살아 있는 유기체처럼 성장과 침체를 반복하면서 끊임없이 변화한다. 전형적인 농촌으로 저발전 상태였던 함평은 나비축제를 통해 함평쌀과 함평한우의 마케팅에 성공했으며,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인구가 계속 증가하는 제철도시 광양도 과거에는 한적한 어촌이었다. 이러한 변화 과정 속에서 지역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도 진행된다.

특히 세계화와 동시에 지방화가 진행되는 글로컬(glocal) 시대에는 지역 발전이 곧 글로벌 경쟁력으로 이어진다. 글로컬이란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의 합성어로, 정치 · 경제 · 사회 등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국가 간 교류가 증대하여 개인과 사회집단이 갈수록 하나의 세계 안에서 삶을 영위하는 동시에, 지역이 정치 · 경제 · 사회의 새로운 주체로 등장하는 현상을 말한다. 『글로컬 시대의 지역 발전』에서는 이와 같은 글로컬 시대에 걸맞은 지역 문제의 해결과 지역 발전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Contents
제1부 지역사회와 지역 문제
01. 손님맞이 준비를 끝낸 영산강│02. 영산강 살리기, 일본의 하천에서 배운다│03. 죽어 가는 영산강 살리기 방해 말길│04. 호남 성공 시대를 열어야 한다│05. 광주공항 국제선, 무안 순차 이전해야│06. 불투명한 ‘J프로젝트’의 항로│07. 광주전남발전연구원 분리, 상생 깨는가│08. 오거돈 장관이 비판받는 이유
제2부 지역 문제와 지역 정책
09. 대선 공약, 전략적 태도가 필요하다│10. 이전할 기관을 고려한 혁신도시 입지│11. 공동혁신도시가 성공하려면│12. 공동혁신도시, 떡잎의 색깔은?│13. 영산강 시대를 열어 갈 공동혁신도시│14. 남해안 프로젝트는 속도 내는데│15. 기업도시, 낙후 지역 우선 배려해야│16. 기업도시 성공의 필요 조건│17. 신도청 이전과 지역 발전 효과│18. 이런 광주와 전라남도를 희망한다
제3부 지역 발전과 지역사회 리더십
19. 박준영 전라남도 도지사에게│20. 박준영 전라남도 도지사께 드리는 고언(苦言)│21. 박준영 전라남도 도지사의 소프트 리더십│22. 민주당 구원투수 박준영 전라남도 도지사│23. 5·31 지방선거의 흥행사들│24. 공동혁신도시와 박광태 광주시장│25. 이성웅 광양시장의 교육 혁신│26. 김인규 군수의 장흥 마케팅│27. 제설 작업과 낙선한 시장·구청장│28. 열린우리당 광주시의회 의원님들께│29. 공동혁신도시에 딴죽 거는 정치인들
제4부 광양만권 지역 문제와 지역 정책
30. 광양만권 변화 과정과 특징│31. 광양만권의 새로운 비전을 만들어야 한다│32. 여수 세계박람회 유치, 정부에 달렸다│33. 험난한 여수 세계박람회 유치 경쟁│34. 기업 시민 광양제철소의 고민│35. 기미쓰제철소와 광양제철소│36. ‘광양항 재검토론’에 대한 반론│37.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에 바란다
제5부 기업 활동과 지역 발전: 국내외 사례
38. 미국 로체스터 시와 코닥사│39.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도시, 거제│40. 히타치제작소가 만든 기업도시, 히타치 시│41. 현대제철이 만든 새로운 철강 공업의 중심지, 당진│42. 전자도시 구미의 기업사랑운동과 지역 경제│43.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만든 기업도시, 광양│44. 군사·접경도시에서 LCD 메카로 부상하는 파주 │45. 삼성전자가 만든 기업도시, 아산 탕정│46. 타이어 공업도시로 변모하고 있는 창녕│47. 수도권 남부의 새로운 기업도시로 떠오르는 평택│48. 우리나라 제3의 석유화학 핵심 도시로 성장한 서산│49. 군사도시에서 의료기기 산업 메카로 성장한 원주│50. 서남권 조선 산업 클러스터로 성장하는 대불국가산단
제6부 지역 발전을 위한 새로운 대안
51. 빛가람도시의 첫손님, 우정사업정보센터│52. 나주 혁신도시와 한국전력공사│53. 글로벌 경쟁의 알곡, 광역경제권│54. 주민주식회사, 새로운 일자리 창출 전략│55. 지방은행, 지역 발전의 동반자│56. 기업과 기업인, 지역 발전의 원동력│57. 지역 발전을 위한 새로운 비전이 요구된다│58. 일본의 행정구역 개편 구상│59. 일본 아이치 세계박람회의 교훈│60. 소프트 인프라와 지역 발전│61. 장소 마케팅의 성공 요소
Author
이정록
전라남도 광양에서 태어나 광양과 순천에서 초·중·고를 다녔다.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박사후학자(Post-Doc. Scholar)와 일본 도쿄대학교 외국인객원연구원을 지냈다. 1987년부터 현재까지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교수로 있으며 ‘지역개발론’을 강의하고 있다. 대한지리학회장, 새국토연구협의회 공동상임대표,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위원, 국가균형발전사업 평가자문단장,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외이사 및 이사회 의장, 전남대 사회과학대학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주제는 광양만권의 사회·경제적 변화로 여수세계박람회,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남해안 선벨트 등 관련 정책과 계획 수립에 참여해 왔다.
저서에는 『지방화 시대의 지역문제와 지역정책』, 『광양만권 잠재력과 비전』, 『지방도시의 변화와 발전동인』, 『글로컬 시대의 지역발전』, 『섬진강권 역사문화지도』, 『무등산 자락 무돌길 이야기』 등 다수가 있다.
전라남도 광양에서 태어나 광양과 순천에서 초·중·고를 다녔다.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박사후학자(Post-Doc. Scholar)와 일본 도쿄대학교 외국인객원연구원을 지냈다. 1987년부터 현재까지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교수로 있으며 ‘지역개발론’을 강의하고 있다. 대한지리학회장, 새국토연구협의회 공동상임대표,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위원, 국가균형발전사업 평가자문단장,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외이사 및 이사회 의장, 전남대 사회과학대학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주제는 광양만권의 사회·경제적 변화로 여수세계박람회,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남해안 선벨트 등 관련 정책과 계획 수립에 참여해 왔다.
저서에는 『지방화 시대의 지역문제와 지역정책』, 『광양만권 잠재력과 비전』, 『지방도시의 변화와 발전동인』, 『글로컬 시대의 지역발전』, 『섬진강권 역사문화지도』, 『무등산 자락 무돌길 이야기』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