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낮은 나라, ‘스웨덴’. 스웨덴 최고의 정책분석가 피어 몰란더의 『무엇이 불평등을 낳는가』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에서 가장 심각한 불평등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비롯해 여러 사상가들이 회피하는 의문들을 다룸으로써, 불평등의 원인과 효과에 대한 메커니즘을 바꾸어놓는다. 정치학, 인류학, 통계학, 문학을 넘나들며 정치적·이념적으로 다양한 체제들을 통해 불평등을 바라보고, 역사와 함께 진화해온 불평등에 아홉 가지 질문을 던진다. 보다 정의로운 사회를 구축한 정책들을 살펴보며 ‘평등’에 가까운 변화를 일으킬 방법 또한 모색한다.
Contents
한국의 독자들에게
들어가면서
1.불평등의 탄생: 사회는 왜 하나같이 불평등한가?
2.부와 힘의 분배: 빈자와 부자는 어떻게 공존해야 하는가?
협상은 필수다 · 협상의 역사와 역동성에 대하여
3.불평등의 역사: 세상의 변화는 어떻게 불평등을 낳았는가?
원초적인 권력욕의 산물 · 초기 인류의 삶에서 드러난 흔적 · 생존을 위한 투쟁이 벌어졌던 역사시대 · 중세, 격동의 시대 · 21세기 자본이 만든 거대한 차이 · 불평등의 이론과 실제 · 역사가 주는 힌트
4.협상의 중요성: 내 손에 든 것으로 무엇을 요구할 것인가?
가장 기본적인 협상 · 협상에 대한 내쉬의 해법 · 협상게임의 역동성이 낳는 균열 · 모형과 실물 · 현실과 당위를 잇는 가교(架橋)
5.불안정의 안정화: 정치는 협상의 기제를 극복할 수 있는가?
라이트 형제의 비행에 숨겨진 진리 · 불확실한 세상 속 ‘안정’을 찾다
6.사회계약으로의 회귀: '모두를 위한 합의'는 존재하는가?
사회계약의 시초 · 근대 사상가들이 바라본 사회계약 · 자유주의자들의 반응 · 루소의 해석 · 개인과 집단의 관계에 대하여 · 근대 분석 이론 · 진짜 이야기의 시작
7.자유주의와 불평등: 사회는 개인의 능력과 노력을 존중하는가?
자유주의의 기본에 대하여 · 안정적인 평형 상태의 부재 · 정당성의 문제 · 자유주의와 재분배의 정치 · 서로 다름의 가치
8.보수주의와 불평등: 관습은 누구의 손을 들어주는가?
현상 유지를 위한 제도의 필요성 · 정당성 확보를 위한 도구 · 종교적 근거1. 힌두교 · 종교적 근거2. 그리스도교 · 종교적 근거3. 이슬람교 · 현상 유지를 위한 세속적 토대 · 재분배에 대한 회의론
9.사회민주주의와 불평등: 시장은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가?
균형을 되찾는 방식의 차이 · 세 가지 분배 전략 · 신뢰의 수준이 가지는 의미 · 앞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