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가 사회 평등에 중요한 이유
더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를 위해 왜 유전학이 필요한지 알려주는 도발적이고 시의적절한 책
평등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의 중요한 화두 중 하나다. 평등에 대한 생각이 다를 수는 있어도 좌파든 우파든 평등한 사회를 거부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므로 더 평등한 사회를 위해 “불평등을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를 놓고 치열한 논의와 토론이 필요하다. 불평등이 공정한지 불공정한지를 논의할 때 흔히 떠오르는 주제가 ‘기회의 평등’이라는 개념이다. 그렇다면 정확히 무엇을 ‘기회’로 간주해야 하고, 기회가 평등하려면 무엇을 갖추어야 할까? 일반적으로 기회의 평등이란 출생 환경과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기회를 지니는 것이다. 다시 말해 기회의 평등이 있는 사회는 출생의 우연이 한 사람의 운명을 결정 짓지 않는 사회다.
하지만 기회의 평등이라는 관점에 따르면, 현재 우리 사회의 불평등을 보여주는 각종 통계는 처참하기 이를 데 없다. 이 책에서 예로 드는 미국도 마찬가지다. 2018년 소득 분포 상위 25퍼센트에 속하는 가정의 청년들은 소득 분포 하위 25퍼센트에 속하는 가정의 청년들보다 대학을 졸업할 가능성이 거의 4배나 더 높았다. 부유한 미국인은 62퍼센트가 24살까지 학사 학위를 딴 데 비해, 가난한 미국인은 16퍼센트만 24살까지 학사 학위를 땄다.
물론 이런 데이터는 인과관계가 아니라 상관관계만 보여주지만, 불평등을 다루는 공개 토론회나 학술 논문에서는 이런 통계에 관해 두 가지 사실을 당연시한다. 첫째, 아이가 태어날 때의 사회 및 환경 조건과 그 아이의 최종 인생 결과 사이의 관계 데이터가 과학적으로 유용하다는 점이다. 둘째, 이런 통계는 도덕적으로 유의미하다는 점이다. 공정한 불평등과 불공정한 불평등의 차이점을 생각해보면, 불공정한 불평등이란 특권을 가지고 태어나거나 가난한 환경에서 태어나는 것처럼 한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출생의 우연과 엮여 있는 불평등이라고 많이들 구분하곤 한다.
그런데 성인의 불평등과 상관관계가 있는 출생의 우연이 하나 더 있다. 그건 태어날 때의 사회 환경이 아니라, 바로 우리의 유전자다. 이 책에서 본격적으로 다루는 주제다. 사람마다 다르게 가지는 여러 DNA 변이를 기반으로 만든 교육 다유전자 지수(다유전자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3장 참조) 분포에서도 가족 소득과 대학 졸업률의 관계와 별반 다르지 않다. 즉, ‘유전적’ 분포에서 다유전자 지수가 상위 25퍼센트에 속하는 집단은 하위 25퍼센트에 속하는 집단에 비해 대학 졸업 확률이 4배 가까이 높았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유전자와 교육 결과의 관계가 사회의 불평등을 이해하는 데 실증적·도덕적으로 대단히 중요하다는 점을 내세운다. 사람이 부유한 가족이나 가난한 가족에게서 태어나는 것처럼, 특정한 유전 변이 세트를 지니고 태어나는 것은 출생 로또의 결과다. 부모를 고를 수 없는 것처럼, 부모가 물려준 환경이나 유전자도 선택할 수 없다. 유전자 로또의 결과는 사회 계급과 마찬가지로 사회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누가 더 많이 받고 누가 덜 받는지를 좌우하는 제도적 힘이다.
Contents
1부 유전학 똑바로 이해하기
01 들어가며
02 유전자 로또
03 요리책과 대학
04 계통과 인종
05 인생 기회의 로또
06 자연의 무작위 배정
07 신비로운 원리
2부 평등 똑바로 이해하기
08 가능한 대안 세계
09 선천성 이용해서 후천성 이해하기
10 개인의 책임
11 계층을 형성하지 않는 차이
12 반우생학적 과학과 정책
감사의 글
주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
Author
캐스린 페이지 하든,이동근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캠퍼스의 심리학과 교수이다. 퍼먼 대학교에서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심리학과를 우등 졸업한 뒤,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발생·행동유전학 연구실 책임자이자 텍사스 쌍둥이 프로젝트의 공동 책임자이다. 텍사스 대학교 집단연구센터 연구원이며, 제이컵스 재단 연구 펠로이기도 하다. 트위터: @kph3k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캠퍼스의 심리학과 교수이다. 퍼먼 대학교에서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심리학과를 우등 졸업한 뒤,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발생·행동유전학 연구실 책임자이자 텍사스 쌍둥이 프로젝트의 공동 책임자이다. 텍사스 대학교 집단연구센터 연구원이며, 제이컵스 재단 연구 펠로이기도 하다. 트위터: @kph3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