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 사회

탄소중립 시대, 사라지지 않는 석탄이 그리는 산업의 미래
$17.25
SKU
978896262476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2/28
Pages/Weight/Size 128*188*13mm
ISBN 9788962624762
Categories 경제 경영 > 경제
Description
“2030년, 한국 1인당 CO2 배출량 세계 1위 예상”
─글로벌카본프로젝트

세계 1위 조선 산업 · 10위 자동차 산업에 필요한
철 1킬로그램 생산 시, 약 1킬로그램의 석탄 소비

탄소중립의 걸림돌,
현대 산업의 로제타석,
석탄이 그리는 산업의 미래

바야흐로 기후 위기의 시대다. 한국 정부는 석탄을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 대체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그에 따라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순 배출량을 0으로 줄여 탄소중립에 다다를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2012년 기준으로, 한국은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 7위인 국가다. 심지어 2030년에는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 1위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세계 10위권인 한국의 자동차 산업과 세계 1위권인 조선 산업과 관련 있다. 자동차 산업과 조선 산업에 필요한 철 1킬로그램을 제련하려면 약 1킬로그램의 석탄을 사용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이다.

철강 산업의 미래라고 여겨지며 전 세계적으로 기술 개발을 서두르고 있는 수소환원제철도 완전한 해결책은 아니다. 탄소 소비량을 혁신적으로 감축시킴에도 불구하고, 수소환원제철이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는 제철 기술일 뿐 탄소 독립 기술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에너지원’으로서의 석탄과 ‘소재’로서의 석탄을 구분하면서, 석탄 의존적인 한국의 주요 산업들과 석탄의 상관관계를 다루고, 기후 위기에 따른 탄소 배출 억제가 필요함에도 왜 ‘탄소제로’가 아닌 ‘탄소중립’에 주목해야 하는지를 이야기한다.
Contents
들어가며

1부 석탄에서 시작된 현대 문명

1. 석탄의 출현
2. 환경친화적 에너지, 석탄
3. 산업혁명의 방아쇠, 석탄
4. 석탄, 제철 그리고 경제 부흥
5. 20세기 석탄 산업의 글로벌화
6. 석탄 공동체 유럽연합

2부 기술적 의미의 석탄

7. 소재로서의 석탄
8. 현대 산업과 석탄의 발자취
9. 산업화와 함께 발견된 석탄
10. 탄소에너지 활용 기술의 진보
11. 석탄의 종류와 활용법
12. 화석연료 활용 기술의 고도화
13. 금속 내부 석탄을 활용한 철강 기술 개발
14. 석탄 대신 수소로 제철하는 기술의 개발

3부 대자연이 날린 기후변화라는 펀치

15. 석탄의 어제와 오늘
16. 온실효과의 개요
17. 영국의 재앙적인 스모그
18. 100년 뒤 중국의 미세먼지
19. 대기 중 온실가스의 영향

4부 석탄으로 얻고 잃은 것들

20. 석탄과의 거리 유지
21. 원자력에너지는 편법인가 해결책인가
22. 석탄의 급진적 퇴출의 문제점
23. 수소경제에도 필요한 석탄
24. 오래된 미래, 탄소 소재

나오며
Author
황동수,이상호
해양환경학자. 바다숲 재생과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포항공과대학교에서 화학공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이후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샌타바버라캠퍼스에서 오티스-윌리엄(Otis-William) 박사후 연구원으로 지냈다. 2010년부터 포항공과대학교 해양대학원 및 환경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해양환경학자. 바다숲 재생과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포항공과대학교에서 화학공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이후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샌타바버라캠퍼스에서 오티스-윌리엄(Otis-William) 박사후 연구원으로 지냈다. 2010년부터 포항공과대학교 해양대학원 및 환경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