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은 최근 우리 사회의 중요한 화두다. 차별금지법 제정을 눈앞에 둔 지금, ‘소수자’에 대한 차별 금지를 주장하는 것은 더 이상 소수 의견이 아니다. 이 책은 우리 사회 내의 소수자의 인권과 인권 감수성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특히 우리 사회의 소수자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에 관심을 가진 이, 그리고 이분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들을 위한 책이기도 하다. 또한 소수자들이 처한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 관심을 가진 활동가들에게도 유용할 것이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첫 부분은 1장에서 5장까지로 소수자 인권을 포괄적으로 설명한 부분이고 나머지 부분은 6장에서 10장까지로 소수자와 서비스 제공자의 인권 감수성과 관련된 주제들을 기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1부에서는 장애인, 난민, 수용자, 노인요양시설 내에서의 인권, 스포츠 선수의 인권을 다루며, 2부 인권 감수성에서는 상담자의 옹호활동을 위한 인권 감수성, 한국 성소수자 청소년들의 학교경험과 교사, 전문상담교사, 학교행정가의 역할, 교사의 다문화 태도, 초등학생 다문화 감수성, 국내 다문화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으로 구성했다.
이 책은 경상국립대학교의 인권사회발전연구소의 9번째 인권사회발전연구총서이다.
Contents
서문
1부 소수자 인권
1장. 장애인 인권 / 김원호
2장. 서울행정법원의 판단을 통해 바라 본 난민의 이해 / 정도희
3장. 수용자 인권 / 이용주
4장. 노인요양시설 내에서의 인권: 노인과 종사자의 관점에서 / 김준표
5장. 스포츠인권의 이해 / 홍덕기
2부 인권 감수성
6장. 상담자의 옹호활동을 위한 인권감수성 / 이주영
7장. 한국 성소수자 청소년들의 학교경험과 교사, 전문상담교사, 학교행정가의 역할 / 윤은희, 이성원
8장. 교사의 다문화 태도 / 양난미
9장. 초등학생 다문화 감수성 / 박명진, 유상건
10장. 국내 다문화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 이수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