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지역의 지리

다양한 주제에 관한 지리학적 접근
$18.36
SKU
978896257312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Tue 05/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4/25 - Tue 04/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2/03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88962573121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경남 지역의 지리』는 경상대학교 인문대학 경남학 교양 총서 일곱 번째 시리즈다. 지리학은 사람들이 지표에서 살아가는 모습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학문이다. 이 책은 사람들이 경남 지역에서 살아가는 모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그 모습을 잘 이해하는 것을 인문학의 목적으로 본다. 저자는 독자들의 인문학적 상상력을 풍부하게 하는데 기여하고자 책을 집필하였다.

경남학이란 문학(언어), 역사, 사상, 문화, 예술, 인물 등 경남의 정체성을 대표하고, 특수성 속에서 보편적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학으로써 경상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정의한 학문 개념이다. 경남학 교양총서는 경상대학교 인문 및 예ㆍ체능계열 교수진들의 경남학 연구 성과를 일반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권의 책으로 만들어 내고자 하는 총서 프로젝트다.
Contents
저자의 말

남강 하류 범람원의 토지 이용과 농업 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통영시가지 경관 변화에 대한 연구
- 조선 중기부터 구한말까지 -

일제강점기 통영 시가지의 경관 변화

경남 함양군 촌락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
-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

경남 촌락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
- 촌락개발 정책 추진 과정과 지붕의 형태 및 재료를 중심으로 -

경남 촌락가옥의 연구를 위한 계량적 접근법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이전,조기만,이호욱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학(LSU)에서 지리학·인류학 박사(Ph.D)학위를 받았다. 경상대학교 기획연구처장, 경상대학교 교수회 회장, 경상대학교 교학부총장, 한국지역지리학회 회장으로 활동했다. 논저로 『The Historical Geography of Rice Culture in the American South』, 서울대출판부, 1991.(저서), 『라틴아메리카 지리』, 민음사(대우학술총서72), 1994.(저서), 『인류와 문화』, 경상대학교 출판부, 1996.(저서), 『우리는 단군의 자손인가』, 한울, 1999.(저서),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 한울, 2001.(저서), 『애틀랜타 한인 이민사』, 푸른길, 2002.(저서), 『고조선과 고구려: 과연 우리 한민족의 역사인가』, 경상대학교 출판부, 2005.(저서), 『인류학의 이해』, 경상대학교 출판부, 2008.(저서), 『촌락지리학』, 푸른길, 2011.(저서), 『수능시험은 누가 어떻게 출제하는가』, 밥북, 2018.(저서),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삼한 개념에 대한 고찰」, 2020.(논문) 외 다수가 있다.

『수능시험은 누가 어떻게 출제하는가』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과 사회탐구영역에서 2번에 걸쳐 출제위원으로 참여한 저자가 수능에 시달리는 수험생은 물론 교사, 학부모들에게 수능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대비하는 데 작은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출제위원으로 활동했던 28일간을 일기 형식으로 엮어 책을 펴냈다.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학(LSU)에서 지리학·인류학 박사(Ph.D)학위를 받았다. 경상대학교 기획연구처장, 경상대학교 교수회 회장, 경상대학교 교학부총장, 한국지역지리학회 회장으로 활동했다. 논저로 『The Historical Geography of Rice Culture in the American South』, 서울대출판부, 1991.(저서), 『라틴아메리카 지리』, 민음사(대우학술총서72), 1994.(저서), 『인류와 문화』, 경상대학교 출판부, 1996.(저서), 『우리는 단군의 자손인가』, 한울, 1999.(저서),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 한울, 2001.(저서), 『애틀랜타 한인 이민사』, 푸른길, 2002.(저서), 『고조선과 고구려: 과연 우리 한민족의 역사인가』, 경상대학교 출판부, 2005.(저서), 『인류학의 이해』, 경상대학교 출판부, 2008.(저서), 『촌락지리학』, 푸른길, 2011.(저서), 『수능시험은 누가 어떻게 출제하는가』, 밥북, 2018.(저서),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삼한 개념에 대한 고찰」, 2020.(논문) 외 다수가 있다.

『수능시험은 누가 어떻게 출제하는가』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과 사회탐구영역에서 2번에 걸쳐 출제위원으로 참여한 저자가 수능에 시달리는 수험생은 물론 교사, 학부모들에게 수능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대비하는 데 작은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출제위원으로 활동했던 28일간을 일기 형식으로 엮어 책을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