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본 大百濟

백제는 참으로 위대했던 王國
$12.96
SKU
978896246408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4/23 - Tue 04/2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ue 04/2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1/20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88962464085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한국과 일본의 ‘백제’에 대한 인식은 오랜 고정관념 때문에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일본은 『일본서기』 신공기와 임나일본부설을 맹신하여 명문(銘文)에 대한 해석이 자연스러울 수 없었다. 한국 학계는 『삼국사기』를 신봉하기 때문에 자연 백제는 삼국 중 왜소한 나라로 인식하게 되었다.

그런데 530년경에 제작된 남조의 『양직공도』에 의하면, 백제는 진말(晉末)에 요서군과 진평현을 영유하고, 거기에 백제군을 설치했다고 하며, 본국에는 반파·사라 등 9개국의 방소국(旁小國)을 거느리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양직공도』에 대한 신빙성을 들어 부정하고 있다. 백제가 외교적으로 능숙했기 때문에 중국 측 기록은 과장된 면이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일본서기』와 『삼국사기』는 한반도 3국왕의 서거를 모두 훙薨자로 표기하고 있으나, 1971년 무령왕릉 출토의 지석에서는 무령왕의 죽음을 붕崩자로 표기하고 있다. 일본국보 2호인 인물화상경에서는 무령왕의 연대를 대왕년·계미년(大王年·癸未年)이라고 했다. 이 사실은 참으로 놀라운 일이며, 백제사를 해석하는데 운신의 폭을 크게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필자는 오래전 잘 알려지지 않았던 광서장족자치구의 남령시 근교에 있는 광서 백제향면을 방문한 일이 있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이 지방의 주민 장족들은 백제향(百濟鄕)의 중심지인 백제허(百濟墟)를 가리켜 대박체·Daejbakcae·大百濟라고 발음하였다. 대백제가 실재로 이 땅에 있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인데, 대백제는 역사 속에서 사라진 지 오래지만, 아직도 이 땅에서는 숨 쉬고 있는 것이다.
Contents
서언

I. 광시(廣西) 「南?市 百濟鄕」은 ‘백제’의 고토(故土)

1. 廣西 ‘백제허(百濟虛)’ 전경
2. 장족(壯族)은 「百濟虛」를 「Daejbakcae·대박체」로 발음
3. 백제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는가?
4. 「백제향(百濟鄕)」은 흑치상지(黑齒常之)의 고향
5. 흑치국(黑齒國)은 어디에 있나?
6. 백제향(百濟鄕)의 ‘장족’은 흑치족(黑齒族)의 후예
7. 나의 廣西 百濟鄕 방문기

II. 『수서(隋書)』의 「담모라국은 「百濟 附庸國」

1. 『수서』 권81 열전(列傳) 백제전의 명문(釋文)
2. 『삼국사기』 권 27 백제 위덕왕(威德王) 36년조
3. 『수서』의 ‘담모라국은 어디인가?
4. 『일본서기』 제명기(齊明紀) 7년(659)조

III. 「칠지도(七支刀)」는 百慈王이 侯王(倭王 旨)에게 준 증표

1. 칠지도(七支刀) 명문의 판독
2. 칠지도(七支刀) 명문은 하행문(下行文)
3. 일본학계의 칠지도 명문의 해석
4. 칠지도(七支刀) 명문의 해석
5. 「왜왕 旨(지)」 그는 누구인가?

IV. 백제 무령왕(武寧王)의 탄생지는 北九州의 「가카라시마(加唐島)」

1. 가카라시마(加唐島) 전경 52
2. 『일본서기』 웅략기(雄略紀) 6년(461)조
3. 무령왕은 502년 환국 전 「倭王」 위에 있었다?
4. 나의 규슈(九州) 가카라시마(加唐島) 방문기

Ⅴ. 긴키(近畿) 「百濟郡 百濟鄕」의 소재지는 오늘의 大阪市 生野區

1. 『표준일본사지도(標準日本史地圖)』에서 보는 「大倭國」의 방위
2. 김달수(金達?)의 「일본 속에 살아있는 韓國」
3. 「百濟·구다라」는 지금도 일본 땅에서 숨 쉬고 있다
4. 「藤ノ木(후지노끼)」 고분의 피장자는 백제 왕족(侯王)
5. 일본은 왜 ‘百濟’를 ‘구다라’라고 하는가?

VI. 남규슈 남향촌 출토 大王銘 말방울

1. 남향촌(南鄕村·난고손)의 「大王방울」
2. 감은사 터 출토 「大王방울」은 남향촌의 것과 흡사
3. 감은사 터 출토 「大王방울」은 백제왕의 하사물

VII. 『일본서기』의 「천황·붕(崩)」 「백제왕·훙(薨)」은 날조

1. 『일본서기』의 성립배경
2. 『일본서기』는 변개(變改)·조작된 것
3. 「붕(崩)」과 「훙(薨)」의 차이는 ‘대왕’과 ‘후왕’의 차이
4. 무령왕의 서거는 대왕의 죽음·「붕(崩)」
5. 맺는말 101

VIII. 일본의 고대국가 大倭(대왜)의 기원은 韓國(한국)

1. 韓과 大倭의 나라들
2. 大倭의 생활문화 - 韓과 흡사하다
3. 大倭의 통치구조 - 이중적(二重的) 구조
4. 大倭는 규슈(九州)지방을 평정하고, 혼슈(本州)에 「百濟郡」 설치
5. 맺는말

결어

참고문헌
Author
소진철
1930년 전북 익산 생
1953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고등고시 행정과 합격)
1963년 미국 오클라호마대학 정치학박사
1960~1985년 외무부 근무(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요르단 등 대사)
1986년 미국 UC 버클리(동아연구소) 연구교수
1987년~현재 원광대 교수, 명예교수

저서
한국전쟁의 기원(1996년), 일본 문화의 뿌리와 한국(공저, 1992년), 되돌아본 한일관계사(공저, 2005년), 백제 무령왕의 세계(일본어판, 2000년), 백제 무령왕의 세계(한국어판, 2008년)
1930년 전북 익산 생
1953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고등고시 행정과 합격)
1963년 미국 오클라호마대학 정치학박사
1960~1985년 외무부 근무(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요르단 등 대사)
1986년 미국 UC 버클리(동아연구소) 연구교수
1987년~현재 원광대 교수, 명예교수

저서
한국전쟁의 기원(1996년), 일본 문화의 뿌리와 한국(공저, 1992년), 되돌아본 한일관계사(공저, 2005년), 백제 무령왕의 세계(일본어판, 2000년), 백제 무령왕의 세계(한국어판, 200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