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학풍수는 우리나라 순수 자생풍수이론으로 오래 전 ‘통맥법’이라는 풍수론으로 강론, 보급되었고 궁중과 사대부가에서 비기로 전수되어 온 전통의 풍수론이다. ‘도학(道學)’이라는 명칭은 한국풍수의 종조인 도선국사와 무학대사의 뜻을 기리고자 법명을 빌어 붙인 이름으로 여타의 아류 풍수론으로부터 한국풍수의 자존감을 지키기 위함이다.
이 책은 한국풍수의 미래를 개척하는 전통이론으로서 풍수가 왜 과학이고 실학인지를 명확하게 제시해주고 있는데, [제1편]에서는 풍수가 현대 학문으로 정립해 가기 위해 우주와 지구, 그리고 별들의 세계, 모든 생명체와 기후조건,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들의 출현과 지구의 내부 구성, 자연생태시스템, 풍화와 침식에 의한 자연지형의 변화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제2편]에서는 풍수지리에 대한 정론을 비교적 소상하게 고전적 용어를 현대 용어로 바꾸어 꼭 필요한 내용만 소개하였으며, [제3편]에서는 한국의 자생풍수이론인 도학풍수와 그 실제적 활용을 위한 내용들을 담았다.
Contents
제1편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이해 - 풍수지리학을 위한 여행
1장 지구와 우주로의 여행
1절 지구와 우주의 자연시스템
2절 지구라는 생명체 - 지구 생태계
3절 지구생명체의 형태와 운동 및 시간
2장 인류열차와 인간승객
1절 진화의 꽃 인류
2절 인간이라는 열매
3장 문명과 문화라는 화장
1절 문명이라는 기초화장 - 4대 문명
4장 자연과 인간의 숙명
1절 하나의 자연
2절 자연을 위한 지리학
5장 자연철학의 학문
1절 변화의 원리 - 역과 태극
2절 존재를 위한 음양오행
3절 기와 이기체용
4절 식탁 위의 천간과 지지 - 60갑자
6장 풍수를 먹기 위한 간식
1절 풍수요리의 종류
2절 사람의 집 - 양택과 음택
3절 가장 중요한 메뉴, 산과 물 - 상징성과 신앙
4절 앞선 여자 뒷선 남자 - 좌향
제2편 풍수지리학으로의 진군
1장 산 이야기 첫째 마당 - 풍수에서의 산
1절 남장을 한 산
2절 산계와 하계 - 산수의 분합과 대, 소팔자
3절 산의 성정과 영향
2장 산 이야기 둘째 마당 - 풍수에서의 뿌리와 줄기
1절 남자의 신체구조 - 산맥(용맥)의 발원과 맥, 지기
2절 줄기와 가지 - 간룡과 지룡
3절 좌회전과 우회전 - 좌선용과 우선용
4절 파워풀한 남자와 고개 숙인 남자 - 생용과 사룡
5절 나의 백그라운드 - 조, 종산과 주산 그리고 조, 안산
6절 사방에서 감싸는 병풍 같은 뒷산 - 사방산(사신사)과 개장천심
7절 사방산의 품격 - 사격론
8절 산의 오형체와 구형체
9절 다리가 되어줄까 노가 되어줄까? - 지각과 요도맥
10절 남자는 생긴 대로 꼴값 한다 - 길산과 흉산
11절 보여주는 대로 배우는 동심 - 조응과 감응
12절 남자의 허리와 만남, 그리고 이별 - 과협과 영송
3장 산 이야기 셋째 마당 - 형국과 형, 그리고 혈
1절 어머니의 사랑
2절 아이를 가진 어미의 자태
3절 사랑으로 잉태된 아이 - 혈
4절 숨겨진 아이를 찾는 법 - 혈을 찾는 법(혈심법과 혈증법)
5절 열일곱 개 보자기로 찾아 나서기 - 형국과 형세로 찾는 법
4장 물 이야기 - 풍수에서의 물
1절 여장을 한 물
2절 얻는 물과 잃는 물 - 득수와 득파
3절 좋은 여자 나쁜 여자 - 내, 외수와 조, 안수
4절 여자의 본색 - 물의 침식력
5장 바라봄과 뒷배경 이야기 - 좌향
6장 내 생명과 재산을 노리는 정체 - 살론
1절 위협이 되는 살의 정체
2절 풍수지리에서의 재해살
7장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 형기론과 이기론
1절 눈에 보이는 것을 말하다 - 형기풍수론
2절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하다 - 이기풍수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