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는 말
2. 도덕철학자 스미스와 ‘보이지 않는 손’ 탐구
3. 법과 경제 문제: ‘보이지 않는 손’의 모형과 로크 소유권 이론의 차이
4. 장기적 경제 발전 문제: ‘보이지 않는 손’의 모형과 그 일탈의 동학
5. 맺음말
참고문헌
제2장 애덤 스미스 르네상스와 경제학에 관한 조망
1. 들어가는 말
2. 스미스의 도덕철학과 경제학의 위상
3. 시장 메커니즘 작동의 토대: 가치론 및 분배이론
4. 산업조직과 노동시장
5. 거시경제의 순환과 경제성장
6. 시장과 정부의 역할
7. 스미스 경제학(도덕철학)의 현대적 확장과 그 조류
8.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제3장 경제성장과 소득분배의 동학에 대한 ‘애덤 스미스 가설’
1. 인간의 야심과 경제발전
2. 분업과 경제성장
3. 자본축적과 경제성장
4. 공평한 관찰자와 자연가격, 그리고 소득분배
5. ‘사물의 자연스러운 흐름’과 경제발전, 그리고 소득분배
6. ‘애덤 스미스 가설’의 실증 분석
7. ‘애덤 스미스 가설’의 현대적 시사점과 동반성장
참고문헌
제4장 애덤 스미스, 불평등의 변호인인가?
1. 들어가는 말
2. 불평등의 사회적 기능과 부작용
3. 토지소유 및 점유제도
4. 시장에서의 불평등
5. 조세와 불평등 문제
6. 정치 영역에서의 불평등
7. 맺음말
참고문헌
제5장 애덤 스미스가 한국에 온다면: 정부와 재정 이야기
1. 들어가는 말
2. 애덤 스미스 시대 영국의 재정 현황
3. 애덤 스미스의 공공부채에 관한 의견
4. 한국 재정정책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제6장 애덤 스미스의 교육관과 21세기 한국 대학
1. 들어가는 말
2. 애덤 스미스의 교육 경험
3. 『국부론』에서 보이는 교육의 필요성과 재원 조달 문제
4. 교육제도와 교육 행정
5. 『국부론』과 현재 한국의 대학 교육
6. 맺음말
참고문헌
제7장 애덤 스미스의 법경제학: 이기심과 도덕감정의 균형
1. 들어가는 말
2. 도덕감정의 실패, 시장의 실패와 법적 책임
3. 스미스: 도덕감정에 기초한 외부성의 내재화
4. 벤담: 효용의 원칙과 공리주의에 의한 외부성의 내재화
5. 스미스와 벤담의 도덕감정과 공공정책에 대한 태도
6. 도덕감정의 제도화와 ESG를 위한 노력
7. 맺음말
참고문헌
제8장 애덤 스미스 정리: 정의가 번영을 이끈다
1. 도덕적 인간의 재발견: 사회과학의 출발점으로서의 도덕철학
2. 애덤 스미스의 도덕철학: 동감하는 본능과 공평한 관찰자
3. 애덤 스미스의 사상과 『중용』의 기본정리
4. 『도덕감정론』에서 『국부론』으로 이어지는 애덤 스미스의 사상
5. 공평한 관찰자의 윤리학과 도덕적 행동의 기본원리
6. 자연적 자유의 체계와 보존의 원리
7. 애덤 스미스 정리: 정의가 번영을 이끈다
8. 21세기 자본주의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표 차례
〈표 2-1〉 스미스의 복합 다층적 인문환경 모형 및 경제학의 존재론적 위상
〈표 2-2〉 스미스와 정부의 역할: 21세기 대한민국 정부 조직의 준용을 통한 이해
〈표 3-1〉 주요 13개 국가의 소득이동성
〈표 3-2〉 우리나라의 소득계층이동성: 가계금융복지조사
〈표 3-3〉 우리나라의 소득계층이동성: 재정패널조사
〈표 5-1〉 1688~1868년 기간 동안 영국 전쟁의 총비용
〈표 5-2〉 1700~1815년 기간 동안 영국 정부의 재정지출 추이
〈표 5-3〉 1700~1815년 기간 동안 영국 정부의 재정수입 추이
〈표 5-4〉 1700~1815년 기간 동안 영국 정부 부채와 재정수지 추이
〈표 6-1〉 OECD 국가의 고등교육비 공공-민간 부담 유형
〈표 7-1〉 애덤 스미스의 권리 유형과 내용
그림 차례
〈그림 2-1〉 실재(reality)의 재현과 군맹평상의 우화
〈그림 2-2〉 경제성장 이론: 국가 법제도와 경제 성과 간의 상호 작용
〈그림 3-1〉 소득불평등과 소득계층이동성
〈그림 3-2〉 우리나라의 소득불평등과 소득계층이동성: 가계금융복지조사
〈그림 3-3〉 우리나라의 소득불평등과 소득계층이동성: 재정패널조사
〈그림 3-4〉 우리나라의 소득계층이동성과 소득불평등 추이: 재정패널조사
〈그림 3-5〉 RRS와 1인당 실질GDP 성장률
〈그림 3-6〉 AUM과 1인당 실질GDP 성장률
〈그림 3-7〉 ADM과 1인당 실질GDP 성장률
〈그림 4-1〉 사회 안전의 지표
〈그림 4-2〉 GDP 대비 공공질서 및 치안 지출 비율
〈그림 5-1〉 1700년대 이후의 영국 정부 부채와 차입금
〈그림 5-2〉 1700년대 이후의 영국의 재정지출과 분야별 지출의 추이
〈그림 5-3〉 1700년대 이후 영국의 재정수입과 수입 원천별 추이
〈그림 5-4〉 영국의 재정수입 추이(1700~2016년)
〈그림 5-5〉 18세기 영국의 원천별 재정수입의 변화 추이
〈그림 5-6〉 18세기 이후 영국의 정부 부채 추이
〈그림 5-7〉 18세기 이후 영국의 재정수지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