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지의 마르크스를 향하여

『자본』 1861~63년 초고 해설
$27.00
SKU
978896195266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7/03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61952668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엔리케 두셀은 라틴아메리카의 입장에서 타자와 해방의 문제에 천착해온 국제적인 사상가이다. 이 책에서 두셀은 해방철학으로부터 마르크스 연구를 거쳐 해방윤리와 해방정치로 나아가는 사유의 궤적을 그린다. 마르크스의 경제학 텍스트 전체를 면밀하게 연구한 두셀에게 이 연구 과정은 이론과 현실을 하나로 만들기 위해 꼭 필요했다.



마르크스의 [1861~63년 초고]는 『잉여가치학설사』로 알려졌던 내용 외에도 출판된 『자본』 제1권의 두 번째 초안과 제3권의 첫 번째 초안 내용을 담고 있는 몹시 중요한 텍스트이다. 이 초고는 ‘그룬트리세’라고 불리는 1857~58년의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초고와 1867년 출판된 『자본』 제1권을 매개하는 연결고리로서, 마르크스 엥겔스 전집(MEGA)의 기념할 만한 한국어판이 이 초고를 첫 출판 텍스트로 선택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두셀은 마르크스가 기획한 경제학 비판에서 핵심 범주는 “산 노동”임을 포착한다. 자본은 자기 바깥에 실존하는 “산 노동”을 포괄해야만 잉여가치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본을 스스로 균열하고 지양되는 총체가 아니라 외재성 없이 존재할 수 없는 비동일자로 규정했다는 점, 자본 바깥의 실존하는 타자들을 전적인 무로 만들어야만 자본이 존재한다는 원리를 밝힘으로써 우리의 윤리적 책임을 자각시킨다는 점이야말로 두셀이 알려주는 미지의 마르크스의 면모가 될 것이다.



또 두셀 덕분에 우리는 마르크스가 수행한 “비판적 대면”의 결과물이 이 초고와 출판된 『잉여가치학설사』에 담겨 있음을 알게 되고, 이 초고에서 마르크스는 잉여가치의 현상형태를 해명하려고 새 범주 편성에 매진했다는 사실을 보게 될 것이다.



Contents
표와 그림 차례 8
영어판 편집자 서문 9
영어판 저자 서문 36

제1부 “III챕터 : 자본 일반”의 핵심 [노트] ― 자본의 생산과정 49

제1장 화폐가 자본이 됨 ― 외재성으로부터 총체성으로 52
1.1 새로운 삼단논법 : G-W-G 53
1.2 화폐 소유자와 노동 소유자의 직접 대면. 창조적 외재성 56
1.3 교환. 노동과정과 가치증식과정 64
1.4 자본의 두 가지 구성 요소 70

제2장 절대적 잉여가치 74
2.1 잉여가치 일반과 사회 계급 75
2.2 절대적 잉여가치 79
2.3 잉여가치의 본성과 “착취율” 80

제3장 상대적 잉여가치 85
3.1 상대적 잉여가치의 “본질” 86
3.2 포섭의 일반 형식 ― 협업 90
3.3 포섭의 두 번째 양태 ― “사회적” 노동의 “사회적” 분업 93
3.4 포섭의 세 번째 양태 ― 공장에서의 기계장치 99

제2부 범주들의 전체 체계의 비판적 대면 ― 이른바 “잉여가치론” 107

제4장 제임스 스튜어트 및 중농주의자들과의 비판적 대면 115
4.1 스튜어트의 경우 115
4.2 중농주의자들과의 대면 118
4.3 그 밖의 부차적 모순들 120

제5장 아담 스미스의 당혹 125
5.1 자본과 노동의 교환에 관한 혼동들 126
5.2 잉여가치와 이윤의 동일시 129
5.3 재생산의 문제 132

제6장 생산적 노동 137
6.1 생산적 노동, 자본, 상품 137
6.2 생산적 노동에 관한 논쟁들 141
6.3 논쟁의 끝을 향하여 146
6.4 케네의『 경제표』 154

제7장 지대 이론 160
7.1 로트베르투스와의 대면을 통한 지대 이론의 공식화 162
7.2 방법론적 여담 168
7.3 “리카도의 지대 법칙”과 그 역사 170
7.4 리카도와 스미스에서의 “비용가격” 175
7.5 리카도와 스미스의 지대론 180
7.6 “지대표” 186

제8장 리카도에서의 잉여가치, 이윤, 축적, 위기 191
8.1 잉여가치와 이윤 192
8.2 이윤율 195
8.3 축적과 재생산 201
8.4 위기의 “가능성”과 “현존” 204

제9장 통속적, 옹호론적 경제학의 물신 213
9.1 맬서스의 잉여가치 214
9.2 리카도 학파의 와해 219
9.3 비판적 반작용 228
9.4 수입의 물신, “잉여가치론”에 대한 모종의 결론 233

제3부 새로운 발견 238

제10장 “II장 : 자본의 유통과정”과 “III장 : 자본과 이윤의 통일”을 향해 240
10.1 상업자본 241
10.2 자본과 이윤 ― “III장”을 향하여 250
10.3 자본주의적 재생산에서 화폐의 환류 256
10.4 “잉여가치론”의 결말 259
10.5 미래 저작을 위한 새 기획안들 263

제11장 “I장 : 자본의 생산과정”에 대한 새로운 명료화 273
11.1 상대적 잉여가치, “생산양식”의 혁명 혹은 “기술학적 진실” 274
11.2 잉여가치 유형들 사이의 관계. 형식적 포섭과 실제적 포섭. 생산적 노동과 물신 281
11.3 축적 혹은 잉여가치의 자본으로의 재전환 286
11.4 페티로부터 시작한 역사비판적 독해 292

제4부 새 이행 296

제12장 [1861~63년 초고]와 해방철학 298
12.1 마르크스에게 “과학”이란 무엇인가? 298
12.2 “산 노동”이라는 외부로부터의 “비판” 303
12.3 본질로의 이행 혹은 개념의 “전개” 310
12.4 범주들의 편성 315
12.5 [1861~63년 초고]와 “해방철학” 319

제13장 [1861~63년 초고]와 “종속 개념” 325
13.1 “종속론” 326
13.2 “경쟁”, 종속의 이론적 중심지 337
13.3 종속의 “본질”, 국민들 간의 사회적 관계의 결과로서 잉여가치의 이전 345
13.4 종속의 현상과 필수적 범주들 354
13.5 새로운 정치적 결론, “국민적”이면서도 “인민적”인 해방 362

부록
부록 1 : 상이한 텍스트(초고 원본, 판본, 번역본)들의 페이지 대비표 368
부록 2 : 마르크스의 사유에서 외재성 373

옮긴이 해제 : 미지의 마르크스에서 미래의 마르크스로 382
후주 406
참고문헌 449
인명 찾아보기 456
용어 찾아보기 459
Author
엔리케 두셀,염인수
아르헨티나 출신의 라틴아메리카 철학자, 역사학자, 신학자이다. 현재 멕시코 국립자치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이다. 라틴아메리카 해방철학의 주창자로서 유럽 중심주의에 반하는 자주적 사상의 전개, 중심부­주변부 세계 구도를 전복할 수 있는 해체식민주의 운동 등을 전개해 왔다. 레비나스와 마르크스 사상을 라틴아메리카 상황에서 재해석, 재발견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아르헨티나 레시스텐시아 국립대학에서 윤리학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종속이론과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철학을 연구하며 해방철학의 기틀을 닦았다. 1975년 아르헨티나 군부독재의 폭압을 피해 멕시코로 망명, 메트로폴리탄 자치대학 이스타팔라파 캠퍼스 철학과 교수로 재임하며 멕시코 자치국립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해방과 타자에 대한 사유로서 두셀의 이론 작업은 억압받는 자들의 입장에서 모든 종류의 억압을 검토하고, 해방의 실현을 위해 윤리와 정치를 접합할 보편적 원리를 타자의 현실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는 라틴아메리카 해방철학의 주창자 중 한 사람으로, 『해방철학』(1977), 『해방윤리』(1998), 『해방정치 I』(2007), 『해방정치 II』(2009)로 대표되는 주저 외에, 철학, 역사학, 신학 분야 에서 71권의 저서를 집필했다. 『해방철학』과 『해방윤리』 사이 기간 동안 두셀은 라틴아메리카의 시야에서 경제학적 철학을 구성할 필요로 인해 ‘정치경제학 비판’ 초고 전체를 연구했으며, 이 책 『미지의 마르크스를 향하여』(1988)는 그 이후 산출된 마르크스 연구서 3부작 중 두 번째 책이다.
아르헨티나 출신의 라틴아메리카 철학자, 역사학자, 신학자이다. 현재 멕시코 국립자치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이다. 라틴아메리카 해방철학의 주창자로서 유럽 중심주의에 반하는 자주적 사상의 전개, 중심부­주변부 세계 구도를 전복할 수 있는 해체식민주의 운동 등을 전개해 왔다. 레비나스와 마르크스 사상을 라틴아메리카 상황에서 재해석, 재발견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아르헨티나 레시스텐시아 국립대학에서 윤리학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종속이론과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철학을 연구하며 해방철학의 기틀을 닦았다. 1975년 아르헨티나 군부독재의 폭압을 피해 멕시코로 망명, 메트로폴리탄 자치대학 이스타팔라파 캠퍼스 철학과 교수로 재임하며 멕시코 자치국립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해방과 타자에 대한 사유로서 두셀의 이론 작업은 억압받는 자들의 입장에서 모든 종류의 억압을 검토하고, 해방의 실현을 위해 윤리와 정치를 접합할 보편적 원리를 타자의 현실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는 라틴아메리카 해방철학의 주창자 중 한 사람으로, 『해방철학』(1977), 『해방윤리』(1998), 『해방정치 I』(2007), 『해방정치 II』(2009)로 대표되는 주저 외에, 철학, 역사학, 신학 분야 에서 71권의 저서를 집필했다. 『해방철학』과 『해방윤리』 사이 기간 동안 두셀은 라틴아메리카의 시야에서 경제학적 철학을 구성할 필요로 인해 ‘정치경제학 비판’ 초고 전체를 연구했으며, 이 책 『미지의 마르크스를 향하여』(1988)는 그 이후 산출된 마르크스 연구서 3부작 중 두 번째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