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사는 끝없이 재해석되는 것이며 완성된 결론은 없다. 이 책 『근현대 프랑스철학의 뿌리들 ― 지성, 의지, 생명, 지속의 파노라마』는 칸트 이후 정형화된 서양 근대 철학사 이해를 프랑스 철학사를 통해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관점을 발견하려 한다. 데까르뜨 이후의 프랑스 사상에는 지적 자극을 야기한 사회문화적 변동 그리고 철학자들의 삶과 개성이 뚜렷하게 드러나 있어 철학이 강단으로 들어오기 전의 현실감을 생생하게 느끼게 해 준다.
19세기 프랑스 유심론의 대표 주자들 멘 드 비랑, 라베쏭은 데까르뜨의 사유하는 자아, 영국 경험론, 칸트의 현상주의가 내포하는 주지주의적 경향에 대립하면서 경험 개념을 심화시켜 의식 내적 경험의 구체철학을 제시한다. 이 흐름은 철학적 반성을 심리학과 생리학적 탐구로 확장하고 태동하는 생물학의 성과를 종합하여 생명철학이라는 고유의 영역을 개척한다. 이들의 후계자 베르그손은 근대 생물학의 기계론적 해석을 비판적으로 극복하는 창조적인 생명형이상학을 선보이고 더 나아가 근대 기계론과 지성주의적 사유 전체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존재의 철학이 아닌 생성의 철학을 사유하기 시작한다.
니체, 맑스, 프로이트와 같은 외래사상에 빚진 현대 프랑스 철학자들에게 프랑스 유심론은 곧 극복해야 할 형이상학적 전통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 전통은 그들 자신이 자립할 수 없을 때부터 양분을 섭취한 모체이기도 하다. 저자는 그들의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 감춰진 계보를 찾아내고 이로부터 현재에도 생생히 살아남아 여전히 작동하는 프랑스적 사유를 보여준다.
Contents
들어가기 전에 5
들어가는 말 - 서양 근대철학의 흐름 속의 프랑스 사유 12
1장 데까르뜨 - 보편적 사유 주체의 등장 22
1절 데까르뜨의 형이상학, 사유하는 주체와 외적 세계의 존재 24
1. 코기토의 의미, 의식내재성의 세계와 그 규정들 25
2. 외적 세계의 존재 34
2절 데까르뜨의 지각 이론 44
1.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지각 이론의 유산 45
2. 의지와 지각 49
3. 감각지각의 분류 - 감각과 정념 54
3절 아리스토텔레스와 데까르뜨의 심신이론 비교 60
1.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의 분류와 정의 62
2. 데까르뜨의 심신이원론과 심신결합의 문제 69
2장 영국 경험론과 프랑스 계몽주의 - 로크, 버클리, 디드로, 꽁디약 77
1절 로크와 버클리의 경험론 78
1. 데까르뜨와 로크 78
2. 버클리의 문제들 85
2절 디드로와 프랑스 계몽주의, 몰리누 문제 89
1. 디드로의 유물론적 감각주의 90
2. 몰리누 문제 92
3절 꽁디약의 철학에서 의식의 수동성과 능동성 95
1. 첫 번째 문제 - 본유관념의 부정과 의식의 수동성 97
2. 두 번째 문제 - 외적 대상의 인식과 의식의 능동성 103
3. 세 번째 문제 - 기호의 사용과 고차적 인식기능의 발달 107
4. 비판과 수정 - 데스뛰 드 트라씨, 까바니스, 보네 112
3장 사유하는 주체에서 의지적 주체로 - 멘 드 비랑 118
1절 멘 드 비랑의 생애와 작품 119
2절 철학적 여정 122
3절 경험론 시기 - 감각이론과 습관이론 127
1. 감각과 지각의 구분 - 감성적 활동성과 운동적 활동성 129
2. 감각의 분석에서 의지적 노력과 정념적 성질 131
3. 감각과 지각에 미치는 습관의 영향 135
감각습관과 생명 원리 136
지각습관과 운동적, 의지적 노력 138
4. 인간의 이원성 140
5. 생리학과 관념학의 결합 144
4절 의지의 철학과 수동적 신체 146
1. 심리적 인과성 148
기계론적 인과성과 생산적 인과성 148
의지적 노력과 심리적 인과성 151
2. 의식의 원초적 사실 - 존재와 인식의 근거로서의 능동적 신체의 경험 156
3. 생리적 신체와 의지적 신체 162
기계론적 생물학과 생기론의 등장 162
수동적 신체와 능동적 신체의 이원론 165
4. 심신의 결합과 심리적 삶의 체계 169
무의식의 세계 - 동물적 삶 169
의식의 세계 - 인간적 삶 172
5. 맺는말 175
5절 멘 드 비랑에 대한 해석의 역사 176
1. 프랑스철학의 외적 배경들 177
2. 꾸쟁의 절충주의와 라베쏭의 유심론적 해석 182
3. 가브리엘 마디니에의 유심론적 해석 186
4. 앙리 구이예의 문헌학적 해석 191
5. 미셸 앙리의 현상학적 해석 196
4장 의지에서 생명으로 - 라베쏭 200
1절 라베쏭의 생애와 철학의 특징 201
1. 라베쏭의 생애와 작품 201
2. 라베쏭 철학의 배경과 특징 203
2절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자연과 습관 209
1. 습관에 관한 초보적 정의 212
에토스와 헥시스 212
습관과 자연적 본성 215
2. 헥시스의 다양한 의미들 217
획득된 안정적 성향으로서의 헥시스 217
자연상태로서의 헥시스 218
가능태로서의 헥시스 220
결핍과 헥시스 222
3. 아리스토텔레스의 습관 개념에 대한 현대적 고찰 224
3절 라베쏭의 생명적 존재론 231
1. 존재자의 생성과 습관 233
습관과 가능태 - 아리스토텔레스와 베르그손 사이에서 233
생명과 자연 241
의식과 영혼 250
2. 멘 드 비랑과 라베쏭의 의지 개념 255
‘볼로 에르고 숨’의 의미와 모순 255
노력 개념의 재정의 258
3. 생명적 자발성 263
직접적 지성 264
지성적 인식 267
라베쏭 철학의 특징과 셸링의 영감 269
4. 맺는말 - 라베쏭과 베르그손 272
5장 시간과 지속의 형이상학 - 베르그손 275
1절 프랑스 유심론과 베르그손 276
2절 지속의 자기지시적 논리와 창조 282
1. 지속의 자기지시적 논리 282
변화 - 의식상태들의 유기적 결합 286
존재 - 전체와 부분의 상호반영성 288
생성 - 새로움의 탄생 291
2. 이미지와 현재, 순수기억과 정신 295
현재 - 이미지와 신체 296
순수기억과 정신의 실재성 302
잠재태의 현실화 속에서의 창조적 자유 309
3. 의식과 생명 - 열린 순환과 닫힌 순환 315
유기체의 지속에서 생명의 진화로 317
생명의 진화 속에서 열린 순환과 닫힌 순환 320
그리고 의식과 생명의 순환성
4. 물질의 자기지시적 선순환은 가능한가? 332
5. 맺는말 339
3절 공간과 인식 - 칸트와 대적하는 베르그손 342
1. 칸트의 「초월론적 감성론」에서 공간과 시간 345
감성적 인식과 공간 347
시간과 공간의 동형성 352
2. 베르그손의 칸트 비판 358
강도량 개념 비판 358
연장의 지각과 순수공간의 개념화 365
시공의 동형성 비판과 공간의 실용적 기원 372
3. 공간과 지성적 인식 376
4절 베르그손과 들뢰즈 - 들뢰즈의 베르그손 해석 386
1. 베르그손 철학의 방법과 이념 - 직관과 초월론적 경험론 389
내적 차이와 진정한 경험론 389
방법의 규칙으로서의 직관 392
2. 차이의 정도들 - 다양체와 잠재태 402
질적 다양체와 잠재태 402
잠재태의 존재방식과 존재론적 의미 407
잠재태와 시간 411
3. 차이의 분화운동 - 잠재태의 현실화와 생명의 도약 418
잠재성과 생명의 분화 419
이원론인가, 일원론인가? 422
가능성과 잠재성 425
4. 맺는말 430
결론을 대신하여 433
출처 435
참고문헌 436
인명 찾아보기 443
용어 찾아보기 446
Author
황수영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고, 프랑스 파리 4대학에서 1997년 「프랑스 유심론에서 습관의 문제 - 멘 드 비랑, 라베송, 베르그손」이라는 논문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림대학교 인문한국(HK) 교수, 세종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를 거쳐 현재 홍익대학교 교양과 강의전담교수로 재직중이다. 옮긴 책으로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2005), 지은 책으로는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2006), 『베르그손, 생성으로 생명을 사유하기 - 깡길렘, 시몽동, 들뢰즈와의 대화』(2014), 『시몽동, 개체화 이론의 이해』(2017)가 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고, 프랑스 파리 4대학에서 1997년 「프랑스 유심론에서 습관의 문제 - 멘 드 비랑, 라베송, 베르그손」이라는 논문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림대학교 인문한국(HK) 교수, 세종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를 거쳐 현재 홍익대학교 교양과 강의전담교수로 재직중이다. 옮긴 책으로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2005), 지은 책으로는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2006), 『베르그손, 생성으로 생명을 사유하기 - 깡길렘, 시몽동, 들뢰즈와의 대화』(2014), 『시몽동, 개체화 이론의 이해』(2017)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