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초, "과학전쟁"이라는 이름 아래에 미국의 매체와 학술지들을 중심으로 소수의 과학자들과 과학기술학자들이 맞붙었다. 편자는 과학자들이 과학 분야의 엘리트주의에 도전하는 환경운동가, 과학사회학자, 페미니스트, 교육학 연구자, 문화비평가들을 "과학과 이성으로부터 도피"하는 사람들이라고 비난했다고 지적한다. 이에 따라 저자들은 과학 전문가와 일반 시민 사이에 현존하는 지식, 발언권, 사회적 영향력의 불균형은 민주주의의 원칙에 따라 과학 영역 내에서 시민참여를 증가시키는 것을 통해 반드시 해소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더불어 전문가-일반인의 균형을 찾는 문제에 관해 논하고 있다. 물론 시민들이 어떤 식으로든 과학기술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은 이 책의 대전제이다. 그렇다면 그에 따른 구체적 방법론은 무엇일까? 저자들은 각자의 분야를 넘나들면서 과학 생산에서 과학기술 규제에 대한 참여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스펙트럼 속 시민 참여 과학의 면모를 뽑아낸다.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감사의 글
서론 (대니얼 리 클라인맨)
1부 시민참여의 사례들
1장 민주주의, 전문성, 에이즈 치료 운동 (스티븐 엡스틴)
에이즈 치료 활동가 운동의 기원
신용의 획득
결과
함의
2장 기술에 관한 마을회의―민주적 참여 방안으로서 합의회의 (리처드 스클로브)
쟁점을 틀 짓는 방식
시의성과 정책 반영
첫 번째 시도:보스턴 합의회의
몇 가지 관찰 결과
결론
3장 지속가능한 농업 네트워크를 통한 농업 지식의 민주화 (네바 해서네인)
도입
비판에서 혁신으로
순환방목과 국지적 기술지식
성별, 사회적 위치, 그리고 지식 교환
결론
4장 핵시설 관련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시민참여―핸퍼드의 교훈 (루이스 캐플란)
초기 수십 년 동안
핵 진보 주에서 분열된 주로
결론
2부 평가와 전략
5장 인간 복지와 연방 과학―그 관계는 어떠한가? (대니얼 새러위츠)
냉전적 기원
계몽주의 프로그램
여덟 가지 문제
과학과 복지의 새로운 연결
6장 “시민-과학자”는 모순어법인가? (스티븐 슈나이더)
“시민-과학자”는 존재하는가?
“과학”과 “정책을 위한 과학”은 서로 다르다
주관적 평가:“기후 민감성”의 사례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은 드물다
환경적 소양을 위한 세 가지 질문
메타-기구의 건설:과학 평가 “법정”?
“과학에서의 FED”?
특정 입장 대변은 무방하지만 사실에 대한 선별적 무시는 안 돼
지속적인 재평가
환경적 소양
7장 과학철학은 민주주의의 이상을 코드화해야 하는가? (샌드라 하딩)
외부 민주주의 대 내부 민주주의 문제
코드화된 민주주의의 이상
민주적 사회관계의 기준들
하나의 세상, 하나의 진리, 하나의 과학?
인지적 다양성의 원천
보편성 이상이 치르는 대가
보편화를 보편화하기
8장 과학기술의 민주화 (대니얼 리 클라인맨)
민주화된 과학의 다양한 유형들
과학정책의 민주화
지식생산의 민주화
과학의 민주화를 가로막는 장벽
장애물 극복을 위한 전략
결론
옮긴이 후기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용어 찾아보기
Author
스티븐 엡스틴,리처드 스클로브,대니얼 리 클라인맨,김명진,김병윤,오은정
몬타나대학교 환경학 부교수다. 지속가능한 식품과 농업시스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으며 최근에는 식품민주주의와 지역식품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관련된 사회활동을 병행 주. 주요 저서로는 『미국 농업 방식의 변화: 지속가능한 농업운동에서의 지식과 공동체』(Changing the Way America Farms: Knowledge and Community in the Sustainable Agriculture Movement, 1999)가 있다.
몬타나대학교 환경학 부교수다. 지속가능한 식품과 농업시스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있으며 최근에는 식품민주주의와 지역식품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관련된 사회활동을 병행 주. 주요 저서로는 『미국 농업 방식의 변화: 지속가능한 농업운동에서의 지식과 공동체』(Changing the Way America Farms: Knowledge and Community in the Sustainable Agriculture Movement, 1999)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