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 자료를 위주로 하여, 동북(東北) 지역의 선진(先秦)시대 역사를 복원하려는 목적에서 나온 책이다. ‘원고 인류의 족적-동북 지역의 구석기 시대’, ‘씨족에서 국가로-동북 지역의 신석기시대’, ‘하 왕조 시기의 방국문명과 문화-동북 지역의 전기 청동기시대’, ‘상·주 시대의 연과 유연 지역-다민족문화의 융합’, ‘연·진 제국의 건립과 통일다민족국가의 형성’,‘선진시대의 동북과 동북아시아’의 6장으로 나뉘어 있다. 한반도뿐만 아니라 일본, 연해주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동북지방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될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제4장 상·주 시대의 연과 유연 지역-다민족 문화의 융합
제1절 연문화의 발견과 연구사
제2절 류리허 연국 도성 유적과 주 초의 연 봉건
발굴 개황 | 둥자린 연국 도성 유적 | 황투포 연국 제후 묘지 | 주거 유적 | 주 초 연국 봉건의 고고학적 고찰 | 주 초 연국의 문화적 성취
제3절 주 초 연 봉건 이전의 현지 토착 문화
류자허 상대 무덤과 유관 유존 | 옌난 지역의 장자위안문화 | 랴오시 지역의 웨이잉쯔문화 | 샤 라오허 유역 상·주 교체기의 청동기문화
제4절 랴오시 상·주 교장 청동기 및 주 초 연국과 동북의 관계
랴오시 상·주 교장 청동기 | 옌산 남북 지역의 ‘북방식 청동기’ | 바이푸촌 서주 목곽묘와 유관 유존 | 상·주 교체기 옌산 남북 지역의 제방국
제5절 서주에서 춘추전국 교체기까지의 옌베이 지역 3대 문화 집단
허베이 북부 산지의 위황먀오문화 | 랴오시 지역의 샤자뎬상층문화 | 랴오닝식곡인청동단검문화 | 랴오둥반도의 석붕 | 제적, 융족, 그리고 예맥족
제6절 동북 지역의 기타 고국과 문화
제2쑹화장 유역의 시퇀산문화와 관련 유존 | 쑹넌평원의 바이진바오문화 | 징보후 호반에서 두만 강 유역 일대의 싱청문화 | 압록강 우안의 청동기문화 | 종술
제5장 연·진 제국의 건립과 통일다민족국가의 형성
제1절 연 하도와 연국 중심 지역의 연문화 유존
연국 복국의 험난한 과정 | 연 하도 | 연국의 다도제(多都制)와 그 고고학적 반영 | 연국 중심 지 역의 기타 연문화 유존
제2절 옌베이 5군과 관련 유적
옌베이 5군의 고고학적 고찰 | 연국 중심 지역 이외의 연문화 유존 | 전국시대 연 지역의 민족문 화 발전에 보이는 새로운 특징
제3절 고고학 자료로 본 연국의 경제 발전과 문화 성취
철기 주조업의 발달 | 청동 야주업과 그 지역적 특색 | 연국의 병기와 군사 | 연국의 도폐와 무 역
제4절 연·진 장성과 관련 유존
연·진 장성 발견사 | 연·진 장성의 방향과 구조 | 연·진 장성 주변의 중요 성새와 유물 | 랴오허 이동의 연·진 유존과 연·진 장성 동단 | 장성, 장성 지대와 민족문화 관계
제5절 발해만 북안의 진 행궁 유적
진산쭈이-장뉘스 진 행궁 유적군의 발견 | 장뉘스 진대 행궁 유적군 | 친황다오 진산쭈이-헝상 진 행궁 유적 | 갈석과 ‘국문’
제6절 연·진(한)시대 동북 외곽 지역 재민족문화의 발전과 변화
쑹넌평원의 한수문화, 핑양문화와 관련 유존 | 제2쑹화장 유역의 파오쯔옌유형 | 두만강, 수이펀 허 유역의 퇀제문화 | 싼장평원의 군투링문화 | 선선비, 부여, 옥저와 읍루
제6장 선진시대의 동북과 동북아시아
제1절 동북 지역과 동북아시아의 구석기문화 비교 연구
한반도와 인접 지역의 구석기문화 | 세석기문화의 전파와 관련 문제
제2절 신석기시대의 동북 지역과 동북아시아의 관계
동북아시아 지역의 신석기시대 전기 문화 | 동북아시아 지역 신석기문화의 구역 연구 | 압록강 유 역을 중심으로 한 여러 신석기문화의 관계 | 헤이룽장 하류와 일본 연해 지역 제신석기문화의 관 계 | 쑹넌평원과 헤이룽장 중?하류 지역 신석기문화의 관계 | 동해 양안의 해상 교류
제3절 중국 동북 지역 청동기문화의 한반도 등지에 대한 영향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 청동기문화의 관계 | 중국 동북 지역 청동기문화와 일본열도 및 러시아 원동 지역 고문화의 관계
제4절 연·진(한)시대 동북 고문화의 한반도 및 일본열도 전파
문헌에 기록된 연·진시대 해동 개척 | 야철 기술의 전파 | 일본 야요이문화의 형성에 대륙이 끼친 영향 | 퇀제문화, 군투링문화와 러시아 연해주 고문화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