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 자료를 위주로 하여, 동북(東北) 지역의 선진(先秦)시대 역사를 복원하려는 목적에서 나온 책이다. ‘원고 인류의 족적-동북 지역의 구석기 시대’, ‘씨족에서 국가로-동북 지역의 신석기시대’, ‘하 왕조 시기의 방국문명과 문화-동북 지역의 전기 청동기시대’, ‘상·주 시대의 연과 유연 지역-다민족문화의 융합’, ‘연·진 제국의 건립과 통일다민족국가의 형성’,‘선진시대의 동북과 동북아시아’의 6장으로 나뉘어 있다. 한반도뿐만 아니라 일본, 연해주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동북지방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될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해제 : 동북문화와 유연문명
도론
제1장 원고 인류의 족적-동북 지역의 구석기시대
제1절 하이허 유역의 구석기 시대
니허완분지의 샤오창량과 둥구퉈 유적 | 베이징인과 그 문화 | 허베이성, 산시성 경계 지역의 쉬 자야오인과 그 문화 | 산딩둥인과 그 문화 | 옌난 지역의 기타 구석기시대 문화 | 쌍간허 유역과 옌산 남록의 세석기 문화 | 하이허 유역 구석기시대 문화
제3절 동북 기타 지방의 구석기시대
쑹화장 유역에서 발견된 비교적 이른 시기의 구석기시대 문화 유존 | 쑹넌평원의 고인류 화석과 후기 구석기시대 문화 | 백두산 지역의 고인류 화석과 구석기문화 유적 | 중국최북단의 구석기문 화 유적-후마 스바잔 지점 | 지린, 헤이룽장 지역 구석기시대 문화
제4절 구석기시대에서 신석기시대로의 이행
니허완분지의 관련 유적 | 동북 기타 지역의 관련 유존
제2장 씨족에서 국가로-동북 지역의 신석기시대
제1절 하이허 유역의 신석기시대 전기 문화와 농업의 기원
둥후린 무덤 | 난좡터우 유적 | 좐녠 유적 | 쌍간허 유역의 신석기시대 전기 문화 | 옌난 지역 농업의 기원
제2절 옌산 남북 지역의 신석기시대 중기 문화와 유연문명의 첫걸음
차하이-싱룽와문화 | 옌산 남록의 상자이문화 | 쥐마허 유역의 전장잉1기문화 | ‘1만 년 문명의 첫걸음’에 대하여
제3절 랴오시 지역을 중심으로 한 신석기 시대 후기 문화와 유연문명의 기원
랴오시 지역 ‘훙산제문화’의 발견 | 훙산문화 | 자오바오거우문화 | 푸허문화 | 후훙산문화-샤 오허옌문화 | 옌난 지역의 신석기시대 후기 문화
제4절 훙산문화의 ‘제단 ? 여신묘 ? 적석총’-중화 5,000년 고국의 실증
중국문명 기원에 대한 논의 | 훙산문화의 적석총과 제단 | 여신묘-신의 세계 | 동아시아 선사시 대 옥문화의 중심지 | 랴오시의 고문화, 고성, 고국 | 훙산문화와 오제 전설
제5절 동북 기타 지역의 신석기문화
샤라오허 유역의 신러문화와 폔바오문화 | 랴오둥반도의 신석기문화 | 랴오둥 산지와 압록강 우안 의 신석기문화 | 제2쑹화장 유역의 신석기문화 | 백두산 산악 지대와 두만강 유역의 진구-싱청문 화 | 쑹넌평원의 양양시문화와 유관 유존 | 무단장, 수이펀허 유역의 신석기문화 | 싼장평원의 신 카이류문화와 유관 유존
제6절 동북 지역 신석기시대 문화의 특징과 인근 문화와의 관계
지역 특징 | 랴옷 지역과 황허 유역 신석기시대 문화의 남북 교융 | 랴오시 신석기문화와 북방 초 원문화의 동서 교류 | 신석기시대 랴오둥반도와 자오둥반도의 해상 교류
제3장 하 왕조 시기의 방국문명과 문화-동북 지역의 전기 청동기시대
제1절 동북 지역의 방국문명-샤자뎬하층문화
발견과 연구사 | 전형 유적 개황 | 분포와 연대 | 문화 특징 | 경제와 생활 | 주거지와 취락군
| 묘지 | 하 왕조에 필적하는 방국문명 | 샤자뎬하층문화 옌난형 | 문화의 원류
제2절 동북 지역의 기타 전기 청동기문화
샤라오허평원의 가오타이산문화 | 랴오둥 산지의 마청쯔문화 | 랴오둥반도의 전기 청동기문화
| 쑹넌평원의 샤오라하문화
제3절 상문화 동북기원설
고사에 기록된 상족의 기원과 동북 | 동북 지역 선상문화의 고고학 발견 | 연박, 숙신과 여러 이 족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