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근현대사를 과거와의 대화라는 관점에서 읽어내며 현재를 이해하는 밑거름이 되어주는 「일본 근현대사 시리즈」 제4권 『다이쇼 데모크라시』. 이 책은 러일전쟁 이후부터 만주사변까지의 시간과 공간을 대상으로 서술하고 있다. 제국 아래에서의 사회 실상을 그려내며, 20세기 초 데모크라시의 역사적 성격을 제국주의, 내셔널리즘, 식민지주의, 모더니즘과 관련하여 고찰하도록 이끌어준다.
Contents
머리말─제국과 데모크라시의 사이 5
제1장 민본주의와 도시 민중 15
1. 히비야 방화사건과 잡업층 16
2. 단나슈의 주민운동 26
3. 제1차 호헌운동과 다이쇼정변 34
4. 민본주의의 주장 44
5. ‘신여성’의 등장 55
제2장 제1차 세계대전과 사회의 변용 63
1. 한국병합 64
2. 제1차 세계대전 개전 75
3. 도시 사회와 농촌 사회 83
4. 시베리아 출병의 전말 94
제3장 쌀소동ㆍ정당정치ㆍ개조의 운동 103
1. 1918년 여름의 쌀소동 104
2. 정당내각의 탄생 113
3. ‘개조’의 여러 조류 126
4. 무산운동과 국수운동 138
5. 반차별의식의 태동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