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학습자가 다양해짐과 함께, 일본어학습자에게 가장 효율적으로 일본어교육이 실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다양한 타입의 일본어교육 교수법이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일본어교육학에서의 연구성과도 실제 교육현장에서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책은 그러한 연구성과를 일본어교육 실천과 연계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해 논의를 이끌어내고 더욱더 효율적인 일본어학습을 강구하기 위한 취지에서 시작되었다. 먼저 저자는 일본어교육에서 행해지는 학습을 ‘언어습득의 일반적인 과정’에서 분석하는, 가장 원론적인 입장에서 분석하기 시작하여, 여기에 효과적인 일본어 학습을 가능토록 설계하는 새로운 디자인을 제시한다. - 출판사 제공 -
Contents
· 감사의 글 3
· 역자 서문 4
서장 일본어교육에서의 학습분석과 디자인
-언어습득 과정의 시점에서 본 일본어교육 11
제1장 제2언어 습득 연구와 언어교육 21
1. 언어습득-제1언어 습득과 제2언어 습득 22
(1) 유아의 제1언어 습득 22
(2) 제2언어 습득 25
2. 제1언어 습득과 제2언어 습득의 관계 27
_제1언어와 제2언어의 상호의존 27
3. 제2언어 습득 연구의 성과 31
(1) 입력 가설Input Hypothesis 31
(2) 출력 가설Output Hypothesis 34
(3) 상호작용 가설Interaction Hypothesis 38
1) 발화 수정 38
2) 의미 교섭 39
3) 과제 40
4) 언어형식에 대한 초점화 43
(4) 교실에서 사회적 맥락으로 46
제2장 이해(읽기·듣기) 과정에 관한 연구 및 현장으로의 시사 49
1. 읽기 51
(1) 독해 과정을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51
_독해 과정의 세 모형 52
1) 상향식 모형Bottom-up Model 53
2) 하향식 모형Top-down Model 54
3) 상호작용 모형Interactive Model 59
(2) 읽기의 숙달-읽기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62
1) 읽는 양의 확보· 개인 독해와 소집단 독해의 통합 64
2) 독해 성공경험의 축적· 선행 과제, 독해 그 자체, 후속 활동 69
3) 상향식 기능의 양성· 순간적으로 의미내용을 파악하는 능력 78
2. 듣기 83
(1) 구어의 특징 83
(2) 듣기의 숙달-듣기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90
1) 목적을 가지고 집중해서 들을 수 있는가? 93
2) 적절한 예측 하에 들을 수 있는가? 98
3) 듣기 텍스트가 구어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가? 101
4) 화자가 보이는가? 104
5) 답변 방식에 심사숙고한 흔적이 있는가? 104
제3장 산출(말하기·쓰기) 과정에 관한 연구 및 현장으로의 시사 107
1. 말하기 109
(1) 대화하는 과정에서 화자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109
(2) 말하기의 숙달-말하기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112
1) 말하기 연습을 언제 도입할 것인가? 112
2) 말하기교재· 교실 활동을 어떤 기준으로 선택할 것인가? 116
2. 쓰기-작문 123
(1) 작문교육과 언어교육 123
1) 제2언어 교육에 있어서의 작문기능 124
2) 작문에 숙달된 사람 126
3) 작문지도법의 역사적 변천 129
a. 제한 작문 접근법Controlled Composition Approach 130
b. 신구 수사 접근법Current-Traditional Rhetoric Approach 130
c. 과정 중심 접근법Process Approach 131
d. 학문 목적 영어 접근법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Approach 133
(2) 쓰기의 숙달-쓰기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134
1) 초급자를 대상으로 한 작문지도 방법 137
2) 중·상급자를 대상으로 한 작문지도 방법 139
제4장 교재· 교실 활동의 학습분석과 디자인 143
1. 독해· 작문 중심의 활동:‘청하기’ 144
(1) 학습분석 144
_실현되고 있다고 생각되는 학습 146
(2) 학습디자인· 어떠한 새로운 학습이 실현될 수 있는가? 148
_의사소통 활동에 초점을 둔 학습디자인 148
1) 숙제의 활용 154
2) 역할극의 활용 155
3) 프로젝트 활동 156
2. 작문 중심의 활동:‘역에서 학교까지’ 158
(1) 학습분석 158
(2) 학습디자인-어떠한 새로운 학습이 실현될 수 있는가? 159
3. 청해 중심의 활동:‘전화는 어디에?’ 165
(1) 학습분석 165
_실현되고 있다고 생각되는 학습 165
1) 목적을 가지고 집중해서 들을 수 있는가? 169
2) 적절한 예측 하에 들을 수 있는가? 170
3) 듣기 텍스트가 구어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가? 171
4) 화자가 보이는가? 171
5) 답변 방식에 심사숙고한 흔적이 있는가? 172
(2) 학습디자인-어떠한 새로운 학습이 실현될 수 있는가? 173
_듣기 방식에 초점을 둔 학습디자인 174
1) 학습자를 대화 당사자로 한다 176
2) 선행 과제를 도입한다 177
3) 새로운 활동과 연계하여 활동 사슬로 행한다 178
4. 청해· 회화 중심의 활동:‘부추 세 단에 100엔’ 180
(1) 학습분석 182
(2) 학습디자인-어떠한 새로운 학습이 실현될 수 있는가? 184
_읽어주기 방식과 선행 과제에 초점을 둔 학습디자인 185
1) 그냥 읽어주기 185
2) 선행 과제+읽어주기 187
3) 교사의 설명 188
5. 독해 중심의 활동:‘금주’ 192
(1) 학습분석 192
1) 선행 과제 196
2) 독해 그 자체 196
3) 후속 활동 197
(2) 학습디자인-어떠한 새로운 학습이 실현될 수 있는가? 197
_하향식 과정과 상호작용 촉진에 초점을 둔 학습디자인 198
1) 선행 과제 198
2) 독해 그 자체 201
3) 후속 활동 205
6. 어휘학습 중심의 활동:‘재미있는 사람들’ 207
(1) 학습분석 210
(2) 학습디자인· 어떠한 새로운 학습이 실현될 수 있는가? 213
_학습자의 모어 이용에 초점을 둔 학습디자인 213
7. 한자학습 중심의 활동:‘파트너 찾기’ 215
(1) 학습분석 217
(2) 학습디자인· 어떠한 새로운 학습이 실현될 수 있는가? 219
1) 말하기· 듣기 활동에 한자학습 활동을 짜 넣은 학습디자인 219
2) 한자학습을 [파트너 찾기]에 통합한 학습디자인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