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이란 무엇인가? 제대로 토론하는 법을 어떻게 배울 수 있을까?
민주 사회의 의사소통의 핵심, 토론 능력을 기르다!
‘토론(討論)’은 상대와 서로 ‘논리적으로 치고받는 것’을 뜻한다. 토론으로 번역하는 ‘debate’ 역시 ‘반대 입장에 있는’ 상대를 ‘때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처럼 공격적인 뜻을 가졌지만 토론은 사실상 민주주의적 의사소통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인민에 의한 통치’를 의미하는 ‘민주주의’는 견해가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갈 수밖에 없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숙명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민주 사회에서 토론은 더 깊은 통찰과 상호 이해의 계기를 마련해주고, 공동체가 정치적·정책적 의사 결정을 향해 나아가게 해주는 최고 수준의 의사소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한국 사회 전반에서 토론 문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장유유서의 오랜 문화적 전통과 정치적 권위주의로 인해 토론에 대한 경험과 연습이 부족한 탓이다. 그러면 우리는 제대로 토론하는 법을 어떻게 배워야 할까?
Contents
들어가며: 토론의 현 주소
1. 정치에서의 토론
2. 대학에서의 토론
1장 토론의 본질과 의의
1. 토론은 민주주의적 의사소통의 기초다
2. 토의와 토론은 어떻게 다를까?
3. 보편적 이성에 입각한 상호 검증으로서의 토론이란?
2장 기존 토론 학습의 문제점
1. 토론 교수 학습법의 필요성
2. 형식 의존적 교수 학습법의 문제점
3. 내용 의존적 교수 학습법의 문제점
4. 논리 의존적 교수 학습법의 문제점
5. 언변 의존적 교수 학습법의 문제점
6. 이 책의 구성
1. 쟁점 선정을 위한 실질적 지침의 필요성
2. 쟁점 선정을 위한 팁 1 ― ‘내용적 조건’: 문제가 되는 사태의 측면을 나누어보라
3. 쟁점 선정을 위한 팁 2 ― ‘형식적 조건’: 논제에 대한 입장의 이유를 의문문으로 변환하라
7장 쟁점을 어떻게 발굴할까?(2): 구조·조건 심층 분석
1. 토론 개요서는 논증 구조를 형성해야 한다
2. 쟁점의 조건: 심층 분석
3. 하나의 쟁점은 하나의 내용만 다루어야 한다
8장 쟁점을 어떻게 발굴할까?(3): 윤리 이론의 활용
1. 쟁점 선정을 위한 팁 3 ― 세 가지 윤리 이론을 활용하라
2. 쟁점을 어떤 윤리 이론과 연결할 수 있을까?
3. 윤리 이론을 활용할 때 고려할 점
9장 쟁점을 어떻게 발굴할까?(4): 수준과 순서 조정
1. 쟁점 선정을 위한 팁 4 ― 쟁점의 중요도를 구분하라
2. 논리적 관계를 염두에 두라
10장 입론: 주장과 근거
1. 입론은 근거에 의해 뒷받침되는 주장이다
2. 주장은 쟁점에 대한 답이다
3. 주장에 대한 근거를 다양하게 구성하라
4. 논증을 먼저 구성한 후에 자료를 조사하라
5. 긍정/부정 양측의 주장과 근거를 모두 구성하라
6. 국내에 국한하지 말고 외국의 자료도 조사하라
7. 이미 확인된 사실을 토대로 추론하라
11장 교차 조사와 반론: 토론의 꽃
1. 이성적 상호 검증의 핵심, 교차 조사
2. 교차 조사는 사실 확인에서부터 시작하라
3. 사실을 확인한 다음에는 추론을 검증하라
4. 반론은 상대의 약점에 대한 반격이다
5. 가상의 실전 토론을 연습하라
12장 토론의 절차와 규칙
1. 표준화된 틀에 얽매이지 않는 토론 역량 기르기
2. 쟁점 하나하나를 집중적으로 검증하라
3. 최후 변론
4. 토론 방식의 응용
나가며: 토론 설계에서 실전 토론으로
Author
신호재
신호재는 197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2009년 서울대 인문대학 철학과에서 「후설과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에서 감각의 지향성」이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2017년 같은 대학원에서 「후설의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정초」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논문을 정식으로 출간한 『정신과학의 철학』이 201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되었다. 현재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조교수로 재직하며 교양을 위한 철학과 토론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신호재는 197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2009년 서울대 인문대학 철학과에서 「후설과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에서 감각의 지향성」이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2017년 같은 대학원에서 「후설의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정초」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논문을 정식으로 출간한 『정신과학의 철학』이 201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되었다. 현재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조교수로 재직하며 교양을 위한 철학과 토론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