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 원문의 최초 창작 과정을 마치 한편의 소설을 쓰듯이 재구성하면서 일기로서의 『역』의 면모를 보이고 그 일환으로 고문자학의 측면에서 표제어인 '역易' 자의 의미를 규명한다. 또한 『역』에 위로 갑골문을 이어받고 아래로 선진 제자백가를 잇는 가교라는 문화사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이어서 괘와 괘를 구성하는 기호의 이름의 연원을 밝히고 이와 관련해서 중국에서의 문자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규명한다. 나아가 이를 통해 인류 초기 사유의 특징을 서술한다. 다음으로 『역』의 괘의 원래 배열 순서를 복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괘사와 효사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역』이 일기라는 증거를 보다 분명하게 보여준다. 또 『역』이 인류 사유의 특정한 진행 단계인 언어 승화의 단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논증하고 그 성격을 규명한다.
「단」ㆍ「상」ㆍ「계사」의 순으로 그 속에 드러난 중국 고대 사유의 발달 과정을 분석하고 서양 고대 사유의 형성 과정과 비교함으로써 중국 고대 사유 특징을 보다 분명하게 제시한다. 「계사」에 나타난 사유 양식을 범주 사변이라고 정의하고 『노자』ㆍ『논어』ㆍ『맹자』ㆍ「묵경」의 사유를 분석한 후 서양 고대 사상들과 비교하며 그 특징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아동과 청소년들의 사유 형성 과정이 어떤 부분에서 인류 문화사에서의 사유 형성 과정을 되풀이하는지를 보여주고 이를 근거로 현대의 어린이와 청소년 교육을 위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Contents
서문: 어느 장을 먼저 읽을 것인가?
제1장 문화의 만리장성-인류 문화사에 있어서 무한한 가치를 지닌 보배
1. 고대 달력의 윤년: 일기, 384일(=8×8×6)
2. 수천 년 동안의 문화 장성의 건설
3. '위대한 담장'과 '위대한 문화'
4. 수많은 뼛조각들은 쉽게 얻을 수 있지만, [그 속에 담긴] 사유는 한 부분도 알기 어렵다.
易=日(낮)+夕(밤)
5. 글자를 토대로 진실을 찾고, 시대를 토대로 진실을 찾는다: '훈고'에 대한 훈고
6. 인류 사유의 아동기와 청소년기
제2장 글자를 토대로 진실을 찾는다-인류 사유의 유년기
1. 기호, 이름, 실제 사물
2. 원시 사유: 점유 관념, 숫자, '……이다[是]'의 결여
3. 원시 귀납
4. 역사성을 띤 방향 설정
5. 두 번째 단계의 부호
6. 부호의 실체: ?→?(chu?n이고, k?n이 아님)
제3장 시대를 토대로 진실을 찾는다-인류 사유의 아동기
1. 단순한 것이야말로 원래의 것이다: 『역』의 괘 순서
2. 구체적인 것이야말로 단순한 것이다: 『역』의 문자와 구절(1)
3. 자신에게 밀접하게 관련된 것[切身]이 구체적인 것이다: 『역』의 문자와 구절(2)
4. 언어의 승화: 復, 師, ?, 月夷……
5. 사건과 행위에 대한 평가: 『역』의 가치 체계(길흉吉凶>형려享?>이회利悔>무구无咎와 인(린)?(吝)
6. 이지적 선택: 貞-평評-비比
제4장: 유비 사변과 과정 사변-인류 사유의 소년기
1. 공통성 찾기: 위대하구나 건원乾元이여……
2. 유비 삼단론과 비약 논리: 하늘은 지위가 높고 땅은 지위가 낮기 때문에……
3. 평행 연역과 모호 논리: 乾의 법칙은 남성을 이루고, 坤의 법칙은 여성을 이룬다
4. 두 요소의 연역과 사유의 방향 설정: 성인은 괘를 진열하여 象을 살피고……
5. 해석과 대화
6. 현상학과 경외 사상: 위로 하늘의 무늬를 보고……
7. 과정 사변: 그리스 철학자와의 비교
제5장 범주 사변-인류 사유의 청소년기
1. 체로 걸러져 나온 범주: 한 번 陰하고 한 번 陽하는 것을 道라고 한다……
2. 초월 경험(1): 도가도 비상도道可道 非常道……
3. 초월 경험(2): 로고스와 있는 것[존재자]
4. 마음 세계[內心]의 개발(1): 字(慈), 德, 仁, 義
5. 마음 세계의 개발(2): 애한愛恨, 덕성德性, 善, 善의 이념
6. 思表의 제시(1): 묵변墨辯 6부
7. 思表의 제시(2): 도구Organon 6편
8. '건설'하는 중에는 '깨부수지' 않는다: 인류 사유의 형성과 발전
제6장 아동과 청소년의 사유 형성- '현재'는 역사의 종단면이다
1. 갓 태어난 아기에게는 사유가 없다: 포유동물 단계와 고원인 단계를 되풀이한다
2. 작은 의자와 올방개 이야기: 원시인 시기를 되풀이한다
3. 아동의 생리적 반항 시기의 인류학적 의의: 원시사회 형성기를 되풀이한다
4. 함께 놀이하고 노래 부르고 오락하고 그림 그린다: 원시사회 시기를 되풀이한다
5. 문자: 교육 역시 되풀이다
6. 卜, 言, 情, 思: 이성적 과정을 되풀이한다(인도人道에 위반되는 '性의 노출'을 함께 논의)
7. 결론: '현재'는 역사의 종단면이다
부록
후기: 「단」의 작자가 『역』을 편수했다는 주장의 증거를 제시하는 한 걸음 더 나아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