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운동가와 사용자뿐 아니라 일선 노동자, 정책을 담당하는 정부 관계자, 학생, 그리고 일반 시민들에게도 널리 읽히기를 기대하며 기획된 책이다. 한국의 전투적 노동운동이 부정적인 시각으로 비치고 국민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는 노동계의 현 주소임을 보여주고, 또 앞으로의 미래지향적인 노동운동의 방향은 어떠해야하는지에 대한 노동전문가 3인의 고찰을 담고 있다.
한국의 노동운동이 새로운 시대적 사명과 기능, 운동방식을 찾아 그 진로를 수정할 수 있도록 현재 시점에서 한국의 잘못된 노동 행태를 진단, 분석하고 이를 바로잡을 수 있는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노동운동의 위기의 뿌리를 내부에서 찾음으로써 더욱 건강한 조직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기를 희망한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한국 노동운동의 미래를 생각한다
1부 한국 노동운동 어디로 가야 하나?
1. 방향성 잃은 노동운동
노동운동의 위기 어디서 오나?
노조는 호박에 박힌 화석
이전 정부서 시장 중시?
노동운동 & 민주화운동
2. 노동운동, 왜 과격해졌나?
보상심리 작동으로 대정부 투쟁 강경
계파분열이 이념화·정치화 부채질
대기업 정규직, ‘그들만의 노동운동’
대처 식 개혁은 우리 풍토에 안 맞아
불법 행위에 대한 관용은 직무유기
3. 노동운동과 포퓰리즘
좌파·우파는 없고 잡파만 무성
이념적 혼돈은 지식인의 책임
좌파와 우파가 싸우는 이유
노조 간부의 리더십 실종
계파갈등이 리더십의 발목 잡아
좌파 정당의 분열과 민주노총의 정파갈등
분당은 세력 다툼의 산물
4. 정치노총 vs 실리노총
정부에 손 벌리는 노동단체
노조 비리와 회계의 불투명
제3노총 설립될까?
양 노총의 변화를 촉구하는 촉매제
5. 산별노조, 선인가 악인가?
노조의 전투력 높이는 산별체제
2중, 3중 교섭은 사용자 외면
혼란만 부채질하는 산별체제
우리 몸에 맞는 효율적인 교섭체계는?
6. 복수노조와 전임자 임금
전임자 임금, 노조 재정서 충당해야
타임오프제, 노사갈등 소지가 다분해
노조 조직률은 왜 하락하나?
조직률 하락은 세계적인 추세
무노조도 경영전략의 일환
7. 노동운동의 본질은 무엇인가?
계급투쟁론은 비현실적 관점
근로계약법이 필요한 시대
대기업 노조의 이기주의
노조는 민주화의 최대 수혜자
과도한 정치성향은 시대착오적
정책연대냐, 정치연대냐
8. 노조의 사회적 책무와 그 범위는?
회계 투명성이 노조 민주주의의 열쇠
노동운동과 사회적 압력의 당위
임금 자제도 사회적 책무인가?
2부 상생의 길을 찾아
9. 시장이냐, 정부냐?
우리는 지금 신자유주의 체제인가?
금융위기 이후의 경제 시스템은?
경제 질서가 바뀌면 노동시장은 스트레스
한국의 노동시장은 유연한가?
공기업·대기업 노동시장이 가장 경직
10. 노동 권력, 대체 얼마나 세길래
현장관리자 vs 노조대의원
선진국에선 회사가 작업통제권 장악
깨진 유리창과 현대차 울산공장
노조의 과다한 경영권 개입
선진국 노조, 경영 개입 제한적
노사단체에 리더십은 없나?
정부 눈치 보는 경총
사회적 대화 통해 재계 대표로 부상
11. 법과 원칙의 효용성
일관성 없는 노동행정
말로만 ‘법과 원칙’ 외칠 뿐
노사안정의 비결은 법과 원칙
외국서 불법 파업은 형사처벌의 대상
강성노조가 변한 까닭은?
12. 고용 없는 성장, 그 해법은?
좋은 일자리, 갈수록 감소
사라지는 평생직장
사회안전망-유연성-직업훈련
규제 풀어야 일자리가 창출된다
공공서비스의 임금 양극화
노동시장의 양극화, 어떻게 풀어야 할까?
임금체계 개선이 그 해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