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往五天竺國傳』은 문화, 세계사, 문헌학 등 영역에서 다각도로 상당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리 강독팀은 중국 언어학의 방법론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往五天竺國傳』의 언어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적지 않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문제도출 배경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직 많은 글자가 정확히 판별되지 못했고, (2) 어떤 문구는 연구자에 따라 해석이 다르고, (3) 어떤 문구는 중간언어 현상으로 인해 정확한 해석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우리는 중국 언어학의 방법으로 『往五天竺國傳』을 분석하였다.
첫째, 교감(校勘)을 통하여 기존에 소개되지 않았던 『往五天竺國傳』의 속자(俗字), 결자(缺字), 한자의 변별(辨別)을 분석하였다. 둘째, 『往五天竺國傳』의 중간언어를 분석하였다. 한국에서는 『往五天竺國傳』의 중간언어 분석이 한 차례도 시도되지 않았다. 중간언어 분석은 ‘저자 혜초가 모국어가 아닌 중국어로 지은 작품에 나타난 어색한 문구를 대상으로, 중국어가 모국어인 화자의 문장과 모국어가 한국어인 한문문헌의 문장을 비교하여, 중간언어 현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요컨대 SOV 언어구조의 구두어 화자가 SVO 언어구조의 서면어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언어현상을 분석한 것이다. 중간언어 분석은 『往五天竺國傳』 텍스트의 끊어 읽기와 한국어 해석에 도움이 된다.
셋째, 한국어의 정확한 번역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往五天竺國傳』교감(校勘), 문법분석 그리고 중간언어 분석을 통하여 『往五天竺國傳』을 좀 더 정확히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한국어 번역을 수정·보완하여, 원문의 내용을 한글로 충실히 번역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