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유행(儒行)」편은 유자(儒者)의 행실을 기록한 문헌이다. 노나라 애공(哀公)과 공자의 문답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기술체계가 상당히 통일적이다. 유자의 행실에 있어서 자기 수양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기는 하지만, 그 목적은 관직에 나아갈 수 있는 자질과 국가 및 군주에 대한 충심을 다지는데 있다. 따라서 역대 학자들은 이 문헌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해왔으며, 특히 성리학 계열의 학자들은 결코 공자의 말이 아니라고 단언했다.
「유행」편은 『예기』의 수많은 편들 중 맥락의 연결과 주제 및 기술체계의 통일성이라는 측면에서 가장 완성도 높은 편에 속한다. 이것은「유행」편이 본래부터 하나의 독립된 문헌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예기』의 대다수 편들처럼 잡다한 기록들을 수집하여 하나의 편으로 엮은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또한「유행」편은 순자(荀子) 사상의 영향이 짙게 나타난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자주 거론되지 못했던 문헌이지만, 적극적으로 정치에 관여하여 예치(禮治)를 확립하려고 했던 전국말기와 전한초기 유학자들의 정치사상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문헌이다.